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율법의 의미와 의의][율법의 세 가지 용도][율법 613개조와 내용][율법의 도그마틱]율법의 의미와 율법의 의의, 율법의 세 가지 용도, 율법 613개조와 율법 내용, 율법의 도그마틱에 관한 분석(율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법][율법의 의미와 의의][율법의 세 가지 용도][율법 613개조와 내용][율법의 도그마틱]율법의 의미와 율법의 의의, 율법의 세 가지 용도, 율법 613개조와 율법 내용, 율법의 도그마틱에 관한 분석(율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율법의 의미와 의의

Ⅱ. 율법의 세 가지 용도
1. 제 1용도 - 정치적 또는 시민적 용도
1) 필립 멜란히톤(16세기 개혁주의자)
2) 마르틴 루터(16세기 개혁주의자)
3) 요한 칼빈(16세기 개혁주의자)
2. 제 2용도 - 죄를 책망하는 용도
1) 필립 멜란히톤
2) 마르틴 루터
3) 요한 칼빈
4) 콜부르게
3. 제 3용도 - 규범적 용도
1) 필립 멜란히톤
2) 마르틴 루터
3) 요한 칼빈
4) 콜부르게

Ⅲ. 율법 613개조와 내용
1. 창세기(1-3계명)
2. 출애굽기(4-114계명)
3. 레위기(115-361계명)
4. 민수기(362-413계명)
5. 신명기(414-613계명)

