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중국통치][청나라][군벌통치][연성자치운동][중국통치의 역사][청나라의 중국통치][중국의 군벌통치][중국의 연성자치운동]중국통치의 역사, 청나라의 중국통치, 중국의 군벌통치, 중국의 연성자치운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중국통치][청나라][군벌통치][연성자치운동][중국통치의 역사][청나라의 중국통치][중국의 군벌통치][중국의 연성자치운동]중국통치의 역사, 청나라의 중국통치, 중국의 군벌통치, 중국의 연성자치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통치의 역사
1. 北魏
1) 종족의 성격
2) 왕조의 수립
3) 통치 체제
4) 북위의 인사 제도
5) 효문제의 漢化政策
6) 姓族分定政策
2. 遼
1) 종족의 성격
2) 遼의 건국
3) 통치 체제
4) 統治 體制의 이중성
5) 지방관 제의 이중성
6) 문화적 특징
3. 金
1) 종족의 성격
2) 金의 건국
3) 통치 체제
4) 금의 정치
5) 漢化主義
6) 금의 관제
7) 금의 통치 체제
4. 元
1) 종족의 성격
2) 제국의 성립
3) 통치 체제
4) 민족 차별 정책
5) 몽골 제국의 점령지 통치가 갖는 특징

Ⅱ. 청나라의 중국통치
1. 청의 건국
2. 청의 건국과 입관
1) 청의 건국
2) 명의 멸망과 입관
3) 남명정권과 반청운동
3. 청의 중국통치체제

Ⅲ. 중국의 군벌통치와 연성자치운동
1. 연성자치운동의 배경
2. 연성자치운동의 전개
1) 호남의 자치운동
2) 사천의 자치운동
3) 광동의 자치운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봉전쟁으로 인한 남북의 정세변화 이전까지였다. 물론 민국(民國) 초년에도 앞으로 중국의 통일국가가 어떠한 형태여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에서 미국이나 스위스를 모방한 연방제 국가체제를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히 제기되기도 하였지만 이 연성자치론이 단순한 일 개인의 정론(政論)의 단계를 벗어나 구체적으로 실행의 단계로 옮겨지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전반에 와서였다. 그 지역은 호남·호북·사천·섬서 등 남북대립에 낀 지역이나 광동·광서·복건 등 그 영향하에 있는 지역이고 기타 서남 고지대에 고립되어 북방의 영향을 덜받는 운남·귀주와 또한 특수한 경우로 안휘파의 세력범위였던 절강(浙江)이 여기에 해당한다.
2. 연성자치운동의 전개
각 성이 자치운동을 추진하는 동기와 정치적 상황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1) 호남의 자치운동
호남은 자치운동이 가장 일찍 그리고 가장 전형적인 형태로 전개된 지역이었다. 호남이 이 운동의 선구가 된 이유는 과거 부량좌, 장경요 군벌정권을 비롯한 북양객군(北洋客軍)의 가혹한 대민수탈에 대한 반발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호남이 남북대립의 주요전장으로서 다른 성보다 심한 항상적인 내전의 상태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1920년 안직전쟁의 패배로 장경요가 축출되고 호남성장에 부임한 담연개가 남북정부로부터 초연한 상인치상(湘人治湘)의 기치를 걸고 성자치법(省自治法) 제정을 추진하면서 운동은 시작되었다. 그러다 곧 호남군벌집단내의 내분으로 인하여 담(譚)이 실각한 후 이어 집정한 조항척은 이를 계승하여 자치운동의 주도권을 장악하여 호남성헌법(湖南省憲法) 제정을 추진하고 이에 입각하여 성의회(省議會)를 구성하고 급기야 1922년 9월 스스로 호남성장에 당선됨으로써 완전히 호남의 군정과 민정을 장악하였다. 이 운동의 전개과정에서 지방의 지배층인 신사·상공계층들의 참여뿐 아니라 호남의 민주적 개혁을 요구하는 학생·지식인들의 광범한 호응을 받았으나, 일면 그 자치의 방향을 둘러싸고 급진·온건의 대립이 일기도 하였다. 그런데 성헌법에서 규정하는 사항 중 가장 중요한 내용이 군비축소〔裁兵〕에 관한 규정이었는데 사실상 군벌정권 주도하에서 바로 자신의 존재기반 자체를 부정하는 이와 같은 성정개혁(省政改革)이 순조롭게 실시될 수 없었던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2) 사천의 자치운동
사천의 자치운동도 기본적으로 호남과 비슷한 배경을 갖는데 운남의 당계요가 대운남주의(大雲南主義)를 표방하며 1920년 5월 사천을 침입하였지만 곧 사천군벌 유상·웅극무는 이를 구축하고 사천자치를 선포하였다. 그 후 자치의 구호는 사천의 패권을 장악하려는 군벌들의 정치 슬로건이 되었으니, 사천의 소군벌인 유성훈(劉成勳)·등석후(鄧錫候), 단무신(但懋辛) 등은 1922년 8월 사천성헌법회의주비처(四川省憲法會議籌備處)를 조직하였고 그밖에 국민당의 오옥장(吳玉章) 등 사천 지식인들도 사천자치회를 조직하고 이 운동을 적극 지지하였다. 그리하여 1922년 가을에 사천성헌법 초안이 통과되고 성의회 심사를 거쳐서 군벌 유성훈이 성장에 추대되었다.
