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을 통해 본 조선시대 생활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측간의 유형
(1)사찰의 측간
(2)농가의 측간
(3)사대부가의 측간
(4)지역에 따라 특이하게 발달한 측간

3. 결론

본문내용

인분으로 거름을 만드는 대신 돼지를 키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림3-붉은 원이 발을 놓는 곳이다.
그림4-조감도를 통해서 본 통시.
그림5-통시. 바닥을 낮게 해서 오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았다.
나. 울릉도의 측간
울릉도에는 바람이 강하고 눈이 많이 내린다. 그래서 우데기를 설치하는데, 이 우데기는 울릉도의 민가에서 방설·방우·방풍 등을 위해 본채의 벽 바깥쪽에 기둥을 세우고 새나 옥수숫대 등을 엮어 친 외벽을 말한다. 우데기는 보통 집과 130-150cm정도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데, 이 본채와 우데기 사이의 빈 공간에 화장실과 봉당 주택 내부에 있으면서 마루나 온돌을 놓지 않고 바닥면을 흙이나 강회·백토 등을 깔아 만든 공간. 우리 나라의 주택유형 중 주로 겹집(양통집)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홑집(외통집)에서도 볼 수 있다. 그 기능은 1차적으로 출입공간이며, 2차적으로는 각 방들의 연결통로이고, 3차적으로는 창고 같은 기능도 한다. 출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com/encykorea.htm#)이다.
을 둔다.
3.결론
본문에서는 측간을 여러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산중에 위치한 지형의 특성을 이용한 사찰의 측간과, 냄새와 위생상의 문제를 위해 주거건물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지어진 농가, 사대부가의 측간, 지형과 기후에 최적화된 제주도와 울릉도의 측간을 통해서,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측간의 유형
(1)사찰의 측간
(2)농가의 측간
(3)사대부가의 측간
(4)지역에 따라 특이하게 발달한 측간
3. 결론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