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문화에 대한 모든것(장학문화 완벽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학문화에 대한 모든것(장학문화 완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장학문화의 개념

∏. 장학문화의 특성

Ⅲ. 일선학교의 장학문화

Ⅳ. 학교조직의 특성에 따른 장학문화

5. 바른 장학문화를 위한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비하여 학습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상식인 것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 준비하는 정도가 중등학교보다 초등학교에서 더 해 보인다.
둘째, 교사들은 장학지도시 수업을 잘하는 교사로 인정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등학교 교사들 보다 더 장학지도에 신경 써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장학지도가 수업개선에 별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관료성을 강조하는 학교에서는 더욱 그러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장학지도가 옛날과 바뀐 것이 없다는데 대하여는 초.중등학교에서 모두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교육청의 장학요원에 의한 장학지도가 그 동안에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실제 일선학교의 입장에서 볼 때 별로 변한 것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장학지도 측면을 종합하여 보면 교육청의 장학요원에 의한 장학지도는 예나 지금이나 수행되지만 별로 변한 것이 없고, 장학지도가 수업개선에 별로 도움은 못되지만 이를 위하여 최소한 학습자료는 준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중등학교에서와는 달리 초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이 장학지도때 수업을 잘하는 교사로 인정을 받고 싶어 하기도 함을 알 수 있다.
5. 바른 장학문화를 위한 과제
일선학교에서의 장학문화는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로 잡혀야 한다. 바람직한 장학문화란 일선학교의 주요 구성원인 교장, 교감, 주임교사, 교사들이 장학기능의 중요성을 매우 크게 느끼면서 장학활동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긍정적인 자세로 협조하는 분위기를 형성하는 문화라고 말할 수 있다. 이라한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장학을 담당하는 장학요원이나 장학의 대상인 교사들이 장학에 대한 인식, 태도, 지식등을 바꾸어야 한다. 바른 장학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먼저 학교 내의 구성원인 교장, 교감, 교사들과 다음으로 이들과 관련이 있는 학교 밖의 교육행정가와 교육전문직의 장학에 대한 의식전환이 장학문화의 과제로 제기 되어야 한다.
첫째, 교사들은 장학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을 긍정적으로 바꾸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장학문화에서 알 수 있듯이 자율장학에 대한 교내 구성원들의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이기 때문에 장학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즉, 장학활동에 있어서도 어쩔 수 없이 순응한다든지, 적당히 시간만 때운다든지, 아니면 무관심하든지, 혹은 필요하면 알아서 할테니 내버려 두라는 식으로 소극적이다. 만약 이러한 분위기가 교사들이 어렵고, 복잡하고, 귀찮은 일을 기피하고, 조언을 간섭이라고 오해하고, 자유방임을 자율이라고 착각한데서 생긴 것이라면 이러한 의식은 바뀌어야 한다. 교직은 전문직이고 교사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부단히 전문성을 유지하고 개발해야 함을 자각해야 한다. 전문가는 꾸준한 계속적인 자기연찬을 통해서 또 다른 전문가와의 정보교환과 협조를 통해서 전문성을 키워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의 장학기능의 중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교사 각자가 장학의 주체임을 의식하면서 장학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행정가들은 장학활동에 대한 소극적 자세를 적극적인 자세로 바꾸어야 한다. 학교의 주요 수업장학 담당자로서의 교장과 교감은, 장학에 대한 신념도 또 교사에 대한 신념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교장이나 교감이 장학이나 교사에 대한 신념이 부족하면 장학활동에 대해서도 또 교사에 대해서도 자신 없이 처신하게 되어, 결국은 학교단위에서 비중을 두어야 할 장학기능의 수행까지 등한하게 되어 관리기능에만 전념하게 된다. 또 교사들로 부터 신뢰도 얻지도 못한 체 학교 내의 장학문화만 흐려 놓게 된다. 교장과 교감이 교사들의 잠재적 능력이나 전문성을 인정하고 신뢰하여 장학활동에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도 바꾸어 놓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교내의 장학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학담당자인 교장과 교감은 교육관련 전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교육행정 내지는 장학행정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일선 학교현장과 교사들을 이해하는 교단경력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야 한다.
셋째, 장학요원들의 전문성이 신장되어야 한다. 장학요원이란 일선학교나 교육행정기관에서 장학활동을 책임 있게 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예컨대, 일선학교의 교장, 교감, 주임교사, 선배교사나 교육행정 기관의 교육전문직이 장학활동을 책임 맡고 있다면 누구든지 장학요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들은 일선학교의 교사들이 요청할 때는 언제든지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은 장기간의 교육 및 훈련과 실무 경험을 쌓아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또 교사들이 전문직 종사자로서 교과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도와주고 지원해 주기 위해서는 부단히 현직교육을 통하여 전문성을 신장해야 한다. 장학요원을 위한 현직교육은 대학원 교육 중심의 자기연수가 가장 바람직하다.
< 참고문헌>
강영삼. 장학론(개정판). 서울: 세영사. 1997.
-----. “초등학교 장학문화의 실재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국민대) 제 15집, 1995.
김경동. 현대의 사회학. 서울: 박영사, 1979.
신중식. “학교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제 13 집, 제 2 호, 1993. 25-59.
이창형. “국민학교 교내 자율장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Erickson, Frederick. " Conceptions of School Culture: An Overview,"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Vol.23, No.4 (November 1987), 11-24.
Lunenburg, Fred C. & Allan C. Ornste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actices.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 1991.
Tyler, Edward. Primitive Culture. New York: Holt. 1887.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1.12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