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시장 진출 전략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프리카 시장 진출 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아프리카 현황
1. 아프리카의 동향
2. 세계 주요국의 아프리카 접근전략
1)미국의 투자전략
2)EU국가들의 투자전략
3)인도의 투자전략
4)일본의 투자전략
5)중국의 투자전략

Ⅲ.아프리카 시장 진출 현황 및 타켓국가
1.전략개요
2.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남아공의 경제
나-남아공에 대한 주요 투자국가
다-남아공의 지역 무역 협정 체결 현황
라-남아공의 자원
마-남아공에 대한 한국과 인접 국가 수출입 현황
3.가봉
가-가봉의 경제
나-투자 환경
다-수출입 교역선
라-가봉의 자원
마-가봉에 대한 한국과 인접 국가수출입 현황
4.아프리카 휴대폰시장
5.한국 기업의 진출현황

Ⅵ. 아프리카 시장 진출전략
1.가봉
2.남아공
3.자원 확보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카 국가와의 외교 관계를 중시해왔고 거리가 멀고, 문화 차이가 큰 아프리카와의 외교 관계는 평범했었다. 하지만 2005년 부터 한국은 점차적으로 눈길을 아프리카 나라로 돌렸다.
한국 총리와 외교 통상부 장관은 연이어 아프리카 4국을 방문했고 후에 노무현 대통령은 2006년 3월에 애굽, 나이지리아와 기네아 등 나라를 방문했다. 이는 한국 대통령이 24년 이래 처음으로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를 방문한 사례다. 한국 정부는 노무현의 아프리카 방문의 주요 목적은 석유 생산국과의 에너지 협력 관계를 강화해 한국의 에너지 공급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명확히 지적했다.
한국은 아프리카 지역은 에너지와 자원의 보고이고 거대한 시장 잠재력 및 기간시설 건설 분야의 거대한 수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은 한국의 석유 등 에너지와 자원의 공급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한국 기업을 위해 새로운 국제 시장과 대형 기간시설 건설 항목을 쟁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정부 전문기구의 설립을 통해 한국 석유기업을 지원한다.
한국 석유기업은 아프리카와 기타 지역에서 석유 자원을 탐사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이 2004년 11월에 설립한 국가 에너지 자문기구는 대통령이 친히 지도하여 국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이다.
2004년 12월, 한국 정부는 에너지 공급에 대해 3년 계획을 수립했고 국내 기업으로 해외에 진출하여 석유를 채굴하도록 지원했다. 2005년 3월 한국 정부는 해외서 석유를 탐사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또한 위험있는 융자를 제공하고 해외서 전문적으로 석유 개발 사업에 종사하는 기업을 육성할 계획을 세웠다. 이와 동시에 한국 기업은 또한 대통령이 임명한 위원장의 국가 에너지 위원회를 설립해 해외서 석유 오일가스 자원 작업의 지도를 강화했다. 현재 한국이 해외에서의 오일 가스 개발은 이미 20여 개 국가에 진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일부 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정책의 실시를 통해 적극적으로 석유 지역의 채굴 자격을 얻는다.
2005년 8월 나이지리아 정부는 30여 개 유전의 탐사 채굴 권한에 대해 경매를 진행해 경매 총가격이 20억 달러를 초과했고 전세계 18개 석유회사들이 경매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한국 석유회사는 4억8500억 달러의 가격 우세로 인도 석유회사의 이미 손에 잡힌 두개 유전의 채굴권을 상실했다. 나이지리아 정부의 관련 규정에 의하면 한국 석유회사는 2개 유전의 65%의 주식을 획득할 수 있고 아울러 20억 통 석유 비축량의 채굴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채굴 작업이 성공한 후 한국은 12억 통을 소유할 수 있어 이는 한국 1년 반 동안 소비하는 석유량에 상당하다. 이 밖에 한국 SK 그룹도 2006년에 마다가스카르와 그 국가의 북부 해역에 있는 4개 유전 주식의 계약서를 서명했고 이런 유전의 총비축량은 2.2억 통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Ⅴ.결론
아프리카 진출을 위해 사활을 건 총력외교를 펼치고 있는 중국, 아프리카 기니만의 원유확보를 위해 막대한 양의 자본과 물량공세를 하고 있는 미국.
FTA 체결과 원조규모 확대를 통한 기존에 확보하고 있었던 기득권 유지에 치밀한 공략을 하고 있는 EU, 최근 아프리카 에너지 자원시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인도는 역사적 관계와 지리적 근접성을 이용하여 경제 협력관계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인도 , 1970년대부터 진출기반을 만들고 대규모 개발 원조를 지원하고 1993년에는 유엔개발계획, 세계은행등과 같이 도쿄 아프리카 개발회의(TICAD)를 창설하고 아프리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일본.
이들은 오래전부터 세부적인 전략을 세우고 아프리카를 공략하였고, 현재는 그 전략이 가시화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중국이나 미국처럼 막대한 량의 자금원조나 물량공세를 펼칠 수가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우리나가 하나 남은 블루오션이라고 불리는 아프리카에 진출을 못하거나 할 수 없다고는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아프리카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마지막 남은 블루오션인 것을 알고 있고 투자를 위해 계획하고 실행 하고 있을 것이다. 투자를 보면 현 정부는 우선 아프리카에 대한 유상원조와 무상원조를 계획하여 2006년 기분 3천 5백만 달러에서 2011년까지 7억 달러로 확대 하고, 무상원조 역시 2009년 까지 6천백 만 달러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무상원조의규모가 유상원조에 비해 현저히 적다고 생각된다. 아프리카에 대한 선진국들은 엄청난 물량공세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상원조의 규모를 적게 가지고 간다면 그들은 우리의 관심을 그냥 웃어넘길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무상원조 규모를 선진국 수준까지 할 수 없어도 근접 할 정도로 더 확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투자에 있어 우리는 우리만의 장점을 그들에게 주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IT관련 수준은 세계적수준이고, 건설 또한 세계적 수준이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장기를 살려서 우리만의 특징적인 장점을 가져야 한다.
그래서 정부의 범지원적인 형태의 투자가 아프리카에서 선진국들과의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이고 만약 정부가 자발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프리카에서 생존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최근 아프리카의 시장동향과 진출전략
원천식 저 | 韓國貿易協會 발행
아프리카市場 에서 成果올리는 印度 의 進出戰略
이경선 저 | 産業硏究院 발행
경험과 사례를 통한 아프리카시장 진출전략
임용탁 저 | 명지대학교 아랍아프리카센터·종합경제사회연구원 발행, 2002
한국의 아프리카 진출 확대전략 : 수출증진을 중심으로
심의섭 저 | 명지대학교 아랍아프리카센터·종합경제사회연구원 발행, 2001
韓國의 對阿 建設進出 方案 硏究
趙四石 저 | 한양대 경영대학원 발행
사하라이남 석유·가스 개발동향과 진출가능성
건설교통부 저 | 건설교통부 발행, 2003
西部아프리카諸國 經濟共同體(ECOWAS)와 韓國의 進出方案에 관한 고찰
吳世旭 저 | 韓國外國語大 貿易大學院 발행
韓國中小企業體의 海外市場進出戰略에 관한 硏究
류원혁 저 | 關東大學校 발행
  • 가격6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01.04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