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자엽식물][쌍자엽식물][양치식물][경엽식물][관속식물][두과식물][귀화식물]단자엽식물, 쌍자엽식물, 양치식물, 경엽식물, 관속식물, 두과식물, 귀화식물(단자엽식물, 쌍자엽식물, 양치식물, 경엽식물, 관속식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자엽식물][쌍자엽식물][양치식물][경엽식물][관속식물][두과식물][귀화식물]단자엽식물, 쌍자엽식물, 양치식물, 경엽식물, 관속식물, 두과식물, 귀화식물(단자엽식물, 쌍자엽식물, 양치식물, 경엽식물, 관속식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단자엽식물

Ⅱ. 쌍자엽식물

Ⅲ. 양치식물
1. 생활사
2. 분류
1) 고생솔잎란강
2) 석송강
3) 속새강
4) 고사리강
5) 전나자강

Ⅳ. 경엽식물

Ⅴ. 관속식물

Ⅵ. 두과식물

Ⅶ. 귀화식물
1. 귀화식물의 정의
2. 도입경로
3. 도입시기
4. 유사용어
1) 도입종(introduced sp.)
2) 이주종(immigrant sp.)
3) 비자생종(non-indigenous sp.)
4) 침입종(invasive sp.)
5) 외래종(alien sp.)
5. 특징
6. 종류
7. 분포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대부분의 과피는 좌우 편평하고, 상하에 봉합선이라는 튼튼한 섬유가 있으며, 종자는 윗쪽의 봉합선에 붙어 있다. 과피는 종자를 넣는 주머니로서 기원으로 보면 편평한 잎과 같은 기관이 중에서 한 쪽으로 접어져 갓이 유착된 결과로 생긴 것이다. 많은 콩과식물의 과피는 익으면 열개하고 종자를 흩어지게 한다. 아래쪽 봉합선에 따라 갈라지는 Desmodium이나, 봉합선 아닌 곳에서 갈라지는 고삼이나 Haematoxylon 등이 있다. 한편 열개하지 않는 과피도 있다. Hedysarum 군, 만년콩의 연, Bauhinia 연, 미모사속, Entada 속 등의 콩과에서는 종자가 한 개씩 과피에 싸여 있어 익어도 과피가 열개하지 않으므로 종자는 과피를 찢고 발아한다.
과피 다음올 콩과를 특징지우는 기관은 잎, 꼭 그리고 종자이다. 콩과의 잎은 호생이고, 탁엽을 가지며, 대체로 복엽이다. 꽃은 보통 양성화로서 기본적으로는 각각 5매의 약편과 꽃잎, 10개의 수술을 갖고, 중앙에 1개의 암술이 있다. 암술은 1매의 심피로 되고, 자바은 사우이로서 1실, 배주는 대체로 두 개 이생을 갖고 있다. 종자는 대부분이 2매의 자엽으로 되고, 배축과 종피가 있으나, 배유는 없는 것이 많다.
Ⅶ. 귀화식물
1. 귀화식물의 정의
귀화생물(Naturalized organism)이란 \"우리나라 비토착종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야생상태에서 스스로 번식하여 생존할 수 있는 종\"을 말한다. 왕벚나무, 미선나무, 소나무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 뚜렷한 자생지를 갖고서 생존하고 있는 종은 토착종 또는 고유종 이라고 부른다. 외국에서 들여와 재배되고 있는 종과 비의도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아직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에 정착하지 못한 종은 도입종 혹은 외래종 이라 부른다.
2. 도입경로
귀화생물(Naturalized organism)의 도입은 \'인위적인 경로\'와 \'자연적인 경로\'로 구분할수 있다. 인위적인 경로는 다시 \'의도적인 경로\'와 \'비의도적인 경로\'로 나뉘어 진다. 의도적인 경로는 인간이 식용이나 관상용으로 도입하는 경우를 말한다. 비의도적인 경로는 미국자리공, 돼지풀 등과 같이 외국으로부터 인간의 왕래와 화물의 수출입 등의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경우이다. 자연적인 경로는 바람, 해류, 철새 등에 의하여 도입되는 경우를 말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구체적인 예가 없다.
3. 도입시기
귀화생물(Naturalized organism)은 외국에서 도입된 생물이므로 외국과 교류가 빈번한 시기에 주로 도입되었다. 귀화생물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문헌기록에 의하여 대체로 3 기로 구분한다. 제1기는 개항을 전후하여 1921년까지 주로 중국을 통하여 도입되었다. 제2기는 태평양 전쟁과 한국동란을 전후한 1963년까지 전쟁물자 등을 통하여 북미, 일본 등을 통하여 도입되었다. 제3기는 1964년부터 현재까지로서 산업의 발달과 빈번한 외국과의 교류에 의하여 각국으로부터 인위적으로 도입된 시기로 판단되어진다.
