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문화양식과 뮤직비디오의 관계 및 성정치학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이론적 배경
1. 새로운 매체현실 시대의 제반 특징
2.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양식과 뮤직비디오와의 관계
3.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와 섹슈얼리티
4. 뮤직비디오의 연구동향

III.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절차

IV. 연구결과 및 논의: 뮤직비디오, 포스트모더니즘, 젠더
1. 스타이미지형 뮤직비디오
1) 주제
2) 성별이미지
3) 시공간의 탈맥락화
4) 자기 반영성 (Self-Reflectivity)
2. 내러티브 스타일 뮤직비디오
3. 혼합형 스타일 뮤직비디오

V. 결론: 뮤직비디오와 성적이미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페미니스트 문화실천가들은 기존의 남성서사 중심인 문화 텍스트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여성주의적 텍스트를 생산하는데 주력해 왔다. 그 성과의 하나로 여성주의적 영화를 생산했으나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외면당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서 실패로 나타났다.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 문화양식이 기존의 가부장적인 성별 재현체계를 균열시킬 수 있는 전복적인 텍스트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전략으로 보며, 나아가 기존의 상업적인 대중문화의 텍스트도 전복적인 포스트모더니즘을 위한 장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Kaplan, 1988).
참고문헌
김강석(1997), "한국 뮤직 비디오의 장르적 범주화와 영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현석(1997), "한국 뮤직비디오 영상의 해체적 성향에 관한 연구-기호학적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훈순, 김명혜(1996) "여성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 38호 pp.203-248.
김훈순, 김명혜(1996)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 사회, 제 12호. pp. 6-50.
김훈순, 김은정(2000) "한국 멜로영화의 장르연구: 관습의 반복과 변형"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 14-1호 pp. 113-154.
라지용(1994), "포스트 모더니티의 문화적 현상에 관한 연구-뮤직 비디오 텍스트를 중심으로", 중대 신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박명진(1989), "후기 영상문화의 현상", 예술과 비평, 17.
원용진(1996).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
정은영(1994), "한국 소녀들의 뮤직비디오 소비와 문화적 실천",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주창윤 (1995) 소비문화, 포스트모더니티, 뮤직비디오, 세계의 문학, 제 75호, pp.245-284.
최대실(1999),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 유희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
하남경(1994), "뮤직비디오 수용을 통한 젊은이들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Aufderheide, Pat(1986), "Music Video : The Look of the Sound",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36, no. 1, Winter.
Brown, J. & Schultz, L. (1990), "The Effect of Race, Gender, and Fandom on Audience Interpretations of Madonna's Music Videos." Journal of Communication, 40.
Fiske, John(1986), "MTV: Post Structural Post Modern,"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vol. 10, no. 1, Winter.
Goodwin, A., (1992) "A Televisual Context: MTV", Dancing in the Distraction Factory-Music Television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Goodwin, A.(1987), "Music Video in the Postmodern World", Screen, ,18.
Jameson, J.(1984).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New Left Review, 146, pp. 53-92.
Kaplan, E. A., (1987), Rocking Around the Clock: Music Television, Post Modernism & Consumer Culture, New York: Routledge.
Kaplan, E. Ann.(1985), "A Postmodern Play of the Signifier? Advertising, Pastiche and Schizophrenia in Music Television," in Television in transition. Philip Drummond & Richard Paterson (eds.).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Kaplan, E. Ann.(1986), "History, the Historical Spectator and Gender Address in Music Television,"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vol. 10, no. 1, Winter
Kaplan, E. Ann.(1987), "Whose Imaginary? Text, Body and Narrative in Select Rock Videos," in Cinematic Pleasure and the Female Spectator. Deidre Pribram (ed). London: Verso,
Kaplan (1988) Postmodernism and Its Discontents: Theories and Pratices (ed.), London: Verso.
Lewis, L.(1990), Gender Politics and MTV: Voicing the Difference, Temple University Press.
Lewis, L.(1990), "Consumer Girl Culture: How Music Video Appeals to Girls" Television & Women's Culture. (ed.) by M. E. Brown, London: Sage.
Lyotard(1984)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Radway, J. (1987) Reading in the Romance: Women, Patriarchy, and Popular Literature, London: Verso
  • 가격3,2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8.09.02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