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결혼][예식][결혼식][전통혼례][독일 결혼식][독일 혼례]혼례(결혼, 예식)의 의의, 전통혼례의 근원, 전통혼례의 절차와 전통혼례의 의미, 전통혼례의 예절, 독일 혼례(결혼식, 예식) 사례 분석(혼례, 결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혼례][결혼][예식][결혼식][전통혼례][독일 결혼식][독일 혼례]혼례(결혼, 예식)의 의의, 전통혼례의 근원, 전통혼례의 절차와 전통혼례의 의미, 전통혼례의 예절, 독일 혼례(결혼식, 예식) 사례 분석(혼례, 결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혼례(결혼, 예식)의 의의

Ⅲ. 전통혼례의 근원

Ⅳ. 전통혼례의 절차와 그 의미
1. 의혼
2. 납채
1) 사주의 전달
2) 연길
3. 납폐
1) 혼서
2) 납폐의 내용
4. 친영
1) 전안례
2) 교배례
3) 합근례
5. 폐백

Ⅴ. 전통혼례의 예절
1. 부부간의 예절
1) 부부공통의 예절
2) 남편의 예절
3) 아내의 예절
4) 맞벌이 부부의 예절
2. 호칭 예절

Ⅵ. 독일의 혼례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고 부르고 존대해야하며, 손아랫 동서가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동서\' 라고 부르고 존대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변사람에게 시댁 식구를 지칭할 때는 시아버님, 시어머님, 시아주머님, 시누이, 동서 등의 지칭어를 사용해야 한다. 시부모님은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른다. 시부모님에 대한 표준적인 호칭어는 \'아버님, 어머님\'이므로 남편이나 기타 시댁 식구들에게 시부모님을 지칭할 때는 아버님, 어머님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 하지만 간혹 남편에게 시부모님을 지칭할 때 \'당신 아버님, 당신 어머님\' 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남편을 낳으시고 길러주신 시부모님에 대한 존경과 사랑이 담긴 표현이라 보기 어려우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편에 대한 표준호칭에 빨리 익숙해지자. 남편에 대한 호칭은 \'자기, 오빠, ..씨, 형, 아저씨\' 등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지만 몇몇 호칭은 시댁어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호칭이란 것은 한번 입에 배면 좀처럼 고치기 힘든 것이므로 가능한 한 \'여보, 당신\'과 같은 표준 호칭에 빨리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 타인에게 남편을 지칭할 때는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시동생에게는 \'형님\', 시아주머님에게는 \'동생\', 시누이에게는 \'오빠\', 친정 부모에게는 \'..서방\' 혹은 \'그이\'라고 하는 것이 무난하다. 남편 형은 아주버님, 미혼인 남동생은 도련님이라고 부른다. 남편의 손위 형제를 부를 때는 \'아주버님\'이라고 하고, 손아래 남자 형제를 부를 때는 미혼인 경우 \'도련님\'으로, 기혼인 경우는 \'서방님\'으로 한다. 남편의 누나일 경우에는 \'형님\'이라고 하고, 손아래 여자형제는 \'아가씨, 아씨, 애기씨\'라 부른다. 하지만, 친정신구들이나 기타 타인에게 남편의 형제를 지칭할 때는 남편의 손위 남자 형제의 경우 \'시아주버니\', 손아래 남자 형제의 경우 \'시동생\', 여자 형제의 경우 \'시누이\'라고 부르면 된다.
손윗동서는 나이가 어려도 형님이라고 부른다. 시댁 어른들은 며느리들이 사이좋게 지내야 집안이 화목하다고 생각하므로 며느리들간의 서열이나 호칭에 대해 엄격하게 관여한다. 그러므로 남편 형의 아내를 부를 대는 \'형님\', 남편 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는\'동서\'라고 해야한다. 특히 며느리들간의 서열은 나이가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남편 형제들의 서열에 준하므로 설사 손윗동서가 자기보다 나이가 적어도 \'형님\'이라 부르며 깍듯이 존대해야 한다. 친정식구나 타인에게는 손윗동서를 \'큰동서, 맏동서\'로 아랫동서는 \'동서\'라고 지칭하면 된다.
기타 시댁식구들은 남편이 부르는대로 부른다. 남편의 직계 혈족이 아닌 기타의 시댁 식구들을 호칭할 때는 남편이 그들을 부르는 대로 부르면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이 작은 아버지라고 부르면 아내도 작은 아버지라 불러도 된다.
Ⅵ. 독일의 혼례 사례
신부 옆에는 화려하게 차려입은 친척 어린아이들이 신랑신부가 행진할 때 뿌릴 꽃바구니를 들고 신부의 뒤를 따른다. 신랑은 신부가 성장을 하고 교회에 도착할 때까지 웨딩드레스를 입은 신부를 볼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들은 각기 꽃으로 장식한 차로 시내 드라이브를 즐기면서 지나가는 행인들로부터 축하를 받으며 교회에 도착한다. 교회에 도착해서 신부는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식장 안으로 들어서게 된다. 그러면 신랑은 신부 아버지가 신부를 데리고 앞으로 나올 때까지 정면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인계받는다. 그런 다음 신랑신부는 결혼반지를 교환한다. 상대방의 이름이 새겨진 이 결혼 반지는 서로에게 소속되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식이 진행되는 동안 친구나 가족들이 나와 축가를 부르거나 음악을 연주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의식을 마친 다음 신랑신부는 교회문을 나선다. 이들이 교회문을 나설 때 친구들은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쌀이나 페이퍼롤을 던지며 행운을 기원한다. 곧이어 신혼부부는 차를 타고 시내를 드라이브하는데, 길을 지나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제 막 결혼했음을 알리기 위해 차 뒤에 깡통을 매달고 요란한 소리를 내며 도심을 달린다.
참고문헌
김치곤 / 우리의 전통예절, 계문사여성연구소(1990) / 한국 전통혼례의 창조적 계승과 건전혼례문화 정착을 위한 연구
박혜인(1988) / 한국의 전통 혼례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전통예절연구회(1997) / 관혼상제는 이렇게, 도서출판 신나라
조양제(1984) / 혼례법절, 관혼상제, 일신서적공사
최운식ㆍ김명자 외(1998) / 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한용덕(1982) / 혼례, 홍신문화사

키워드

혼례,   결혼,   예식,   전통혼례,   부부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5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