3) 광동의 자치운동
광동에서도 광서군벌 육영정, 막영신 등의 약탈적 지배에 저항하여 광동의 진형명이 1920년 12월 손문과 함께 광주를 회복한 후 자치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진형명은 월인치월의 기치하에 성헌(省憲) 기초작업에 착수하여 1921년 12월에 심사를 완료하였다. 그런데 광동일성(廣東一省)에서의 지배권 구축을 지향하는 진형명의 성중심주의는 손문의 북벌노선과 대립하여 마침내 1922년 6월에 진형명은 손문을 광동에서 몰아내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것도 1923년 초 손문이 광주를 재탈환함에 따라 사실상 끝나버리고 말았다.
4) 호북의 자치운동
호북에서의 자치운동은 안휘파 호북독군(湖北督軍) 왕점원(王占元)의 구축운동〔驅王運動〕의 형태로 진행되었는데, 이때 호남의 조항척은 호남 내부의 군사적 분규를 해소하기 위해 호북자치운동의 원조라는 명분으로 호북에 침입하였는데(소위 援鄂戰爭) 이것은 오히려 직예파 군벌의 무력간섭을 유발하여 조항척은 패퇴하고 호북자치운동도 하강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5) 절강의 자치운동
절강은 1920년 안직전쟁 이후에도 유일하게 남아 있던 안휘파 노영상(盧永祥)이 장악하고 있던 지역인데 그가 유독 연성자치를 표방하던 이유는 직예파 군벌의 무력통일정책에 대한 위기감과 그들에 대한 정치적 대항으로서 직예파의 간섭을 막고 자기의 세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그리하여 절강성헌법은 1921년 9월 9일 선포되었으니(소위 九九憲法) 성헌법 제정만큼은 다른 성보다도 가장 빨랐다.
3. 연성자치론에 대한 논의
호적(胡適)과 같은 자유주의 지식인은 중국에서 중앙집권국가의 형태가 부적합함을 논하고 군벌의 할거국면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연성자치에 의해서만이 통일을 성취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장태염(章太炎)도 이와 비슷한 논리를 개진하였다.
이에 대해서 국공양당(國共兩黨)의 입장은 전혀 상반된 것이었으니 특히 진독수(陳獨秀)를 비롯한 중국공산당측은 현재와 같은 각성연합(各省聯合)의 연성자치정부는 연독자치(聯督自治)일 뿐이며, 무인할거(武人割據)의 현상을 다시 헌법으로 보장하는 격이라고 비판하였다. (따라서 陳獨秀와 胡適간에는 이를 둘러싼 論戰이 일기도 했다) 한편 국민당의 입장도 기본적으로 지방자치 자체에 대해서는 찬성하면서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의 연성자치는 군벌이 자기이익을 취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것은 어디까지나 집권통일정부를 완성시킨 다음에 중앙정부에 의한 지방권의 하향식 분배방식이어야 하고 성(省)단위보다는 현(縣)단위의 자치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참고문헌
◇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청아출판사
◇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4
◇ 임계순, 청사, 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신서원, 2000
◇ 영전영정 편, 하세봉 역, 아시아 역사와 문화, 중국사-근 현대, 신서원, 1997
◇ 죤 메스킬 편저, 김한식외 역, 중국사 어떻게 볼 것인가, 반딧불, 2003
◇ 조영남, 중국 정치개혁과 전국인대 개혁기구조와 역할의 변화, 서울 : 나남출판, 2000
◇ 조영록 외, 동양의 역사와 문화, 국학자료원, 1998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