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흥선대원군의 생애와 국내 개혁 정책의 시행

3. 명성황후의 등장과 흥선대원군과의 대립

4. 명성황후의 정치적 성향과 개화정책 평가

5. 나가며

본문내용

다. 그러나 무리한 경복궁 재건으로 개혁의 의미가 퇴색되었고, 특히 대외관계에 있어서 그 이유가 어찌되었든간에 지나치게 폐쇄적인 노선으로 인해 근대화한 체질로 조선을 향해 다가오는 세계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이후 개화와 개방정책들이 늦춰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조선사회적·경제적 기반을 조성하지 못한 점은 분명 그의 쇄국정책의 문제점이라 할 것이다.
반면, 대원군과 대립했던 명성황후는 정책 노선에서도 대원군과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보여준 인물이다. 황후는 고종을 보좌하여 개화 정책에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서구 열강과의 통상교역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때로는 고종보다도 앞서서 서구와의 통상, 수교에 대해 적극적인 행보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급격한 개화 정책은 민심의 충분한 이해를 구하지 못했고 개혁 과정중에서 부정부패로 인해 임오군란과 같은 위기상황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비록 말기에 러시아 의존적인 외교로 인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지만 황후는 높은 정치적 식견과 국제적 감각으로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외교정책의 실천자였으며 고종을 옆에서 보좌하는 지혜로운 정치적 내조자로 위상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혼란한 19세기 조선. 그 회오리속에서 공존했던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는 분명한 대립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것은 대내외적으로 정책노선이 달랐기 때문에 반목과 정쟁의 관계 속에 있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 『고종실록』
《참고서적》
· 오인환, 『위기관리의 관점에서 본 고종시대의 리더십』, 열린책들, 2008.
· 최문형, 『명성황후 시해사건』, 민음사, 1992.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참고논문》
· 강상규, 「명성왕후와 대원군의 정치적 관계 연구: 왕실내 정치적 긴장관계의 구조와 과정」, 『한국정치학회보』제40집 제2호, 한국정치학회, 2006.
· 김정기, 「흥선대원군의 생애와 정책」, 『동북아』3, 동북아문화연구원, 1996.
· 박성수, 「대원군 쇄국정책의 재평가」, 『광장』no.107, 세계평화교수협의회, 1982.
· 서영희, 「명성황후 재평가」, 『역사비평』60호, 역사비평사, 2002.
· 장영숙, 「서양인의 견문기를 통해 본 명성황후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한국근현대사연구』제35집, 한국근현대사학회, 2005.
· 연갑수, 「흥선대원군에 대한 오해와 진실」, 『내일을 여는 역사』제23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 이동하,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행적에 대한 일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학위논문, 1995.
· 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사학연구』제77호, 사학연구회, 2006.
· 이현종, 「흥선 대원군의 쇄국정책」, 『광장』no.107, 세계평화교수협의회, 1982.
· 홍순창, 「대원군 이하응 그는 개혁정치가였다」, 『근현대사강좌』제1호, 한국현대사연구회, 1992.
· 평화문제연구소, 「오백년 왕조를 마감한 여걸 민비」, 『통일한국』8호, 평화문제연구소, 1986.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9.0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