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토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토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도토기의 분류
2)토기의 제작
3) 각 시대별 토기
4)삼국시대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라토기는 처음에 밀집파상문과 점열문이 장경호의 목이나 어깨 도는 뚜껑등에 시문되다가 차츰 집선문과 원권문 삼각거치문 어골문 등의 기하학적인 무늬로 바뀌게 된다. 이어서 6세기에 들어가면 삼각형을 연결한 거치문, 거치반원문이 유행하며 시문 범위가 줄어들다 7세기부터 인화문이 유행하기 시작한다.
가야는 밀집파상문대를 돌리며 신라토기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평행집선문이나 삼각거치문 원권문 등을 찾아보기 힘들다. 기대에도 밀집파상문과 어골문을 시문하여 신라와 차이를 둔다.
가야고배
신라고배
신라장경호
4.토우
우리나라에서도 신석기 시대부터 토우가 만들어졌지만 수량은 많지 않다. 삼국시대의 토기는 각종 기하학적 무늬나 인물이나 동물의 구체적인 모습을 새기거나 만들어 붙여서 표면을 장식한 것이 많다. 이것을 토우장식토기라고 부르며, 특히 신라·가야토기에서 이러한 경향이 많이 보인다. 토우의 형태는 매우 간략하고 소박하지만 기원하고자하는 목적과 관련된 부분은 과장하여 만들었다.
5.상형토기
상형토기는 인물이나 동물 및 특정한 물건을 본떠 만든 토기로서 그릇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거나 뿔잔 등이 붙어 있어 주전자나 잔과 같은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실제로 있는 물체의 형상만을 것도 있다. 신라·가야토기에 많이 보이며 장례, 제사과정에서 사용된 것이었으리라 추정한다.
Ⅲ.결론
이상과 같이 토기의 발생, 토기의 제작방법과 더불어 각 시대별 한국의 대표적인 토기를 통해 그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토기는 선사시대 인간이 생활에 필요한 용구를 갖기 위하여 만들어 내면서 시작되었다. 고려시대 이후로 자기가 생산하면서 토기의 실용성이 없어졌다. 하지만 토기는 자기가 나오기 이전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이었다.
그러나 다른 재질의 유물에 비하여 그 양도 많을 뿐만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 연구 자료로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우선 견고함이 약해 한 개의 토기를 몇 년씩 사용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토기는 끊임없이 깨지고 폐기되며 또한 만들어 져서 토기의 제작 기술은 다른 재질을 가진 생활도구류에 비교하여 변화가 많았으며 개개의 형태의 구별이 용이하다. 또한 점토는 어디에서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지역에서 제작할 수 있어서 지방색을 낳게 한다. 따라서 토기는 생활 감정이나 미적 감각의 변천도 인류가 사용한 다른 어떤 물건보다도 잘 표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삼국시대의 토기에서 지역별 특성으로 정리 되던 것이 국가별로 정리되며 각 국의 문화적 관계와 교류 상황, 정치적 변화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구려는 다른 나라들에서 유행했던 고배, 기대 등의 기형이 유행하지 않았는데 그들이 실용적인 것을 추구했을 것과 다른 나라와 교류가 부족 했을 꺼라는 추정을 했다.
백제의 토기는 고구려와 중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후에 신라·가야와의 상호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기종의 토기를 발전시켰다. 그러면서도 초기의 영향을 받았던 고구려의 특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신라·가야토기와는 다르게 극도로 문양을 자제해 실용성을 추구했다. 따라서 백제가 신라, 고구려, 가야와 교류가 활발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토기는 선사시대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유물이라고 생각한다. 토기의 특징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사용되었기에 토기는 고고학 편년에 기준이 되는 표지적인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토기는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다. 각 지역마다의 독자적 양식이 발전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며 당시의 문화권 영역이 산이나 강을 중심으로 나뉘어진 것을 토기를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고대인들의 일상생활과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어, 토기에 대한 보존과 연구는 꾸준하게 지속되어야 한다. 고고학에서 토기의 형태와 무늬 및 제작방법에 의한 형식 분류로 지역과 편년의 특성을 규정지었다. 이러한 연구범위에서 보존과학을 통해 과학적 태토의 성분분석과 제작기술에 대한 연구 자료를 충분히 만든다면 더욱 체계화된 토기의 각 시대별 특징과 분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보존과학 기초연수교육. 도토기보존처리. 양필승. 2005 (도토기의 분류, 토기의 성형방법)
한국의 선·원사토기. 국립중앙박물관. 1993( 각 시대별 토기 신석기시대~ 원삼국까지)
한국고대의 토기. 국립중앙박물관. 1997(각 시대별 토기 삼국시대)
한국고고학개설. 김원룡. 1973. 일지사(각 시대별 토기 신석기~삼국시대)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0.0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4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