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검사(HTP,KFD) 해석 및 요약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림검사(HTP,KFD) 해석 및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그림진단의 방법

2. 투사적 그림검사(Projective Drawing Test)의 의미

3. HTP 진단방법과 해석

4. KFD(Kinetic Family Drawing)

본문내용

격특징 시사 -치켜올린 눈썹: 경멸/ 거만/ 의심
(8) 귀
-귀의 강조나 확대: 사회적 비평에 대한 과민성 -귀없음: 고집 -귀걸이: 의존성/ 과시적 경향, 히스테리
(9) 기타
-매우 큰 코: 거세불안, 성적장애, 성적 무력감 -콧구멍 강조: 공격성향, 천식환자
(10) 사지
① 팔: 환경파의 접촉, 대인관계, 사회적 적응을 나타낸다. 주변 환경을 변화, 지배,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짧은 팔: 접촉의 제한/ 수동 의존성/ 아동-부적응 -길이가 다른 팔: 손으로 하는 활동에 대한 불안/ 현실
-팔의 생략: 무력감/ 철수 -팔짱을 낌: 의심많고 적대적/ 공격성
-길고 강력한 팔: 환경을 통제하려는 시도/ 자율성에 대한 욕구
-팔이 밖으로 뻗어 있음: 도움이나 애정을 필요로 하면서 환경이나 대인 접촉에의 욕구
-뒷짐지고 있는 팔: 대인 접촉에서 물러나 있음/ 분노나 화를 참고 있는, 인간관계에 반감
② 손
-극단적으로 큰 손: 공격성/ 부적절감에 대한 보상/ 충동적 -작은 손: 불안정감/ 무기력감
-손을 주머니에 넣거나 뒷짐: 회피의 표현(반사회성 성격장애) -주먹쥔 손: 억압된 공격성
-손 생략: 심리적 문제(우울/ 불안정감/ 부적절감/ 대인관계 갈등)
③ 손가락
-성인이 손이 없이 손가락만 그림: 유아적 공격성 -매우 큰 손가락: 공격성
-심하게 덧칠 또는 강조된 손가락: (절도, 자위행위와 관련된) 죄책감
-깍쥔 주먹 & 팔이 몸 밖으로 뻗쳐 있는 경우: 청소년 범죄자, 반항적인 행동이 곧 터져나올 가능성
-깍쥔 주먼 & 팔이 몸에 붙어 있을 경우: 억압된 내적 반항
-비정상적으로 긴 손가락: 사회적, 직업적 적응을 못하는 메마르고 단순한 성격/ 퇴행
-5개가 안되는 손가락: 의존/ 무력감 -세밀한 묘사: 공격성에 대한 강박적 통제/ 주지화/ 분노
④ 다리와 발
-앉아 있는 그림: 우울 -다리의 강조: 폭력적 -종이 하단에 그려서 다리가 잘림: 충동성
-허리 아래부분을 안 그리거나 소홀히 그림: 정신 성적 미성숙/ 성적 장애/ 아동-정서문제
-매우 긴 다리: 자율성에의 갈구. -매우 짧은 다리: 위축/ 비자율성
-큰 발: 과도하게 안정감을 추구. -매우 작은 발: 불안정감/ 위축
-발 생략: 불안/ 무기력감. 딱 붙어 있는 다리: 경직성/ 긴장/ 성적 부적응(성인)/ 정서문제(아동)
⑤ 발가락
-옷을 입은 인물화에서는 보통 표현하지 않음 -뾰족한 발가락: 공격성
-나체가 아닌 그림에서 발가락을 그림: 성적인 공격성 -발가락의 페디큐어: 공격성
⑥ 몸통
-둥근 몸통: 여성적/ 미성숙 -각진 몸통: 남성적 -가는 몸통: 신체적 허약을 나타냄, 비만에 대한 보상
-매우 큰 몸통: 욕구와 충동의 불만족 -매우 작은 몸통: 열등감
-생략: 매우 어린 아동-정상, 머리에서 몸통을 그리지 않고 다리를 연결함: 퇴행, 심하게 붕괴된 성격의 지표 (성인)
⑦ 젖가슴
-가슴의 강조: 강한 구강기적 의존 욕구/ 자기애적 성격
⑧ 어깨
-딱 벌어진 어깨를 그리는 청소년: 신체적인 부적절감을 과잉보상 하려는 시도
-네모진 어깨: 공성에의 과잉 방어 -좁은 어깨: 열등감
⑨ 허리선 -잘록한 허리선: 히스테리/ 신경질적으로 표출할 가능성 시사
4. KFD(Kinetic Family Drawing)
