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훈민정음의 역사적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훈민정음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3.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

4. 훈민정음의 활용

5. 훈민정음 창제의 역사적 의미

6. 결론

본문내용

정치적, 사회적 의사표시의 수단으로 삼음으로써 스스로의 의식수준을 한층 더 높여간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한글이 반포된 지 3년 후에 벌써 대신들을 비방하는 言文壁書가 나왔고, 우리가 이미 알다시피 연산군 시대에는 그의 폭정에 항거하는 言文投書, 言文掛書가 빈번하여 한글 사용 금지령이 내리고 한글책이 불태워졌다. 권력과 횡포 때문에 한글이 일시 탄압 받기도 하였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양반의 권위가 떨어지고 백성세계의 자의식과 사회적 지위가 높아진 이조후기에 와서한글은 백성글로서 그 자리를 더욱 굳혔다. 괘서나 문학작품 등을 통하여 백성세계의 정치적 사회적 요구와 주장을 펼치는 수단이 됨으로써 중세 양반사회를 무너뜨리고 근대 민중사회를 이루어나가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무기의 구실을 다했던 것이다. 한문이 진서의 자리를 잃어가고 한글이 언문의 위치를 탈피하면서 국문의 자리를 굳혀가는 과정은 바로 백성이 나라의 주인이 되어가는 과정이며 우리 역사가 근대화해 가는 과정이었던 것이었다. 강만길 위의 논문 213쪽 참조.
이렇게 어느 정도 의식이 성장한 백성을 교화, 지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였던 훈민정음의 창제와 활용의 과정은 백성의 자의식이 높아지고 나라의 주류로 자리 잡는 과정을 반영하게 된다는 점에서 훈민정음은 의의를 가진다.
6. 결론
지금까지 훈민정음창제의 배경과 동기, 활용과 이를 바탕으로 한 역사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훈민정음 창제는 세종이라는 인물의 언어학적 소양과 백성에 대한 관심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중국주변국의 문자창제와 백성의 자의식 성장과 그에 따른 백성 교화, 지배 방식의 변화 필요성이라는 시대적 요청도 있었다. 그리고 이두의 한계성, 한자음 표기 문제 등의 실용적 측면에서도 훈민정음의 창제는 요구되었다. 훈민정음은 현재에 이르기 까지 우리의 언어생활을 원활하게 만들었고 다른 나라와 구분되는 우리만의 문자를 가졌다는 민족적 자긍심을 주었다. 또한 훈민정음은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훈민정음은 세종이 남긴 가장 훌륭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자 우리 역사 상 가장 빛나는 업적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은 우리는 지금까지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글을 자랑하고 발전시킬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7. 참고문헌
조남욱, 『세종대왕의 정치철학』,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1
김정수, 『한글의 역사와 미래』, 열화당, 199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세종시대의 문화』, 태학사, 2001
강만길, 『한국사』8, 한길사, 1994
박영규, 『세종대왕과 그의 인재들』, 들녘, 2002
최기호,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동방학지』36,37, 1983
허웅,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그 역사적 의의」, 『수도교육』29, 1977
배대온,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하여」, 『경상어문』5,6, 2000
강만길,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1978
박종국, 『한국어 발달사』, 문지사, 1996

키워드

  • 가격1,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28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