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명절][한국 전통발효식품][한국 전통사찰음식][전통풍물굿][전통악기][전통놀이]한국의 전통명절, 한국의 전통발효식품, 한국의 전통사찰음식, 한국의 전통풍물굿, 한국의 전통악기, 한국의 전통놀이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명절][한국 전통발효식품][한국 전통사찰음식][전통풍물굿][전통악기][전통놀이]한국의 전통명절, 한국의 전통발효식품, 한국의 전통사찰음식, 한국의 전통풍물굿, 한국의 전통악기, 한국의 전통놀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의 전통명절
1. 한식
1) 유래
2) 의의
2. 단오
1) 단오의 유래
2) 단오의 의미
3) 단오의 풍속(전통놀이)
3. 추석
1) 추석의 유래와 의의
2) 다례와 성묘
3) 민속놀이
4. 설
1) 설에서 대보름까지, 정월의 의미
2) 설의 풍속
3) 설 음식

Ⅲ. 한국의 전통발효식품
1. 장류
1) 간장
2) 된장
3) 고추장
4) 청국장
2. 김치류
3. 젓갈류
4. 식초류
5. 주류
1) 청주
2) 소주

Ⅳ. 한국의 전통사찰음식

Ⅴ. 한국의 전통풍물굿

Ⅵ. 한국의 전통악기
1. 타악기
2. 편종
3. 편경
4. 징
5. 꽹과리
6. 박
7. 장고
8. 용고
9. 어

Ⅶ. 한국의 전통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루는 솜씨와 연주 기량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청중들을 소리로써 휘어잡는다. 선반은 풍물을 다루긴 하나 앉음반에 못 미치고 대신에 춤사위, 발림, 진법 등을 통해 가무악이 조화롭게 만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청중들을 입체적으로 장악한다. 둘째, 사물놀이는 풍물가락을 사용하되 그것을 앉음반의 형태로 재배열 하였으니 그 틀이 느린 가락에서 빠른 가락으로 이행되는 점층적 가속의 틀이라는 점에서 풍물굿의 틀과는 사뭇 다르다. 풍물굿의 틀은 춤사위와 진법에 따라 가락이 변모하기에 맺고 푸는 형태이지 빠른 가락으로 조여가는 틀은 아니다. 그러기에 풍물굿의 가락은 똑같이 쓰면서도 그것을 짜나가는 틀에서 다른 점이 발견된다. 셋째, 사물놀이의 앉음반은 춤사위나 발림이 거세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르는 복장인 부포와 상모가 소용없다. 뜬쇠패의 선반은 부포, 상모 등이 소용되고 드넓은 판이 요구되기에 갖가지 진법도 가능하다. 사물놀이는 실내 음악이고, 풍물굿은 실외 음악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물놀이의 본디 모습은 풍물굿임은 부인할 수 없다.
Ⅵ. 한국의 전통악기
1. 타악기
한국 악기 가운데서 가장 많은 종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타악기이다. 타악기는 전부 32종이나 되고 그 중 북 종류만도 18종에 이른다. 이들은 현재 국립국악원에 모두 보존되어 있다.
2. 편종
16개의 종을 두 단으로 된 나무틀에 위아래 각 8개씩 건 형태이다. 편종 16개의 크기는 같고, 종의 두께가 얇으면 소리가 낮고, 두께가 두꺼우면 그 소리가 높다. 또한 제례에 쓰는 편종은 그림없이 순검질박하게 만들고, 조회나 연향에 쓰는 편종은 화사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썼다. 틀 중앙에는 구멍을 뚫은 장방형의 방대와 그 위에 놓은 구멍 뚫린 목사자 한 쌍에다 꽂아서 고정시키고, 이 틀 양편에는 용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5개의 공작 등 화사한 장식으로 웅대한 모양을 갖추고 있다.
3. 편경
고정 음률을 가진 돌로 만든 악기이다. 고려 때부터 편종과 함께 사용한 아악기로서 경돌을 깎아 만들며 편종과 크기는 같고 두께에 따라 음이 낮기도 하고 높기도 하다. 방대와 틀, 그리고 16개의 경돌을 음률순으로 다는 법은 편종과 같고, 목사자 대신 백아(흰 기러 기), 용두 대신 봉두 등을 쓰는 점이 편종과 다르다. 백아를 쓰는 것은 편경 소리가 청아함을 상 징한다. 어떠한 음악에서나 편경은 편종과 함께 편성한다.
4. 징
