[유통관리론]신유통채널 ‘드럭스토어’의 현황과 향후전망 분석(A+리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통관리론]신유통채널 ‘드럭스토어’의 현황과 향후전망 분석(A+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현재 유통시장의 흐름
1. 비식품 업태의 발전
2. 카테고리 킬러로 대표되는 전문점의 발달
3. 소비 트랜드의 양극화 현상

Ⅱ. 드럭스토어 (Drug Store)
1. 드럭스토어의 정의
2. 드럭스토어의 특징
(1) 편의성 강화
(2) 웰빙 지향-헬스 앤드 뷰티 에이드
(3)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젊은 층 겨냥

Ⅲ. 한국 드럭스토어 시장
1. 드럭스토어 시장 SWOT분석
2. 드럭스토어 시장 4P분석
3. 매장간의 비교
(1) 올리브영
(2) GS왓슨스
(3) W-store

Ⅳ. 외국 드럭스토어 시장
1. 일본의 드럭스토어 시장
(1) 게요
(2) 일레븐
(3) 후지코시 수퍼센터
2. 미국의 드럭스토어 시장
(1) 미국의 드럭스토어와 타 유통 업태와의 차별성
(2) 현재 미국 드럭스토어 시장의 흐름

Ⅴ. 개선 및 발전 방안
1. 특화된 이미지 구축
2. 전문점 전용 브랜드 특화
3. 가격경쟁력 확보

Ⅵ. 향후 전망

본문내용

150평) : 가전제품 등 저 빈도 구재제품 철수
서비스
강 화
- 기본적인 서비스에 충실 : 고객 대기시간 감소
(2) 현재 미국 드럭스토어 시장의 흐름
부띠끄 스타일 서비스·고급품으로 소비자에 어필하는 추세 이다. 미국의 드럭스토어업계는 최근 1~2년 새 매장 내에서 취급되는 화장품의 고급화 바람이 일고 있다. 럭셔리(upscale) 브랜드를 매장에 진열하고, 전문 컨설턴트를 배치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전략을 앞다퉈 실행에 옮기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CVS는 총 6,200여곳에 달하는 체인점 가운데 일부에 숍-인-숍 형태의 '헬시 스킨케어센터'(Healthy Skincare Centers)를 두어 미국과 유럽에서도 최고급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는 화장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CVS측은 이곳에 별도의 훈련을 거친 뷰티 어드바이저를 배치해 소비자들의 제품선택을 돕고 있다. 월그린도 지난해 가을 1,000곳의 체인점을 선정해 지금까지 유럽에서만 발매되어 왔던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를 진열하는 '유러피언 뷰티 컬렉션'(European Beauty Collection)을 배치해 고객을 유혹하고 있다
Ⅴ. 개선 및 발전 방안
1. 특화된 이미지 구축
국내에서는 아직 드럭스토어가 단순 잡화점 이상으로는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진정한 ‘웰빙 토털 숍’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특화된 이미지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즉, 드럭스토어형 매장들이 자신들의 색깔 찾기에 나서야 한다.
다들 선진국의 드럭스토어형 매장을 표방하고자 나왔다고는 하지만 일단 약국이 입점해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국내 실정상 약사법 등에 의해 일반매장에서 약을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약보다는 화장품이나 건강식품 쪽에 비중을 두고 있는경우가 대다수인 실정이다.
이와 함께 이른바 드럭스토어형 매장들이 이름은 드럭스토어지만 '약'이 주가 아닌 화장품, 생활용품,식품, 문구류까지 너무 많은 것을 팔다보니 더욱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헬스앤 뷰티로의 집중을 통해 라이프 스타일에 근거한 매장으로의 진화와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2. 전문점 전용 브랜드 특화
국내 드럭스토어 시장규모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화장품 업체별로 기능성화장품 브랜드를 확대할 것과 이너뷰티 아이템에 대한 개발, 관련 서비스 강화를 통한 유통다각화에 힘써야한다. 특히 화장품도 약국도 어느 한쪽이 중심이 되지 않는 단순 잡화점 성격의 이미지가 강해 가시적인 파급효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다.
한편 기존 화장품전문점도 이들 드럭스토어나 H&B숍과 동일제품으로 경쟁하는 것을 피하고 전용 고급브랜드로 특화함으로써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고객확보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전용브랜드를 육성한다면 건전한 이익이 보장되고 고정고객층 확보에도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향후 드럭스토어나 H&B숍들은 화장품전문점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PB 브랜드의 도입이나 건강·미용관련 제품의 취급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시장진입이 예상되는 드럭스토어·H&B숍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보다 차별화되고 국내실정에 정확히 대응할 수 있는 현지화 전략에 보다 초점을 맞춰가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3. 가격경쟁력 확보
PB상품 개발을 통해 값 싸고 질 좋은 상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취향을 따라갈 수 있다. 유통업체인 대형소매상이 기획·개발·생산 및 판매과정을 전부 또는 일부를 자주적으로 수행하여 상품을 만들게 되면 새로운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
Ⅵ. 향후 전망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웰빙에 가치를 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됐고 이에 특화한 상품 구색을 갖춘 드럭스토어가 새로운 유통 대안으로 각광받는 것. 더욱이 드럭스토어의 주 타깃층인 여성과 젊은 세대가 이 같은 트렌드에 민감히 반응하며 이들의 구매력이 높아졌다는 점도 희망적이다.
또한 소비자의 욕구는 이제 점점 더 구체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쇼핑의 간편함을 원하면서도 동시에 전문적인 쇼핑 시스템을 원하는 것이 요즘 트렌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속속들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 일명 '멀티숍(Multi-shop)', '토탈숍(Total-shop)' 등의 전문숍이다. 지금까지는 전문 멀티숍이 패션, 잡화 등에 집중되있었다면 최근에는 웰빙을 바람을 타고 건강 토털 웰빙숍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그러한 중심에 바로 드럭스토어가 있다. 미국의 드럭스토어 전문업체 월그린, 영국의 프랜차이즈 업체인 부츠 등도 국내시장진출에 대해서 이미 오래전부터 시장조사를 마치고 시장진입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경우도 일부 대기업이 대형할인 마트 등 자사보유의 유통부문의 강점을 살려 드럭스토어·H&B숍 진출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드럭스토어도 드럭스토어도 외국의 것을 무작정 따라 할 것이 아니라 한국인의 특성이 반영된 드럭스토어를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의 드럭스토어는 무엇보다 한국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한국형 드럭스토어로의 발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약국이 지닌 ‘cure’라는 전문적 개념에 ‘care’의 개념을 더한 형태의 드럭스토어로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즉 과거 드럭스토어의 모습에서 벗어나 친숙한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다가서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다 전문화되고 차별화된 컨셉을 가지고 비슷한 구색을 갖춘 시장에서 확실한 차별화를 통해 포지셔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체인스토어 편집부, “슈퍼드럭스토어는 드럭스토어가 아니다”, 한수협 출판부
오세조, “한 눈에 보는 소매유통 전쟁”, 중앙경제 평론사
채명수, "중소 소매점의 경쟁력과 소매성과", 집문당
김경욱, "대리점·소매점 경영 이렇게 하면 성공한다", 문장
“CJ올리브영”, [http://www.oliveyoung.co.kr]
“GS왓슨스”, [http://www.watsons.co.kr/]
“W store", [http://www.wstore.co.kr]
각종 인터넷 드럭스토어 관련 기사 참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6.0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