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육사와 교사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만남은 교육에 선행한다 …………………………………… 3


2. 국어교육사와 교사론 …………………………………………………… 3
1) 국어교육사 ……………………………………………………………… 3
(1) 1기~1884: 국어 교육의 옛 모습 ―서당식 한문교육의 변모 ……………… 4
(2) 2기~1894: 국어 교육의 태동 ―학교 교육의 형성 …………………………… 4
(3) 3기~1910: 초창기의 국어과 교육 ―국어과 교육의 시발점 ………………… 5
(4) 4기~1945: 일제하의 조선어 교육 ―국어과 교육의 시련 …………………… 5
(5) 5기~1955: 조국 광복과 국어과 교육 ―한글 보급과 한글 파동 …………… 6
(6) 제 6기~제 12기(현재) …………………………………………………………… 7

2) 교사론 …………………………………………………………………… 8
(1) 교직의 성격 ………………………………………………………………………… 8
① 교직의 특징 ………………………………………………………………………………… 8
② 교직관의 유형 ……………………………………………………………………………… 9

(2) 교사상 및 교원윤리 ……………………………………………………………… 10
① 교사상 ……………………………………………………………………………………… 10
② 교원윤리 …………………………………………………………………………………… 15

(3) 국어교사론 ………………………………………………………………………… 15
① 국어교사 …………………………………………………………………………………… 15
② 국어교사의 자질 …………………………………………………………………………… 16
③ 국어교사의 길 ……………………………………………………………………………… 17

(4) 기타: 국어과 교원양성, 자격, 임용 및 교원단체 …………………………… 17
① 국어과 교원양성, 자격, 임용 …………………………………………………………… 17
② 교원단체 …………………………………………………………………………………… 18


