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애인의 정의

2. 장애인 인구 현황

3. 장애인 복지의 정의와 이념

4. 장애인 복지 정책

5. 장애인 복지의 문제점과 대안

6. 최종 결론

본문내용

) 항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로 제한된 지급 대상자 범위를 삭제해야 할 것이다.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 지출에 대한 보전의 당위성 확보를 위해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전체장애인으로 확대 시행 요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장애로 추가비용 부담은 장애인이 세대주로 있는 국기 법 수급자만이 아니라 모든 장애인에게 공히 보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현실적 급여액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장애수당은 자립생활(IL)의 기본 전제로 지원되어야 한다.(생산적 복지개념) 또한 장애수당은 생계보존이 아닌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 보존 개념에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④ 장애인 직종개발 및 취업기회 확대
- 직업재활시설 인증제 도입으로 근로 장애인 고용의 질 확보 ('08년)
- 보호고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모델개발 - 중증장애인다수고용사업장 시범사업실시 ('08 년)
- 장애인 일자리 아이템 공모 및 시범사업을 통한 장애유형별 적합 일자리 발굴, 보급 (계 속)
- 장애인 서비스 직종개발 및 취업 및 창업 지원방안 마련 ('08년)
- 전문 직종 직업교육 강화 방안마련 ('08년)
- 중증장애인 적합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조사연구 ('09~'12)
- 한국형 직업평가도구 개 발, 기관별, 유형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특화사업 실시('08~'12년)
- 중증장애인 직업 재활 지원 사업 사업수행능력 강화 ('08~'12년), 사업관리 전담기관의 지정 및 사업지원단 구성, 직업재활 전문 인력 양성기관운영 등 수행역량강화
⑤ 장애인생산품 품질향상 및 판매활성화
- 장애인 생산품 인증제 본격실시 ('08년)
- 장애인 생산품 인증제 대상 확대 ('09년 이후)
- 서비스 품목 및 재가 장애인 생산품까지 확대
- 장애인 생산품 및 서비스 공동 브랜드 화 추진 ('09년)
- 직업재활시설 인증제와 연계 시설운영 및 품질관리 내실화 ('08년) - 생산품 마케팅 및 사 례 등 관리를 위한 기준마련
- 우선 구매 대상을 서비스, 영역 부문까지 확대
- 우선구매대상을 '소요물품'에서 '소요물 품 및 서비스'로 확대
- 서비스 품목확대를 위해 우선구매적용 시범사업 전개
- 정부 내 우선구매 위원회 설치로 구매 활성화 추진
⑥ 장기요양보장 서비스 도입
제1단계 :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도 기본구상(안) 마련
- '장애인 장기요양보장 추진 단' 운영 ('08)
- 재원조달, 대상자 선정, 서비스종류. 전달체계. 시설확충 등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 도입 에 따른 사회적 합의 도출
- 노인 장기 요양 보험,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장기요양보장제도 등 제도간 역할방안 확정
제2단계: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도 시범사업 실시 ('09~'10)
- 기본구상(안)에 따른 시범사업 실시 ('09~'10 상반기)
- 사례관리 등을 통해 제도 보완 후 장애인 장기 요양 보장 제도를 포함한 장애인 복지대 책 마련 및 국회보고 ('10)
제3단계 :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도 인프라 구축 및 본격실시
⑦ 의료서비스 이용 및 접근성 제고
- 건강보험/의료급여 급여 확대 및 급여기준 등 조정('08~'09)
- 보건소 맞춤형방문건강관리 체계 확대 및 저소득층 중증장애인을 위한 의료비 지원확대 ('08)
⑧ 활동보조서비스 내실화
1단계 :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제고 및 제도의 안정화 ('08~'09)
- 활동보조 서비스 판정체계 확립 및 서비스 다양화
- 서비스 전달 체계의 안정화 및 전문성 제고
- 활동보조인의 역량강화 및 안정적 공급 기반마련
2단계 : 장애인의 탈 시설 화와 자립생활 실현 ('10~'12)
- 시설수용의 대안 프로그램으로서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 서비스 이용대상의 확대를 통한 장애인의 사회참여 수준 제고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보편화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⑨ 장애인 차별해소의 사회적 정착
1단계 : 도입기('08년)
- 장애인 차별금지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인식전환을 위한 사례별, 대상별 대국민 홍보실시
2단계 : 보완 기 ('09년)
- 정차법에 대한 평가 실시를 통해 전반적인 제도적 보완사항 마련
3단계 : 발전기 ('10년)
- 장차 법 개선 지표를 장애유형별, 시설별, 사업장별로 유형 개발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추진
4단계 : 성숙기 ('11년)
- 장애 친화적 환경의 생활화. 제도화로 사회경제적 각 부문의 차별금지 정착
6. 최종 결론
지금까지 여러 가지 공식적인 장애인의 정의에서 언급되어진 내용들은 불행히도 무엇인가를 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장애인을 무엇인가 할 수 없는 대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약간의 도움과 보조를 통해 일반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한 장애인의 정의가 되지 않을 듯싶다. 특수체육에서도 '할 수 없다'는 관점보다는 어떤 변형과 도움으로 참여의 폭을 넓힐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어쩌면 가장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현재 신체의 외형적 기능장애중심으로 되어 있는 장애범주를 중증만성질환 등에게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모자보건사업의 강화, 영·유아의 예방접종 및 정기검진의 강화와 교통사고 및 산재예방을 통한 후천적 장애발생을 예방하며, 저소득 장애인에 대한 생활안정지원을 강화하고, 대중매체 등을 통한 교육계몽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을 개선하여 [장애인 먼저]라는 국민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www.mohw.go.kr
www.kihasa.re.kr
www.Kepad.or.kr
www.moe.go.kr
www.kwnews.co.kr
www.korea.co.kr
www.kukinews.com
www.hani.co.kr
장애인 복지론 - 정일교, 김만호, 양서원, 2005
장애인 복지론 - 문선화 외, 양서원, 2005
장애인 복지정책의 방향과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평가 - 김정길 ,진리논단, 2004
현대장애인 복지론 - 정무성 외, 현학사, 2004
21세기 장애인 복지론 - 남상만 외, 홍익제, 2002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오세덕,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1
복지국가론 - 김태성, 성경륭, 나남출판, 2000
  • 가격1,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1.1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