일정한 음률이 없는 쇠붙이로 만든 타악기로 대취타, 무악, 농악 등에 널리 쓰인다. 주로 매 장단의 첫 박에 많이 치는데, 징은 한 번 치면 그 진동이 매우 크며 여운이 오래 가기 때문에 빠른 박 자로 여러 번 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5. 꽹과리
그 소리가 꽹꽹한다고 해서 꽹과리라 부르게 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매귀라고도 하였다. 종묘 제례악인 정대업에 사용되었고, 현재는 농악에 주로 사용된다. 농악에 쓰이는 꽹과리에는 상쇠와 부쇠로 구분되고, 그 소리가 높고 땡땡한 것은 숫꽹과리라 하 여 상쇠가 치고, 소리가 조금 낮고 부드러운 것은 암꽹과리라 하여 부쇠가 친다. 농악 놀이의 전 과정은 상쇠의 지휘에 따라 진행된다.
6. 박
단의 중간 박에박은 단단한 박달나무로 된 6조각의 판자쪽의 한 편에 구멍 2개를 뚫어 가죽끈으로 한데 묶고, 다른 한 편을 쭉 벌렸다가 힘차게 모아 치는 악기이다. 삼국 시대부터 사용해 왔으며 관현합주, 춤 등에서 광범하게 사용된다. 예전에는 음악의 시작과 끝을 지휘할 뿐만 아니라, 매 장단에 한 번씩 쳐서 마루를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음악을 시작할 때는 한 번 치고, 음악이 끝날 때는 세 번 침으로써 시작과 끝맺음을 지휘하는 법과 궁중 정재, 즉 춤을 출 때 춤사위와 방위의 변화를 지휘하는 법만이 남아 있다. 춤의 변화를 지시할 때는 한 장서 박을 쳐 준다.
7. 장고
나무통에다 가죽을 씌워서 만든 북 종류의 하나로 리듬 악기로서 가장 널리 쓰인다. 장고는 오른 손에 장, 즉 채를 들고 치는 북이라는 의미이나 허리가 가늘다하여 세요고라고도 한다. 왼쪽 가죽은 두꺼워 낮은 음이 나고, 오른쪽 가죽은 얇아서 높은 음이 난다. 삼국 시대부터 있었으며, 과거에는 물론 현재도 이 장고의 구실은 참으로 크다. 관현합주, 가곡, 가사, 시조, 잡가, 민요, 무악, 산조, 농악 등 우리나라의 각종 음악과 놀이에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어떤 악기보다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8. 용고
북통 양편에 고리를 박고 끈을 달아 어깨에 매고 두 손의 북채로 친다. 취타나 행악에 쓰였다. 지금도 대취타에 편성된다.
9. 어
나무로 만든 호랑이 등에 27개의 나무 톱니를 만들고 채로 머리는 세 번 치고 등의 톱니를 한 번 긁는데, 이것을 3회 반복하여 음악을 끝낸다.
Ⅶ. 한국의 전통놀이
○ 숨박꼭질 류 : 숨고 찾는 놀이
- 깡통 차기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신발 숨기기
○ 술래잡기 류 : 쫓고 쫓기는 놀이
- 치기 장난
- 얼음 땡(색깔 찾기, 돌막 올라가기)
- 등 감추기 (매미 술래잡기)
- 절름발이(깽깽이) 술래잡기
- 어부 술래잡기
- 알까기 술래잡기
- 다방구
○ 돌로 하는 놀이
- 석전
- 돌 깨기
- 멀리 던지기
- 쫄기 접시 ( 물수제비 )
- 목표물 맞추기
- 비석 치기
- 망차기
- 망 줍기
- 공기 놀이류
○ 맨땅 놀이 1 ( 밀고 당기는 놀이 )
- 오징어 류
- 동서남북
- 또아리
- 개뼈다귀
- 기마전 류
○ 맨땅 놀이 2
- 땅 따 먹기
- 글씨 찾기
- 막대 쓰러뜨리기
- 한발 뛰기
- 흉내 내기
- 나팔 귀신
- 허수아비
- 왕대포
- 말뚝 박기
- 공말 타기
- 고무줄 놀이류
- 줄넘기류
- 구슬치기
참고문헌
강인희(1987),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2001), 한국 민속의 세계 5-전승놀이/세시풍속,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곽영호(1999), 겨레의 얼 한국전통음악의 미, 도서출판사 광명당
우리 문화 길라잡이(2002), 국립국어연구원 지음, 학고재
이규태(1991), 우리의 음식 이야기, 기린원
이효지(1999),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한복선(1991), 명절 음식, 대원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4.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