3. 나오며: 실천하는 교육 ………………………………………………… 21


【참고문헌】………………………………………………………………………………… 22

본문내용

들에게 공인 졸업장을 발급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의식 있는 부모들에게 의외의 인기를 얻게 되었다. ‘자유학원’에는 몇 가지 인상적 특징이 있었는데, 우선 계단이 거의 없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계단’이라는 것이 권위주의적 위계질서인간불평등 등을 상징하는 구조물이라는 개념이 스며든 것으로, 조금 지나치다 싶을 수 있지만 그만큼 교육의 제 문제에 신경을 썼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고로오가 인격상호간 자유로운 교류로서 교육을 생각했음을 짐작해볼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유학교’의 중심에는 행정실 대신에 식당이 있었다. 거기서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점심을 들며 매일매일의 공동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대화라는 습관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생명생활교육의 개념은 오늘날 한국의 대안학교 중 하나인 ‘간디학교’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자유학교’에서는 정규 국검정 교과서를 쓰지 않았다(물론 그렇다고 커리큘럼이 없었다는 것은 아님). 고로오는 창조적 교사들에겐 교과서가 오히려 방해물이 된다고 생각했다. 물론 이러한 그의 생각은 군국주의 체제에 항거하는 의미를 띠고있긴 하나 오늘날 구성주의 교육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교과서’ 등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상당히 시대를 앞서나간 것이다.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자유학원’에서 당시 출간과 동시에 엄청난 논란에 휩싸였던 D. H. Lawrence의 문제작 『Lady Chatterley's Lover』를 소재로 문학교육을 한 적이 있었다.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발표를 하도록 하였는데, 한 고등과 여학생은 ‘철저한 반전사상의 표현’이라는 독자적인 해석을 내놓았다. 이 한 가지 예 만으로 교과서 없는 교육의 성과를 말할 수는 없겠지만, 분명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는 사례일 것이다. 참고로, 본 각주는 『간디의 물레 -에콜로지와 문화에 관한 에세이』, 김종철, 녹색평론사(1999)를 참조하였다.
이제 학생은 새로운 역할을 맡으며, 소극적으로 수수방관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직접 교육적인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실제로도 그렇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가 배운 것들은 그 자신에게 진정 의미가 있게 된다. 비슷한 의미의 연장선상에서, A. N. Whitehead는 일찍이 교육의 비극은 죽은 지식에 몰두하는 데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덧붙이자면, 화이트헤드는 “학생은 살아있고 성장하는 유기체이며, 교육의 목적은 학생의 ‘자기발달(self-development)’을 자극하고 안내하는 것”이라 말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아이디어는 작으면서도 중요한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한 그는 두 가지의 교육적 계율을 선언하는데, 바로 “너무 많은 교과를 가르치지 말라”와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을 철저히 가르쳐라”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교육적인 과정의 완성은 교사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단계일 수 있다. 물론 지금 당장 교사가 모두 사라져야 마땅하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학생 입장에서 볼 때, 의존적인 상태에서 자율적인 상태에 이르러야 비로소 교육이 완성된다는 점을 강조하고픈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독립적이 되고, 때론 실수도 하며, 타인의 의견을 곧장 받아들이기 힘들 때에 직면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우리 스스로가 발견한 관념들일 지도 모른다. 즉, 매사에 중립을 지킬 수만은 없으며 사실 이러한 태도는 지적 발견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교육은 학생들이 각자 그러한 단계에 도달토록 도와주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교원이 되기 위해 준비중인 우리 모두는 이런 점을 묵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살아있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실제로 가르칠 수는 없다. 지혜는 결코 고립된 이론이 아니며, 지식은 적용되고 이용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교사는 깨어있어야 한다. 이는 비단 국어과 교사만의 문제는 아니며, 교원 일반의 기본적 개념의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完】
【참고문헌】
『교육학총서- 교육자론』, G. 케르셴슈타이너 저 / 文炯滿 역, 世英社, 19651985.
『교사와 계급』, Kevin Harries 저 / 편집부 역, 도서출판 들불, 1989.
『현대교사론』, 정우현 편, 교육과학사, 1993.
『최신교사론』, 김종길 편, 교육과학사, 19941996.
『국어교육학 원론(제2판)』, 박영목한철우윤희원 공저, 도서출판 박이정, 19962004.
『21세기 교사의 역할 -생태학적인 관점』, 황기우 역, 원미사, 1998.
『위대한 교사들』, Frederick Mayer 저 / 성기산 역, 도서출판 문음사, 1998.
『현장교사론 -21세기 초등교사의 효율성』, 이병진 편, 양서원, 1998.
『교육사상사』, 정호표김병희 공저, 교육과학사, 20012002.
『인간학적 교사론』, 강기수 저, 세종출판사, 2002.
『교사론(개정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편찬, 교육과학사, 2003.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新 교사론』, 한숙경 저, 학지사, 2003.
『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 James M. Banner Jr & Harold C. Cannon / 이창신 역, 풀빛, 2003.
『간디의 물레 -에콜로지와 문화에 관한 에세이』, 김종철 저, 녹색평론사, 1999.
『에밀』, J. J. Rousseau / 김평옥 역, 예문당, 2002.
「敎師論」, Gilbert & Highet 저 / 金誠一 역, 師大學報 第5輯, 中央大學校 師範大學 學生會, 1969.
「“敎師論” 考」, 金昌洙 저, 人文科學 創刊號, 慶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85.
「徐明源博士 停年紀念集 華谷의 敎育學- 敎師敎育의 反省과 改善課題」, 徐明源博士停年紀念集出刊委員會 편찬, 忠南大學校, 1985.
「국어교사 임용의 문제와 개선책」, 이동호 저, 국어교육학연구 제3집, 국어교육학회, 1993.
「국어교사론」, 이충우 저, 국어교육학연구 제4집 제효 이용주교수 정년퇴임 기념특집호, 국어교육학회, 1994.
「국어 교사의 길」, 김수업 저, 청람어문교육 제24집, 청람어문교육학회, 2002.
「국어 교사의 전문성과 교사 양성 과정」, 한철우 저, 韓國敎員大學校 敎授論叢 第2號, 韓國敎員大學校, 1999.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4.2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