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저널리즘과 기자 저널리즘의 비교분석과 PD 저널리즘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D저널리즘과 기자 저널리즘의 비교분석과 PD 저널리즘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PD 저널리즘의 개념과 태생
2. PD 저널리즘의 차별성
3. 기자와 PD의 저널리즘의 인식에 대한 차이
4. 지상파 방송 3사의 PD 저널리즘 프로그램
5. PD 저널리즘에 대한 논란
6. PD 저널리즘이 나아갈 길

Ⅲ. 결론

본문내용

로 심층추적을 해야 한다. 철저한 사실 추적을 통해 경천동지할 내용의 보도를 할 수 있어야 TV 탐사보도의 당위성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보도를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 때 진정한 저널리즘의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PD 사회 내부에 자원의 배분에 관한 컨센서스가 있어야 한다. 내부의 견제와 질시는 피디 스스로의 위상을 저하시킬 뿐이다."
Ⅲ.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방송 저널리즘의 새로운 장르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는 PD저널리즘에 관하여 PD저널리즘 제작진이 갖고 있는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PD 저널리즘이 기존의 전통적인 기자 저널리즘과 어떤 차별성을 갖고 있고 PD와 기자 각 직종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저널리즘’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상파 3사에 편성된 PD 저널리즘 시사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PD 저널리즘의 현재와 미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프로듀서들은 PD저널리즘의 본질적인 가치를 ‘개혁성’이라고 보고 있고 사회적 약자의 광점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하나의 사안을 다룰 때 ‘양면균형’보다 ‘일면돌파’라는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있어서도 양비론적인 애매모호한 결론보다는 제작진의 판단이 들어간 ‘주장’을 선호하는 편이다.
기자들은 PD 저널리즘 프로그램이 사실보도와 논평을 뒤섞음으로써 시청자들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고, 공정성과 객관성 측면에서 시비 거리를 제공한다고 비판한다. 엄격한 객관주의 보도규칙을 최상의 가치로 여기는 뉴스와 현실에 기초하여 사건을 재해석해 내는 다큐멘터리의 원칙이 서로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좋은 저널리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두 집단의 전문 주의적 관행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발전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상호간의 교류가 필요하지만 공동교육이나 공동제작이 그리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양 집단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제작 모델이나 가이드라인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은 저널리즘의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청률 의식한 소재 선정의 문제에서 시청률이 방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PD 저널리즘 분야만 고고하게 시청률을 의식하지 말라고 말하는 건 난센스다.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그만큼의 사회적 영향력을 증명하는 중요한 수치가 될 수 있기 때문인데, 문제는 어떻게 시청률을 올릴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고민이 지금보다 더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끌 수 있는 소재, 이를테면 살인, 폭력, 성관련 소재들을 다룸으로써 손쉽게 시청률을 올리려는 시도들이 적지 않았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PD 저널리즘이 센세이셔널리즘만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지 않았는가? 이제는 시청자들의 수준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점을 제작진들이 간과해서는 안 된다. 매체환경도 많이 변했다. 인터넷에서 각종 흥미로운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데 방송사가 똑같은 수준의 얘기밖에 해줄 수 없다면 결국 PD 저널리즘은 그 설 곳을 잃게 될 것이다. 결국 어떤 사안에 대해 얼마나 다면적이고 입체적으로 심층취재를 해내느냐가 PD 저널리즘의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강형철(2000).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제작 특성과 과제. 『PD수첨과 프로듀서 저널리즘』. 서울:나남. 120~159
최영묵(2004). “성역과 금기 그리고 인권, 한국사회 그늘에 관한 ‘비망록’, 『PD수첩, 한국PD 저널리즘의 보고 Ⅱ』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10~48
차배근(1986). 폭로저널리즘의 정기능과 역기능. 『언론중재』 겨울호, 10~11
김연식 외 (2005) PD 저널리즘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관행 MBC 을 중심으로
윤호진 외(2005). 『PD저널리즘의 성과와 과제: 채널별 편성 현황 및 주요 프로그램 담론분석』. 한국방송영상산 업진흥원.
박웅진(2005), 『PD 저널리즘, 평가와 과제』,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www.kbi.re.ke) KBI 칼럼 중 발췌.
정길화(2000). 제작진이 생각하는 PD수첩 10년의 의의와 과제 『PD 수첩과 프로듀서 저널리즘: MBC PD수첩팀 편』 서울: 나남출판
한학수 PD 홈페이지 (www.haksoo.co.kr) 문화비평, 방송과 미디어, 『다큐멘터리를 연구하는 모임 특강 ‘KBS 장윤택 프로듀서와 함께’』중 발췌(2002)
백선기(1995). ≪보도의 기호학 : 한국 신문과 사회의 의미구조≫,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백선기(2002). “의 공과 실: 프로그램의 서사구조, 논증구조 및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이상기(2002). ≪텔레비전 저널리즘≫, 서울: 한국언론재단.
Abercrombie, N.(1996). Television and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Barker, C. & Galasiski, D.(2001). Cultural Studies and Discourse Analysis: A Dialogue on Language and Identity, London: Sage.
Bennet, W. N.(2005). News: The Politics of Illusion, 6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Campbell, V.(2004). Information Age Journalism, Londom: Arnold.
Dahlgren, P.(1995). Television and the Public Sphere: Citizenship, Democracy and the Media, London: Sage.
McQuail, D.(1992). Media Performance: Mass Communication and the Public Interest, London: Sage.
Rose, G(2001). Visual Methodologies: An Introduc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Materials, London: Sage.

키워드

PD,   기자 ,   저널리즘,   PD수첩,   방송,   보도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2.2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