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과 바이오매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바이오 에너지란? --------------- p.2
2. 왜, 바이오 에너지인가?------------- p.5

[본론]
1. 바이오매스의 분류 --------------- p.6
2. 바이오에너지 변환기술 ------------- p.6
3. 국제동향 ------------------- p.12
4. 선진국 사례 ------------------ p.13
5. 우리나라 사례----------------- p.15
6. 우리나라 추진방향 --------------- p.18

[결론]---------------------- p.21

[참고문헌]------------------- p.22

본문내용

너지 보급률을 2006년 1.82%에서 2050년 10%까지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량의 50%를 생산할 예정이다.
(2) 일자리 창출
연도별 신규 일자리 창출목표를 4만3천개(2012년), 12만6천개(2020년)로 설정하고 있다.
(3) 온실가스 감축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3백만톤(2012년), 28백만톤(2020년)으로 설정하고 있다.
(4) 가연성폐기물 고형연료화
2007년 기준 에너지화 가용폐기물(470만톤/년)의 1.2%만 고형연료로 제조하고 있지만, 2012년까지 39%를, 2020년까지 100%를 고형연료화 할 예정이다.
현재 원주시에서 RDF제조시설(80톤/일)을 설치·가동중이며, 수도권매립지에 RDF제조시설(200톤/일)을 설치중이다. 2012년까지 RDF시설 20개소(5840톤/일)와 전용보일러/발전시설 10개소(2800톤/일)을 확충할 계획이다.
(5)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 및 고형연료화
현재 해양투기 되고 있는 유기성폐자원을 2012년까지 25%, 2020년까지 100%바이오가스화 또는 고형연료화 할 예정이다. 런던협약에 의하여 하수슬러지 가축분뇨는 2012년부터, 음폐수는 2013년부터 해양배출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중 54%를 해양에 투기하여 처리하고 있지만 2012년까지 음식물 폐수 바이오가스화시설 11개소를 확충하여, 해양투기 중인 음폐수의 50%를 에너지화 할 예정이다.
또한 가축분뇨를 에너지화 하기 위해 효율적인 가축분뇨처리를 위하여 음폐수와 병합처리를 연구중에 있고, 바이오가스 생산 후 발생되는 유기질 비료를 저탄소 녹색마을의 농지에 환원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6) 매립가스 및 폐가스 에너지화 확대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2012년까지 95% 회수하여 발전 및 도시가스, 자동차 연료로 공급할 예정이다. 2012년까지 매립가스 에너지화 시설을 27개로, 2020년까지 41개로 확충하여 매립장의 매립가스를 에너지화 할 것이다.
계(단위:Nm3/분)
수도권지역
동부지역
영남지역
호남지역
214
46
24
86
58
<지역별 매립가스 회수 목표량(2012)>
(7) 목질계·초본계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
농업 부산물, 숲가꾸기 부산물, 폐목재 등을 목재칩, 펠렛 형태로 가공하여 2012년까지 1560천m3, 2020년까지 3100천m3을 에너지화 할 예정이다. 2010년부터 기술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후, 단계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산림 부산물은 공금가능 잠재량은 많으나 수집·운반비 과다로 안정적 공급이 곤란하다. 그래서 2012년까지 수집체계정비로 12%를 에너지화할 예정이다.
(8) 저탄소 녹색마을 600개 조성
농촌지역의 바이오매스 이용확대를 위해 자립형 바이오에너지마을을 조성할 예정이다. 2010년부터 4개 마을을 시범으로 2020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것이며, 2020년까지 농촌지역 에너지 자립도를 40∼50%까지 제고할 방침이다. 2009년부터 관계부처 합동으로 조성방안을 마련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일본의 바이오매스 타운]
◎ 결론
1. 미시적접근에서 거시적접근으로
단기적으로 조기에 가시적인 성과창출이 가능하고 비용효과적인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에너지순환림 조성·활용 및 해양 바이오매스 활용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달성한다. 또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거점을 확보하고 보급·확산 해 나간다.
2. 국가 新성장동력으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의 신재생에너지 전환은 환경오염 저감과 온실가스를 줄일뿐만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국가 성장동력의 기회로 활용한다. 또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을 육성하여 국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새롭게 열리고 있는 환경시장에 대한 국가경쟁력 확보 및 성장동력의 기회로 활용한다.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을 통하여 지식인프라를 구축하여 바이오매스 에너지화같은 경쟁력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하여 선진국 수준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신재생산업을 통해 3E를 넘어 Employ를 포함한 4E를 해결하자.
3. 선진사례를 통해 배우자
선진사례를 통해 폐기물관리정책등 환경시책을 강화하거나 관련 규정을 개정해 나간다. 그리하여 정책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필요한 제도 및 법을 마련하도록 한다.
4. 환경운동은 새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선진국의 시민들은 애초부터 우리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었을까. 우리보다 환경과 생태, 자연에 대한 남다른 사람들만 모여 살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와 다른 것은 사람이 아니라 환경이다. 선진국은 어릴 적부터 자연스레 접한 환경교육에 의해 환경운동이 낯설지 않고, 오히려 당국에 환경시책 강화를 요구하기도 한다. 어릴 때부터 적응되어온 습관은 커서도 실행된다. 환경운동과 환경교육은 새롭게 가르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하게 해야 한다. 우리는 선진국의 환경교육을 눈여겨보고 많은 것을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이필렬, 다시 태양의 시대로, 양문출판사 (2004.07).
(2) 최기형 외, 폐기물에너지화 종합대책, 환경부 보고서 (2008.07).
(3) 도전! 에너지 자립,7일간의 기록, KBS환경스페셜 (2008.07).
(4) 이강준, 착한에너지 나쁜에너지, 여성주의저널 ‘일다’ (2008.10).
(5) 박건승 외, 한국의 미래-위기를 희망으로, 서울신문 (2008.10).
(6)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대책, 환경부 보고서 (2008.10).
(7) 편집부, Green Report, 환경재단 (2008.12).
(8) 홍지미, 우리구는 바이오디젤 연료 써도 문제없어요, 교육과학기술부 블로그 (2008.12).
(9) 최재천, 녹색‘성장’이냐 ‘녹색’성장이냐, 136환경포럼 (2009.01).
(10) 폐자원과 바이오매스, EBS다큐프라임 (2009.02).
(11) 홍욱희,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를 전망한다, http://blog.naver.com/wukheehong (2009.03).
(12) 최병철 외,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자원순환국 (2009.0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06.1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