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를 통해 본 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소감

본문내용

트들은 이제까지의 텍스트들과는 다르게 뇌우를 내려 흉년이 들게하고 난폭한 행동을 함으로써 기근과 징역이 지속되게 하는 등 인간세계에 해를 끼치는 용이 등장한다.
이는 김수로왕이 허황옥을 왕후로 맞이하고 불교를 국교로 받아들이는 시점에서 불교와 용을 숭배하는 토착신앙의 충돌이 있었고 충돌 후 결국 불교가 용 신앙을 흡수하게 되는데 걸린 기간이 4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결론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용을 살펴보았다. 불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존재했던 용에 관련된 신앙은 신농, 알영의 출생 그리고 석탈해의 출신성분과 관련해서 용의 자식과 같은 신화적 성격으로 나타났다. 불교 수용 이후에는 토착신앙 이였던 용 신앙과 불교 신앙과의 충돌이 있었지만 당시 왕권확립에 힘을 기울이던 김수로왕이나 신문왕과 같은 왕에 의해 불교는 수용 될 수 밖에 없었고 불교와 용 신앙은 왕의 입맛에 맞춰져서 결합되기도 하였다. 용은 고대사회의 왕권강화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하였고 이후 결합된 불교에서 용은 호국, 호법의 행위자로 자리를 잡았다. 불교를 이용해 왕권강화를 하려 했던 왕은 주로 용을 호국적 성격으로 불교를 전파하려는 불교인들은 호법적 성격으로 이용하였다.
소감
고대사회에서 용은 감히 덤벼들지 못할 정도로 방대하고 어려운 내용이었다. 이것저것 많은 자료가 있었지만 그것들을 하나로 묶는 구심점을 잡기가 힘들었다.
워낙 신라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삼국유사여서 그런지 불교와 용이 결합한 경우는 신라밖에 없었다. 고구려 기록에서 도교와 용이 결합한 내용이 있고 불교와 결합한 기록은 없다. 기회가 된다면 이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고 싶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