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요인과 나이지리아 경제동향 및 전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아프리카 국가개황

Ⅱ. 아프리카 경제성장을 하락시키는 요인들

Ⅲ. 인구

Ⅳ. 자원

Ⅴ. 주요산업 및 기술

Ⅵ. 제도

Ⅶ. 아프리카 발전을 위한 조건

본문내용

한 정치불안과 경제위기는 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들에게 있어 공통적인 난제로 취급되고 있다.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동유럽 및 소련에서의 공산주의 붕괴로 인한 여파가 아프리카에도 불어닥쳐 국민들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가속화시킴으로 인해 역내 대부분의 국가들의 집권정부에게 상당한 타격을 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1) 탈식민지화
2차 세계대전 직후, 아프리카대륙 전체에 독립국가가 불과 4개국밖에 존재하지 않았었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이 서구의 식민지로써 국제정치에서 소외된 피동적 객체였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의 노력은 1951년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정치를 받던 리비아가 독립한 것을 필두로 하여 본격적인 독립의 열기가 아프리카대륙에 불오닥쳤다. 50년대에 6개국, 60년대에 34개국, 70년대에 8개국, 1990년대에 2개국이 독립함으로써 2000년 현재 식민경험이 없던 4개국을 포함하여 도합 54개의 국가가 아프리카에 존재하고 있다.
이와같이 독립한 아프리카국가들 가운데서 16개국에 달하는 아프리카국가들이 1960년 한해에 유엔회원국이 됨으로 인해, 이 해를 가리켜 1960년을 흔히 ‘아프리카의 해’라고 불렀다. 그 이유는 전후 미,소 양국에 의해 주도되었던 양극체제를 지양하여 후기 전후사회의 다극체제의 창출에 기여를 하였기 때문이다.
(2) 독립 후의 정치상황
아프리카의 정치상황은 군사쿠데타의 악순환으로 끊임없는 정정불안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지도자의 잦은 교체로 나타났다. 1950년 이후 아프리카 각국 전체의 정치지도자의 교체는 모두 131회로 집계되고 있다. 이 가운데 폭력적인 교체는 92회, 평화적인 전권교체는 45회로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아프리카 국가들이 대부분이 정정불안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빈곤과 기아, 폭발적인 인구증가, 부족간의 반목과 대립으로 인한 폭력, 정정의 불안, 지배층의 부패, 행정력의 와해, 경제의 침체, 문화적인 대서구 예속 등 아프리카 대륙은 아직도 후진 상태에 처해 있다. 유엔이 지정한 전세계 최빈곤국 34개국 중 29개국이 흑아프리카 대륙에 위치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우, 국가건설은 서구나 기타 지역에서 보다 더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첫째, 문화적 동질성의 부재이다. 즉 공통된 언어도 공통된 정치적 가치와 전통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유대감이나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지배자와 피지배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곤란을 야기한다.
둘째, 중아집권적인 통치의 경험이 없다는 점이다.
셋째, 지정학적 고려에서 외부세력이 아프리카 국가건설에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오늘날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절망적인 빈곡과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사회를 통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들은 오랜 중앙집권적 통치 역사와 공통된 전통의 혜택도 못 받고, 강대국의 냉담과 경시 속에, 때로는 강대국들의 일방적인 간섭속에서 국가건설 과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프리카가 직면해 있는 근본문제는 ‘정부 정통성의 허약성‘이며 ’국민지지의 결여‘이다. 빈곤하고 부족적으로 분열된 공통적인 정치적 전통도 중앙집권적 통치의 오랜 역사도 갖지 못한 농민 사회에서 국민적 합의를 형성한다는 것은 극히 어려운 과업이다. 반식민 투쟁에서 형성되었던 유대는 독립과 더불어 붕괴되었는데, 정치가, 행정가, 일반 국민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부족적인 이익추구에 급급하다. 이제 지도자들은 국민들에게 유대롸 휘생을 요구하는데 있어 어떤 원칙에 호소해야만 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족 분포상황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행정상 편의를 위해 식민 종주국들이 구획한 국경선에 입각한 국가 영토에 아프리카 국민들은 익숙하지 않다. 부족간 대립 갈등이 날카로운 이들 아프리카 국가에서 ‘국민 동질성’에 대한 인식이 뿌리 박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프리카의 정치지도자들은 전적으로 애국심만 호소할 수만은 없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이 세습적 통치의 한 형태인 일인 통치로서 주로 개인적 충성심, 주종관계 및 강제에 기초를 두고 있다.
Ⅶ. 아프리카 발전을 위한 조건
아프리카 경제를 진착시키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교역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세계 관광 시장에서 아프리카의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다. 비공식적 통계에 의하면, 우간의 경우 수출의 약30% 만이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교역에서 이루어 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광의 경우 1990년과 2000년 사이 아프리카 관광산업의 성장률은 6.2%로 전세계 평균 성장률 4.3%보다 높았다.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세계은행의 극빈채무국가(HIPC) 채무경감 구제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혜택을 보고 있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외채는 이들 국가들의 GDP 성장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외채에서 이자로 지출되는 비용이 국가 재정지출보다 크게 작용하는 국가들도 많다.
아프리카 30개국의 1996년 기준으로 27년 동안의 외채가 1천8백7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세계은행의 채무경감 구제 프로그램으로 인한 이자 경감이 없다면 2천7백40억달러에 달했을 것이다.
세계경제가 바닥을 치고 상승세로 돌아섬에 따라 아프리카 국가들도 혜택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선진국들도 올해 아프리카 극빈 국가들에 대해 120억달러의 원조를 제공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회생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리카 경제 위원회는 그러나 여전히 OECD 선진국들이 자국 기업이나 농업들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세계 교역시장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농업에 대한 막대한 보조금 지급으로 인해 아프리카 국가들의 수출 경쟁력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아프리카 경제위원회는 OECD 국가들의 농업 보조금이 개발도상국가들에게 원조하는 액수 보다 세 배는 많다고 주장한다. 모든 관세와 비관세 장벽이 제거된다면 개발도상국들은 서비스 분야에서 1천8백20억달러, 제조업 부문에서 1천6백20억달러 그리고 농업부문에서 3백20억달러의 수혜를 볼 것이라고 아프리카 경제위원회는 주장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8.28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