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 후기 한문학에 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조 후기 한문학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려 한문학의 전반적 흐름
◎ 과거제의 폐단
◎ 죽림고회와 은일 사상
◎ 비평문학의 발생 배경

비평의식의 성장
이인로<파한집>
이규보<백운소설>
<보한집>

◈ 가전 문학 ◈
※ 가전체의 문학사적 위치
※ 작가
※ 문학작품
<국순전> 麴醇傳
<공방전> 孔方傳
<국선생전> 麴先生傳

본문내용

사건이 주 내용을 이루는 데 비해 가전은 어떤 사물의 내력, 속성, 가치에 대한 관심이 주가 된다.
(4) 의의
창의성이 상당히 가미된 허구적 작품이라는 점에서 소설 문학에 한 단계 접근한 문학 양식이다. 설화와 소설의 교량적 구실을 하였다.
가전체의 문학사적 위치
가전의 전기(傳記)형식과 허구적 성격으로 말미암아 후대의 소설 발생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즉, 고전 소설이 대부분 ' 전'이라는 제목 아래 개인의 일생을 다루고 있는 허구적 서사물이라는 점에서 가전은 고전 소설과 통한다. 그러나 가전은 소설 그 자체는 아니다. 아직 역사적 전거(典據)를 관념적으로 나열하고 있어 작품 내적 세계의 독자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으며, 서술적 형상화에 크게 미흡하기 때문이다.
작가
(1) 임춘 (林椿) [?~?]
자 기지(耆之). 서하(西河) 출생. 과거에 수차 낙방하였으며, 1170년(의종 24) 정중부의 난 때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이인로 오세재등과 함께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냈다.
한문과 당시(唐詩)에 능하였으며, 이인로가 그 유고(遺稿)를 모아<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6권을 엮었다.<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에 시문(詩文)이 기록되어 있고, 두 편의 가전체소설이 전한다. 저서에 <국순전(麴醉傳)> <공방전(孔方傳)> 등이 있다.
(2) 이규보 (李奎報) [1168~1241]
본관 황려(黃驪:驪興). 자 춘경(春卿). 호 백운거사(白雲居士) 지헌(止軒)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초명 인저(仁免). 시호 문순(文順).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 이듬해 문과에 급제, 1199년(신종 2) 전주사록이 되고 1202년(신종 5) 병마녹사 겸 수제가 되었다. 1207년(희종 3) 최충헌에 의해 권보직한림으로 발탁, 참군사 사재승 우정언을 거쳐 1219년(고종 6) 좌사간으로서 지방관의 죄를 묵인하여 계양도호부부사로 좌천되었다.
1220년(고종 7) 예부낭중 한림시강학사를 거쳐 30년 위위시판사가 되었으나, 팔관회(八關會) 행사에 잘못을 저질러 한때 위도(蝟島)에 유배되었으며 1232년(고종 19) 비서성판사에 승진하고, 이듬해 집현전대학사 정당문학 참지정사 태자소등을 거쳐 1237년(고종 24) 문하시랑평장사 감수국사 태자대보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은 당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는 유명하다.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써 격퇴한 명문장가였다. 시 술 거문고를 즐겨 삼혹호선생이라 자칭했으며, 말년에 불교에 귀의했다.
저서에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선생(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 시(詩)에 〈천마산시(天摩山詩)〉 〈모중서회(慕中書懷)〉 〈고시십팔운(古詩十八韻)〉 〈초입한림시(初入翰林詩)〉 〈공작(孔雀)〉 〈재입옥당시(再入玉堂詩)〉 〈초배정언시(初拜正言詩)〉 〈동명왕편(東明王篇)〉, 문(文)에 〈모정기(茅亭記)〉 〈대장경각판군신기고문(大藏經刻板君臣祈告文)〉 등이 있다.
문학작품
현재 남아있는 작품으로는,
국순전 (임춘, 명종 시 : 술을 의인화하여, 술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말함),
공방전 (임춘, 명종 시: 돈을 의인화하여, 재물을 탐하는 것을 경계함),
국선생전 (이규보, 고종 시 : 술과 누룩의 의인화. 군자의 처신을 경계함) ,
청강사자현부전 (이규보, 고종 시 : 거북을 의인화하여 어진 사람의 행적을 기림),
죽부인전 (이곡, 공민왕 시 :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절개를 나타냄) ,
저생전 (이첨, 고려말 : 종이를 의인화함),
정시자전 (석식영암, 고려말 :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자기 처지를 알아야함을 강조함)
등이 있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성했으므로 불교 가전이라 할만한 것도 지어졌다. <동문선>에 실려 있는 〈정시자전〉 외에도 혜심(慧諶)의 〈죽존자전 竹尊者傳〉과 〈빙도자전 氷道者傳〉이 전하고 있다.
<국순전> 麴醇傳
*연대 : 고려 중엽
*작자 : 임춘
*구성 : 일대기를 중심으로 한 순차적 구성
*표현 : 의인법
*제재 : 누룩
*주제 : 인간의 술을 애증하다 타락하고 패망함을 풍자하고, 간사한 벼슬아치를 풍자, 향락에 빠진 임금과 이를 따르는 간신들에 대한 풍자. 술에 빠져 흥청대는 문사 풍자
*의의 : 현전하는 가전체 문학의 효시가 되는 작품이며, 이규보의 '국선생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공방전> 孔方傳
*작자 : 임춘
*구성 : 공방의 가계에 대한 약전
*제재 : 돈(엽전)
*주제 : 경세(經世)에 대한 비판 , 돈을 탐하는 세태에 대한 비판
*내용 : 수양산에 은거하다가 황제 때부터 기용된 공방의 조상 이야기가 발단을 이룬다. 방의 인품은 둥글고 가운데 구멍이 네모나고 추시(趨時)로 웅변을 잘 하여 역대에 출사를 잘 하였으나, 탐욕하고 절조가 적고 백성과 이익을 다투며 물가를 오르내리게 하고 곡식을 천히 여기는 등 행실이 나빠 후일에는 뇌물받은 죄로 죽임을 당했다.
*의의 : '국순전'과 함께 우리나라 문헌상의 최초의 가전 작품
*특징 : 동전을 의인화하여 돈의 내력과 그 흥망성쇠를 이야기함으로써 돈이나 재물에 대한 집착과 탐욕을 경계하고 있는 가전 작품이다.
<국선생전> 麴先生傳
*연대 : 고려 중엽
*작가 : 이규보
*구성 : 전기적 구성
*특징 : 의인화 기법
*주제 : 우국 충절의 교훈, 위국 충절과 신하로서의 올바른 처신에 대한 권계
*내용 : 술을 의인화한 가전. 시대 배경은 위 진. 주인공 국성(술)의 조상은 원래 농사를 짓고 살았다. 아버지는 차, 어머니는 곡씨의 딸, 국성은 총명하고 뜻이 커서 당시 도잠 유영과 사귀고 임금의 총애를 받아 벼슬도 높아졌다. 그의 아들 삼형제가 아버지의 권세를 믿고 방자히 굴다가 모 영(붓)의 탄핵을 받아, 아들들은 자결하고 국성은 탈직되어 서민으로 떨어진다. 뒤에 다시 기용되어 도둑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우고, 은퇴하여 고향에 돌아가 폭병으로 죽는다. 이 작품은 안으로 무신의 반란과 밖으로 몽고군의 침입에 희생된 고려 의종 고종 연간의 난국에 처하여 분수를 망각한 인간성의 결함과 비정을 풍자한 계세징인을 목적으로 쓰여진 가전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8.2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