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론의 개념정의 사례 모든것!!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게임이론의 개념정의 사례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게임이론의 개요
* 게임이론의 응용분야
2. 개임이론의 목적
3. 게임의 구성요소
4. 게임이론의 특징
5. 게임의 전개형 표현
6. 게임의 전략형 표현
1) 우월전략(dominant strategy)
2) 열등전략(dominated strategy)
7.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1) 내쉬균형의 필요조건 두 가지
2) 믿을만한 예측과 내쉬균형
3) 혼합전략 내쉬균형
4) 내쉬균형의 해석
8. 완전균형(perfect equilibrium)
1) 역진적 귀납법(backward induction)
2) 균형정제
9. 게임의 예
1) 죄수의 딜레마
2) 성의 대결(Battle of sexes)
3) 간단한 진입게임
10. 사 례(메킨지, GM, 미국항공산업)

본문내용

을 지연함으로써 자동차 회사들에게 연초부터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과연 무엇인가? 즉, 모든 자동차 회사가 상호 손해 보는 게임을 대체할 만한 방법을 찾아낼 수 있는가?
GM이 택한 방법은 바로 그런 것이었다. 1992년 9월, GM과 하우스홀드(Household) 은행은 새로운 크레디트 카드를 발행했는데, 동 카드를 소지한 사람은 GM의 새 차를 사거나 빌릴 때 연간 500달러, 최대 3,000달러 한도 내에서 카드 사용 금액의 5%를 할인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GM 카드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크레디트 카드로 평가되고 있다. GM카드는 도입 한달 만에 120만 명이 가입했고, 2년 뒤에는 가입자 수가 870만 명으로 늘어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런 추세는 북미 시장에서 개인 고객 중 GM 차의 30%가 이 카드 소지자에게 팔렸다는 의미이다. GM의 카드 사업부문 영업이사인 행크 위드(Hank Weed) 의 말에 의하면 전통적인 승패 전략에 따라 동 카드는 포드 및 다른 자동차의 잠재 구매자를 '탈취'함으로써 GM의 시장 점유율을 넓혔다고 한다.
GM의 카드 전략은 자동차 판매 게임에 다른 변화를 가져왔다. 즉, 카드 전략은 GM이 실시했던 기존의 인센티브를 대체했던 것이다. 동 전략은 GM 카드 비소지자, 예를 들어 포드 차를 사려고 하는 소비자가 GM 차를 구매할 때는 마치 가격을 올린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결과적으로 포드에게 자사의 자동차 가격을 인상시킬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주었으며, 이것은 다시 GM이 포드에게 고객을 잃지 않고도 가격 인상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결국 GM 카드의 도입은 GM과 포드 모두가 이기는 윈윈 게임이 되었다.
그런데 GM 카드가 성공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회사들이 모방하지 않았던 까닭은 무엇일까? 많지는 않았지만 실제로 모방은 있었다.
먼저 포드가 씨티은행과 제휴카드를 내놓았고, 그 후 폭스바겐이 MBNA와 함께 비슷한 상품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방이 GM 전략에 타격을 주지는 못하였다. GM 제휴카드 전략의 효과를 완전하게 이해하는 데에는 게임이론의 도움이 필요하다. 모든 참가자 중심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GM 전략의 파급 효과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즉, GM의 전략에 포드와 폭스바겐을 비롯한 다른 자동차 메이커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 예측하는 것이다. 게임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남보다 앞서 나가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GM 전략이 포드를 이롭게 했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사업을 전쟁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은 한쪽의 승리는 다른 쪽의 패배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이상하게 들릴지 몰라도 성공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경쟁자를 포함한 참가자들 모두가 잘되도록 하는 것이다
● 사례 3)미국항공산업
미국 항공산업의 사례
항공산업은 가격선도에 의한 담합이 자주 발견되는 산업 중 하나이다. 1983년 3월 아메리카항공의 리터드 크랜달 사장은 국내선 항공료를 노선거리에 비례하여 책정한다고 발표하였다. 그는 마일 당 15센트에서 시작하여 마일 당 53센트까지 부과하는 요금표를 공개하고 언론을 통하여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하였다. 그 이전까지 미국 국내선 요금은 거리, 승객수 등과 무관하게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예컨대 뉴욕-로스앤젤레스 요금이 뉴욕-시카고 보다 저렴한 경우도 있었다. AA사의 이러한 요금정책은 일견 복잡한 항공료를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하자는 좋은 취지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가격선도에 의한 암묵적 담합의 제시였다. AA사의 발표 직후 트랜스월드, 유나이티드 항공, 콘티넨탈 등 대부분의 항공사들이 AA사와 동일한 요금정책을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 틈에 팬암이 요금을 약간 인하하여 시장점유율을 크게 늘렸고 그로 인하여 AA, TWA, UA 등 주요 항공사들의 이윤은 급속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결국 크랜달의 발표 이후 한 달도 못 되어서 담합은 붕괴되고 미국 국내선 항공료 체제는 이전으로 돌아가 버렸다. 미국의 국내선 항공산업은 상당히 경쟁적인 시장이었을 뿐 아니라 요금은 신빙성 있는 공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AA사의 가격선도에 의한 암묵적 담합은 유지 될 수 없었다.
흔히 가격선도자의 역할을 맡는 기업은 산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며 비용조건이 좋은 기업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다음 사례처럼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한국의 항공산업은 대한항공에 의하여 독점되어 있다가 1989년 제 2사업자인 아시아나 항공의 설립으로 복점화 되었다. 1996년 아시아나 항공은 국내선 모든 노선에서 경쟁자인 대한항공보다 9%정도 더 높은 요금을 책정 발표하였다. 망외부성이 중요한 항공산업에서 아시아나는 대한항공보다 왜소한 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 열세에 있었는데 그나마 요금마저도 비쌌기 때문에 탑승률은 더욱 하락하였다. 이러한 상태는 그 후 2년 가까이 지속되다가 1997년 9월을 기해 대한항공의 국내선 요금 인상으로 마무리 되었다. 대한항공은 국내선 요금을 아시아나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부과하기 시작하였는데 두 항공사간의 요금 차이는 최고 200원에 불과했다. 왜 대한항공은 하필이면 아시아나의 요금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인상하였을까? 이는 아시아나의 가격선도가 결국 성공을 거두어 두 항공사간 암묵적 담합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렇듯 현존하는 자원의 희소성에 비해 늘어나는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다.
무한한 인간의 잠재력과 너도나도 자기만 더가지려는 인간의 이기심이 없다면 게임이란 존재조차도 가치가 없게되겠지만 모두가 원하는 이익을 위해 공평한 분배가 가능하도록 원원전략내지, 균형을 찾아 가야한다.
■ 출 처
- http://100.naver.com/100.nhn?docid=8965(네이버 백과사전)
- 게임이론
그로비스 매니지먼트 인스티튜트 | 박철주 | 21세기북스 | 2005.08.13
그로비스 매니지먼트
인스티튜트[[[sh_passage]]]박철주[[[sh_passage]]]21세기북스
- 경제학원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12.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