Ⅳ. 율법의 도그마틱
1. 도그마의 성경적 용법
2. 도그마의 법신학적 의미

Ⅴ.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429) 하나님이 증오하시는 것들을 집 안에 끌어들여서는 안 된다(신 7:26).
(430) 먹을 것을 주신 것에 대하여 하나님께 감사들 드려야 한다(신 8:10).
<중략>
(607) 가난한 자들을 위한 십일조를 드린 것에 대한 고백(신 26:12-15)
(608) 십일조를 애곡하는 날에 먹어서는 안 된다(신 26:14a).
(609) 그리고 제의적으로 부정한 상태에서 먹어서도 안 된다(신 26:14b).
(610) 또한 그것을 죽은 자를 위해 사용해서도 안 된다(신 26:14c).
(611) 하나님의 길을 따라 걸으라(신 26:17).
(612) 안식년 장막절에 모든 이스라엘 회중을 다 모아야 한다(신 31:12-13).
(613) 토라(율법)를 써서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신 31:19).
Ⅳ. 율법의 도그마틱
1. 도그마의 성경적 용법
도그마(dogma, δογμα)란 의견, 교훈, 결정, 규례 등의 뜻이 있는데, 이는 다음 세 가지 의미로 파악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정부, 의회, 황제, 왕의 결의나 명령(cf. 눅 2:1, god 17:7) 또는 임금의 명령(히 11:23). 둘째, 십계명의 율례들(엡 2:15, 골2:14). 셋째, 종교적 생활규범에 관하여 사도들과 장로들이 작성한 규례들(행 16:4). 여기서 세 번째의 규례라는 말에는 도그마타(δογματα, dogmata)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사도들이 장로들과 더불어 성령으로 결의한 규례들이 곧 도그마로서 교회의 생활규범이 된다. 유대인들은 구약의 여러 책들을 θεου δογματα(여호와의 규례들), 교부들은 기독교를 θεου δογμα(하나님의 교리), 그리스도의 화육론을 δογμα τε θεολογα(신학의 교리)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그마는 성경 전체에 근거한 신앙과 생활에 관한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교회가 성경에 근거하여 정한 교리들을 받아들이는 한 그것은 신자들의 신앙과 생활의 규범이 되겠지만, 성경과 어긋나는 해석을 하거나 그것을 어떤 집단에게 강조하는 이른바 교조주의(dogmatism)에 대해서 우리가 경계해야 함은 물론이다. 바리새인들이 구약의 율법을 잘못 해석하여 율법독단주의에 빠뜨린 것은 교조주의의 좋은 예가 될 것이다.
2. 도그마의 법신학적 의미
우리말에서 법도그마틱(Rechtsdogmatik od. juristiche Dogmatik))이라는 번역이 법해석학, 법교의, 법리학, 법이론학 정도로 되어 있는 것은 잘못된 번역이다. 법도그마론자는 법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법의 인식은 어떠한 사정 아래서, 어떠한 범위에서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 존재하는가를 묻지 않는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법도그마틱이 무비판적으로 행하여진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법도그마틱이 비판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에도, 법도그마틱은 항상 체계내재적으로 논증하는 것이다. 법도그마틱의 영역 안에서 이러한 태도는 정당하다. 이러한 태도가 거부당하는 경우란 도그마적이 아닌 사고양식을 비학문적이라고 거부하는 경우이다. 법도그마틱이란 원래 율법에서의 개념이지 세속법학에서 생성된 개념이 아니다. 즉 신학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카톨릭 신학과 개신교 신학에서의 이 개념은 조금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로마-카톨릭 신학에서 도그마틱 개념은 로마 카톨릭 교회가 선언한 일정한 도그마(δογμα, dogma), 즉 권위적 교의가 절대적 타당성을 갖고, 종교적 교리의 여타 내용은 이 주어진 절대명제로부터 연역적으로 전개되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서 17세기 초엽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개신교 신학의 도그마틱 개념은 위와 같이 교회가 선언한 절대적 내용의 계시를 종이로 만든 교황(papieren Papst)이라고 비판한다. 그 대신 교회의 성찰(kirchliche Reflexion) 및 그 성찰에 의하여 입증된 구속원칙의 결과라는 의미에서 도그마타(δογματα, dogmata)라는 개념으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여기의 성찰에도 물론 전제는 있다. 그것은 교황의 말이 아닌, 성경의 말씀이며 이 말씀은 기독교의 인식대상과 관련하여 언제나 새롭게 해석되고 인식된다. 다시 말하여 성서의 상징적 언명(symbolische Aussage) 자체가 교황이 반포한 교의와 같은 절대적 구속성을 갖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카톨릭의 도그마틱은 절대명제로부터 연역적으로 전개되는 반면, 개신교의 그것은 귀납적인 구속원칙을 찾아내기 위한 성서와 성서의 인식대상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해석학적 활동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의미의 내용은 카톨릭의 도그마틱에서와 같은 진리의 뜻이 아니라 해석 또는 인정된 견해(doxa; anerkante Meinung)로서 이해되어 진다.
Ⅴ. 마치며
하나님께서는 성령의 지배 아래 있는 자들 안에서 율법의 요구가 성취되게 하기 위해서 자기의 아들의 육체로써 죄의 세력을 파괴하셨다. 즉 성령의 율법이 죄와 사망의 율법의 정죄 하는 권세에서 믿는 자를 해방시켰다(롬 8:2). 이러한 바탕 위에서 그리스도의 지배의 영역 안에 있는 자에게는 정죄함이 없다는 선언(롬 8:1)은 확립되었다. 결국 이것은 그리스도의 다스림 아래 있는 자에게는 성령의 능력으로 율법의 요구가 완성되기 때문에 종말론적 저주의 선언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육체를 다라 사는 자는 하나님의 율법에 굴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할 수도 없기 때문에 사망을 열매로 수확하는 것이다(롬 8: 6-7).
참고문헌
ⅰ. 권혁승(1995), 성서적 율법관의 이해, 부천 : 서울신학대학교, 미간행물
ⅱ. 김창락(1991), 갈라디아서21-율법은 약속에 관여할 자리가 없다, 기독교사상 385호, p 188~198
ⅲ. 맹용길(1980), 현대신학사상, 서울 : 성광문화사
ⅳ. 서철원(1987), 복음과 율법과의 관계,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ⅴ. 엠 알 디한, 이용화 역, 율법이냐 은혜냐,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5
ⅵ. 홍인규(1996), 바울의 율법과 복음, 서울 : 생명의 말씀사
ⅶ. De Hann, M. R, 김창엽 역(1989), 율법과 은혜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 서울 : 도서출 판 엠마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