가족내에서의 개인의 중요성은 그림의 크기, 위치로 표현되므로 가족화에서 누구를 가장 크게 그렸고 누구를 아동 자신과 가장 가깝게 그렸느냐를 살펴보는게 중요하다. 심리적 가까움은 KFD에서 근접성으로 표현되는데 아동은 대개 가장 좋아하는 사람을 자신의 옆에 그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실제적으로 가까움을 항상 의미하는 건 아니며 친해지고 싶은 갈망과 욕구의 표현일 수도 있다.
가족내에서 가장 지배적인 사람을 크게 그리지만 매우 자기중심적인 아동의 경우 자신을 가장 크게 그리기도 한다. KFD에서 누구를 포함시키고 생략했느냐가 매우 중요한데, 부모나 형제 등 특정 가족구성원을 생략했을 경우, 그 사람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반영하며, 자신을 그리지 않았을 경우에는 낮은 자존심과 가족에 대한 소속감과 정서적 유대가 부족함을 나타내준다. 우울한 아동의 경우 자신을 그리지 않고 생략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가족간의 상호작용이 없고, 특히 가족구성원 사이에 벽이나 구획을 그려넣었다면 이는 가족간의 단절감을 강하게 시사한다.
*해석
-가족 구성원은 다 그렸나? -가족 구성원의 크기는?
-어떤 위치에 누구를 그렸나? -자신을 누구옆에 가장 가깝게 그렸나? (가족 구성원간의 거리: 심리적거리)
-각 가족들간에 벽이 없나? -자신을 누구와 비슷하게 그리는가?
-얼굴을 못그리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려고 함(방어), 그 인물과의 갈등
-잠자는 것, 이불속, 누워있는 그림: 우울, 힘듬
-환경을 위협적으로 느끼는 아동이나 위축된 아동은 다른 것에 비해 자신을 작게 그림
1)인물의 활동
-가족 모두가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일부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상호작용하고 있지 않은지에 따라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의 역동이 보임.
-인물의 행동: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 구성원의 역할
2)그림의 양식
-가족 성원 및 사물의 위치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가족내에서 느끼는 친밀감과 관련
-구획화: 선이나 종이를 접는 경우 가족간의 응집력이 부족하거나 상호작용이 부족함.
-포위: 한명이상을 선으로 둘러싸이게 하는 경우 이 인물은 아동에게 위협적인 대상일 가능성, 정서적인 단절 가능성
- 하부의 선: 가정에서 정서적으로 지지받지 못하거나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
3)상징
-애정욕구: 전등, 열과 빛 분노 -공격성: 축구공, 칼, 총
4)인물의 순서-피검자가 지각하는 가족내 힘의 서열의 반영
5)인물상의 위치
-용지 상단: 가족내의주도적인 인물일 가능성
-용지 하단: 우울하거나 활력이 부족한 인물
-중앙: 실제 중심인물
-아동이 자신을 중앙이나 위에 그린 경우: 가족의 중심이 되고 싶은 욕구
6)기타
-막대기 모양의 인물상: 정서적 유대감과 애정적 교류가 부족한 경우
-음영: 그 인물에 대한 적개심 분노 -인물상의 생략: 그 가족에 대한 양가감정, 갈등
-인물상의 방향: 뒷모습(부정적 태도와 분노감), 옆모습(양가감정)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15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