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화, 동일시, 보상, 분리, 대리형성, 상징화, 억제, 저항, 투사, 해리, 승화, 대리형성, 취소, 함입, 억압, 반동형성에 관한 심층 분석,신포도형,달콤한 레몬형,투사형,망상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합리화, 동일시, 보상, 분리, 대리형성, 상징화, 억제, 저항, 투사, 해리, 승화, 대리형성, 취소, 함입, 억압, 반동형성에 관한 심층 분석,신포도형,달콤한 레몬형,투사형,망상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합리화
1. 신포도형
2. 달콤한 레몬형
3. 투사형
4. 망상형

Ⅱ. 동일시(同一視)

Ⅲ. 보상

Ⅳ. 분리(Splitting)

Ⅴ. 대리형성(Substitution)

Ⅵ. 상징화(Symbolization)

Ⅶ. 억제(Suppression)

Ⅷ. 저항(Resistance)

Ⅸ. 투사(Projection)

Ⅹ. 해리(Dissociation)

Ⅺ. 승화(Sublimaion)

Ⅻ. 대리형성(Substiution)

ⅩⅢ. 취소(Undoing)

ⅩⅣ. 함입(Introjection)

ⅩⅤ. 억압

ⅩⅥ. 반동형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때문에 나타난다. 그런데 이 증상은 환자를 최면 상태로 이끌어 다시 과거를 체험시키기만 하면 없어진다. 그래서 브로이어는 그러한 치료법을 \'정화법(chatharsis)\'이라고 불렀다. 프로이트는 히스테리를 이해하기 위해 무의식적인 갈등과 방어기제에 관한 이론을 발달시켰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히스테리성 마비, 경련, 건망증, 난청, 발성불능, 시야협착, 히스테리성 장님은 사람들이 자신의 의식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분명한 신체 증상에 몰두시킴으로써,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고통스러운 사고와 감정을 회피하려 하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그런 차단의 핵심 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억압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러한 방어 기제는 본래 불안을 일으키는 욕구나 충동을 완전히 해소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인 충동은 지속된다.
ⅩⅥ. 반동형성
겉으로 나타나는 태도나 언행이 그 사람의 억압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의 정반대인 경우의 심리기제를 반동형성이라고 한다. 무의식의 밑바닥에 흐르는 경향·생각·소원·충동이 너무나도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성격이 이루어져서 나타나는 경우를 가리킨다. 자아는 때로 반대 행동을 함으로써 금지된 본능적 욕구나 충동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자신을 조절하거나 방어한다. 그러한 방어 기제를 반동 형성(reaction formation)이라고 한다. 반동 형성은 하나의 본능이 그와 대립되는 본능에 의해 가려질 때 발생한다. 대개 본능과 그 파생물은 사랑 대 증오, 생명 대 죽음, 능동 대 수동, 지배 대 복종과 같이 한 쌍을 이룬다. 그래서 만약 다른 사람을 증오하는 감정이 초자아 때문에 불안해지면 자아는 그 증오를 감추기 위해 반동 형성적으로 사랑의 감정을 촉발시킨다. 프로이트는 공포도 반동 형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어떤 대상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사실 그 대상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다. 두려운 것은 그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그 대상을 욕구하는 자기 자신의 마음이다. 그러고 보면 박애는 야만적인 성욕의 가면이며, 이타주의는 이기주의를 숨기기 위한 것이고, 경건은 죄를 감추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사람이 과장되게 규칙을 지키는 것은 그 사람이 반항심과 적개심에 쫓기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러한 반동 형성은 내면적인 위협뿐만 아니라 외면적인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누군가를 두려워할 경우 사람들은 거꾸로 그 사람과 친해지려고 한다. 그리고 사회를 두려워하는 사람은 사회의 관습을 철저하게 지키려고 한다. 또한 어떤 부모들  자식들을 미워하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 지나치게 아이들을 과잉 보호한다. 그러나 미운 놈 떡 하나 더 주는 식으로 나타나는 반동 형성적인 과잉 보호는 진정한 사랑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면 반동형성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반동 형성은 흔히 두 단계를 거쳐서 일어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을 일단 억압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충동에 반대되는 행동을 의식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A가 바람을 피고 싶다는 욕구가 있다면 그는 자신의 욕구를 무의식적으로 억압시키고, 그런 다음 그러한 연극의 상영을 반대하는 행동을 의식적으로 하게 된다. 흔히 반동 형성은 강박적이고 과장되고 엄격한 특징을 가진 행동 중에서 잘 나타난다. 앞의 예처럼 강한 성욕 때문에 불안한A는 그녀가사는 동네에서 외설적인 영화나 연극이 상영되는 것을 반대하는 선동가가 된다. 또한 그녀는 영화관이나 극장 앞에서 시위를 하거나, 요즘 영화나 연극이 타락했다고 관계 기관이나 언론사에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것이다. 반동 형성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어 기제이지만 그것은 비합리적이고, 기만적이고, 위선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동 형성이 자주 나타나는 사람은 현실을 왜곡해서 보거나 엄격하고 융통성 없는 성격으로 발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따금 자신을 돌아보며 자신이 이러한 방어 기제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숙(2003), 중학생의 인기도, 집단따돌림 경험 및 자아방어기제 사용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태환 역, 프로이드심리학 비판, 선영사
앤소니 엘리어트, 정신분석학 입문, 한신문화사
이무석(2003),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도서출판 이유
조두연(1985), 임상행동 과학, 일조각
최순남,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3판, 법문사
캘빈.S홀, 프로이드 심리학, 문예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3.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5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