4. 유사용어
1) 도입종(introduced sp.)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인위적으로 반입된 종이다.
2) 이주종(immigrant sp.)
기후생태적 특성으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진 종이다.
3) 비자생종(non-indigenous sp.)
자연적인 서식영역 외에서 살고 있는 종이다.
4) 침입종(invasive sp.)
외부에서 들어와 다른 생물의 서식지를 점유하고 있는 종이다.
5) 외래종(alien sp.)
외국 혹은 국내의 다른 지역에서 들어온 모든 종의 총칭이다.
5. 특징
꽃이 피었을 때 민들레와 서양민들레를 구분하기는 쉽다. 민들레 종류들은 수십 개의 꽃이 모여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 꽃차례(두상꽃차례)를 이루고 있는데, 이 꽃송이를 밑에서 받치고 있는 기관이 있다. 이를 모인꽃싸개잎, 한자말로는 총포라고 하는데 쉽게 꽃받침(엄밀한 의미에서 꽃받침은 아니지만)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 꽃받침 모양이 두 종에서 완전히 다른데, 민들레는 꽃받침이 꽃송이 밑에 찰싹 달라붙어서 받치고 있는 반면, 서양민들레는 바깥쪽 꽃받침이 밑으로 젖혀지는 특징을 보인다.
6. 종류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만이 아니다. 애기수영,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털비름, 말냉이, 족제비싸리, 자운영, 토끼풀, 수박풀, 달맞이꽃, 미국나팔꽃, 창질경이, 미국쑥부쟁이, 망초, 서양등골나물, 별꽃아재비, 서양금혼초(개민들레), 개쑥갓 양미역취, 메귀리, 오리새, 능수참새그령, 무려 230여 종류에 이른다. 더욱 심각한 것은 해가 다르게 종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80년대에 100여 종류였던 것을 감안하면 20년 새에 두 배 이상이 증가한 셈이다.
7. 분포
귀화식물은 주로 황폐지나 묵밭, 나지 등에 분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서양등골나물,붉은 서나물 등은 산림 속의 반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종은 서양민들레, 망초, 토끼풀 등 97종 남부지방에만 분포하는 종은 울산 도깨비 바늘, 양미역취 등 22종,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종은 털물참새피, 가시비름등 13종 현재 서울에서 볼 수 있는 풀들은 대부분 귀화식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토종\' , \'우리 것\'을 유난히 좋아하는 우리들이 미처 깨닫기도 전에 이미 외국의 것들이 우리들 포위하고 있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이런 외국 것들 은 논과 밭, 그리고 화단의 강력한 잡초가 되어 피해를 준다. 농작물 생산과 화초생육에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풀을 키워 가축을 기르는 목장에서 조차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제주도 중산간 지역의 목초지에 서양 금혼초가 침입해 목초 생산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이 식물은 뿌리가 깊게 들어가 여간해서는 구제할 수도 없다는 점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선희, 설악산 고산지역의 희귀식물 보전을 위한 평가기준 설정 및 적용,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서재철, 한라산야생화, 서울 : 높은오름, 1995
◎ 이영노, 한국동식물도감, 서울 : 문교부, 1976
◎ 이상희, 꽃으로 읽는 보는 한국문화 1.2.3, 넥서스, 1998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