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사 이규보의 문학세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학사 이규보의 문학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이규보의 생애
2. 이규보의 문학사상
1)「緣情而發(연정이발: 정에 연유한 발로)」 및 증언으로서의 문학
2) 어의 창신론의 주창―신의(新意)․신어(新語)
3) ‘이문화국(以文華國: 문으로써 나라를 빛나게 한다)’으로서의 문학
3. 이규보의 작가의식
1) 국가․민족 의식
2) 사회․민중 의식
4. 이규보의 작품세계
1)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출간과 내용
2) <백운소설(白雲小說)>의 편찬문제
3) 시부(詩賦)
4) 기타
5. 이규보의 문학사적 의의

Ⅲ. 맺음말

본문내용

었기에, 물에게 부림을 받더라도 물에 신경을 쓰지 않고, 사람에게 밀침을 받더라도 사람에게 불만을 갖지 않으며, 움직이지 않을 수 없는 박절한 형편이 닥친 뒤에야 움직이고, 부른 뒤에야 가며, 행할 만하면 행하고, 그칠 만하면 그치니, 옳은 것도 옳지 않은 것도 없다. 자네는 빈 배를 보지 않았는가? 나는 그 빈 배와 같은데, 자네는 어찌 나를 책망하는가?” 하니, 돌은 부끄러워하며 대답이 없었다. 이상국집 후집 권 11.
라고 하며, 그의 구애받지 않는, 본성과 실상을 지켜나가려는 처세관과 세계인식을 보여 준다.
이규보의 설논문답 양식의 작품세계는 합리성을 추구하는 비판정신에서 마련되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작가의 독특한 사물인식의 면모와 개성적 성격에 접하게 되고, 또한 그것이 진실되게 표출된 글의 내용과 더불어 작가의 인간상에 직접 접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전(傳)
<이상국집>에는 4편의 전이 수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국선생전(麴先生傳)」과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은 가전(假傳)이고,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과 「노극청전(盧克淸傳)」은 실전(實傳)이다. 그러나, 가전도 의인화의 수법을 쓰고 있으므로 전기가 갖는 경험적 성격과 허구적 성격을 갖는 점은 실전과 다를 바 없다.
가전작품에서도 의인화된 대상의 삶의 양상이 작자의 관심의 표적이 된다. 두 가전작품에서 국선생(‘술’을 의인화한 것)과 청강사자현부(‘거북’을 의인화한 것)는 모두 신하의 입장으로 설정되고 있는데, 이것은 유자의 삶이 근본적으로 입신하여 도를 행함을 추구하는 것이므로 벼슬길에 나아간다 함은 신하로서 군왕을 보필하여 치국의 이상을 바르게 실현하는 것에 본의를 두는 것이라는 명제를 전제로 한 작품 구도로 파악된다.
즉, 이규보는 가전의 형식을 빌어서, 당시 사대부들의 입신과 치국택민, 수난상을 제시하며 안분지족의 지혜를 강조하고 있다.
「백운거사전」은 이규보 자신의 전기이다. 청빈한 생활, 소탈하고 구애받지 않는 성격, 우주를 좁게 여기며 취락하는 모습은 도연명과 방불하다고 자평하고 있는 작품이다.
「노극청전」은 그가 명종실록을 수찬할 때 지은 전인데, 노극청이란 사람의 청렴하고 결백한 일화를 기록하면서, 말세 풍속에 탐욕만이 팽배하였음에도 그가 전혀 이(利)를 탐하지 않은 점을 높이 우러르고 있다.
이상 이규보의 가전실전 작품을 통하여 그의 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전이 갖는 고도의 설화성과 인물묘사에 있어서의 다각적 효과를 십분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접적인 서술과 극적 계기의 집중적 묘사로 이야기의 흥미를 고조시키는 가운데 교훈성을 부여하고 있다.
5. 이규보의 문학사적 의의
최씨정권은 왕권을 초월한 절대권력을 행사하며 탄압적인 독재정치를 감행했으나, 또 한편으로는 문신을 포용하고 민란반란군을 회유하는 등 정치적인 수완을 보였다. 그리하여 문학적 재능과 실제적 행정 실무의 기능을 갖춘 신흥사대부들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등용의 문으로 들어섰고 이규보는 그 대표자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민란과 반란이 곳곳에서 일어났고 북방오랑캐의 침입으로 인한 대내외적의 시련 속에서 이규보를 필두로 한 신흥사대부들은 새로운 역사의식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는 작가의식으로 전이되어 그들로 하여금 수많은 작품들을 낳게 하였다.
그리하여 이규보는 피폐한 조국의 현실과 도탄에 빠진 민생들에 대한 예리한 관찰을 통해 민중적 시각에서 작품을 창작하였고, 아울러 부패한 관료들의 호사를 극한 타락한 삶과 대조시켜 문제의식을 첨예화 하였다. 또 산문에서는 가전문학이 나타나, 의인화의 필법으로 작가의 의도를 우의화 하여 나타내었으며 풍자적 성격의 작품들도 지어 문학의 효용적인 가치를 실현하였다.
또한 이규보는 <동명왕편>을 통해서 구전의 서사전통을 영웅서사시로 정착시켰고, 장편의 고시들을 통해서 서사적 성격을 시에 두루 도입하여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삶에 큰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이규보의 서사적 구성과 논리성구체성을 중시하는 사실적 작풍은 이 시기 문학의 방향설정에 있어서 지니는 의미가 아주 크다 할 수 있겠다.
Ⅲ. 맺음말
이상 살펴본 바대로 이규보의 생애에 있어서는 그가 다난했던 고려 무신집정기에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여 문학의 재능으로 입신한 신진관료층의 대표적 인물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무신집정기라는 시대적 특수성 때문에 그가 관계에 적극 나선 것을 집권자에 붙어 집권자를 옹호하고 권력을 탐했던 것이라고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유교적 관념의 바탕에서 치국택민의 기치를 내걸고 자신의 실력을 펼쳐보려 노력했다는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그는 외우내환의 대내외적인 시련 속에서 역사의식과 사회의식을 새로이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그의 작가의식은 그의 수많은 작품으로 나타난다. 그는 집권자의 횡포와 전란으로 인해 황폐해진 민중에 대해서도 연민의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국가민족의식을 투철히 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민중에 대한 인식 또한 작품으로 형상화되었다.
그는 이러한 철저한 현실인식에 따라 표현의 제약이 적은 장편고시를 즐겨 썼으며, 서사성을 고도로 발휘하고 있는 수작을 많이 썼다. 그리하여 고려문학에 서사문학의 세계를 확충하였고, 사실적 작풍을 수립함으로써 문학사상 새로운 전기를 가져왔다. 또 문학의 창작에 있어 신의(新意)를 내세우며 독창성을 강조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문학세계는 당시 고려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상으로 살펴본 이규보는 고려인이라는 자부와 긍지를 견지하고 또한 사대부의 사명을 분명히 인식하고서 작품 활동을 한 당대의 대표적 문사였으며, 그의 작품 중에는 이전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에서 창작된 것이 많아, 우리 문학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놓았다고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이규보 연구」안용은. 1980
「이규보 한시의 연구」 박성규. 고려대학 문학원. 1982.
「이규보 문학 연구」 김진영. 1982.
「고려중기 문학론 연구」 심호택. 1990.
「한국사가 문학론」 정기호. 1997.
「한문학사」 새문사. 1998.
「고려후기 사대부 문학연구」 박성규.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