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정치 경제 비교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정치 경제 비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강성국가

Ⅲ. 발전의 의미

Ⅳ. 말레이시아 - 정치, 경제

Ⅴ. 스리랑카 - 정치, 경제

Ⅵ. 비교 및 분석
1. 정치 비교 및 분석
2. 경제 비교 및 분석
3. 한국과의 비교 및 분석

Ⅶ.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것이다. 마하티르 경제정책의 최대 취약점으로는 ‘족벌주의’의 면을 들 수 있는데, 정부의 불필요한 거대 인프라 개발과 정당성이 부족한 계획에 근거하여 독점적 지위를 부여받고 금융을 지원받은 말레이시아 기업들이, 내부 경쟁을 거쳐 국제 경쟁력을 높여온 한국과 대만의 기업들에 비해 큰 취약성을 지녔다고 보는 것이다. 분배 정의 왜곡 또한 마하티르 경제정책의 취약점으로 꼽을 수 있다. 1971~1990년의 기간동안 마하티르가 추진한 신경제정책은 산업개발을 지나치게 강조했을 뿐, 사회복지와 농업 부문은 소홀히 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비록 1970년대 49%에 이르던 빈곤층이 1990년대 15%로 대폭 감소했다고는 하지만, 같은 기간 도시농촌간, 그리고 인종간 소득 불균형은 더욱 확대됐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출처: 한겨레 21 (www.hani.co.kr/)
위의 논의를 통하여 우리는 발전에 있어서 개인, 즉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정치 지도자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국제체제, 국내정치, 정치 지도자의 리더십, 국민성 등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많다.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발전은 정치 지도자의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 위로부터의 움직임이든 아래로부터의 움직임이든 현재의 저발전 상태를 극복하고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끊임없이 시도하고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쯤에서 우리는 스리랑카에 어렴풋하게나마 발전의 방향을 지시해줄 수 있다. 지루하게 이어져 온 내전을 하루 빨리 평화와 타협을 통해 종식시키고,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아 발전의 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생산적인 일을 도모하는 것이다. 가장 간단한 듯 보이면서도 결코 쉽지 않고, 그렇기에 더더욱 요구되는 일인 것이다.
Ⅶ. 결론
앞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은 그야말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제는 당당히 유엔 사무총장 배출국으로써, 선진국의 장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회원국으로써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인도적 지원에서부터 평화유지군(PKO) 활동까지 국제 사회의 발전을 위해 다방면에서 활약 중이다. 여기서 말하는 국제 사회의 발전이란 무엇인가. 또한 한국을 비롯한 국가들이 개도국에 대한 지원에 힘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서론에서도 언급 하였듯 세계가 하나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도 남북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진정한 의미의 국제 사회 안정, 그리고 평화는 남북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찾아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주 오랜 시간동안 고착화된 문제이기에 해결은 쉽지 않다. 그러나 다행히도 유엔이 확연히 눈에 보이는 목표를 상정하였다. 밀레니엄 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는 2015년까지 빈곤을 반으로 감소시키자는 범세계적인 약속으로써 발전을 위한 전 세계의 동반관계 구축을 강조함으로써 지구 발전의 목표가 되었다. 본 보고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에 의거한다. 우리는 상대적으로 덜 발전된 국가로 스리랑카를 내세웠는데, 이를 통해 해당 국가를 비하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그리고 말레이시아를 스리랑카 발전의 역할 모델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진정한 의미의 발전을 찾고자 한다. 서구 중심의 발전론만을 내세운다면 발전은 이루어질 수 없다. 각 국가의 역사적 배경과 정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그에 상응하는 발전론을 모색해야 한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각 국가들은 언제까지 자국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그에 따른 행동만을 할 것인가. 이미 전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 되어버렸기에 이익이 국가 행동의 핵심 요인인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양한 이익을 지닌 수많은 국가들은 모두 ‘지구 세계’에 속해있다. 서로 배려하지 않는다면, 모두 함께 나아가지 않는다면 지구 세계의 미래가 그리 밝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제는 국제 사회가 하나의 행동을 할 때이다.
《 참고 문헌 》
1. 중앙 선거관리위원회. {각국의회의원 선거연대기}. 서울: 중앙 선거관리위원회, 2001-2002.
2. 한국수출입은행. {말레이시아 국가현황 및 진출방안}. 서울: 한국수출입은행, 2005
3. 안영호, 정영규. {말레이시아 문화경제론}. 서울: 정론여행 비즈니스, 2002
4. 소병국. {말레이시아史}. 서울: 도서출판 오름, 1998
5. 윤형숙(역).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 서울: 나남출판, 1991.
6. 양승운 외. {비전 2020을 지향하는 동방정책의 나라 말레이시아}.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8.
7. 외교통상부. {세계각국편람}. 서울: 외교통상부, 1998.
8. 존 베일리스, 스티브 스미스 외. {세계정치론}. 하영선 외(역). 서울: 을유문화사, 2004.
9. 건설교통부. {신도시, 재개발시장 진출확대 방안}. 서울: 건설교통부, 2005.
10. 외교통상부. {외국의 통상환경}. 서울: 외교통상부, 2005.
11. 이정록. {20세기 지구촌의 분쟁과 갈등}. 서울: 푸른 길, 1997.
12. [스리랑카:정국 혼밍도 불구, 타밀반군과의 전면적인 내전 재개 가능성은 낮아], {수은해외경제}. 제 24권 제9호. 한국수출입은행, 2005.
13. [스리랑카의 종교문화적 분쟁과 평화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학}. 제35호. 한국불교학회, 2003.
14. [태국, 파키스탄, 베트남, 스리랑카의 최근 정치·경제 동향], {한국보험}. 제93호. 한국수출보험공사, 1999.
15. {주간조선}. 2003년 10월 16일자.
16. {연합뉴스}. 2004년 10월 12일자.
《 참고 사이트 》
1. 네이버 (www.naver.com)
2. 외교통상부 (www.mofat.go.kr)
3. 국가정보원 (www.nis.go.kr)
4. KOTRA (www.kotra.or.kr)
5.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www.malaysia.or.kr)
6. CIA (www.cia,gov)
7. 주간조선 (http://weekly.chosun.com)
8. 연합뉴스 (www.yonhapnews.co.kr)
9. 한겨례 (www.hani.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09.12.1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