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통감(東國通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편찬자 분석

2.2. 세조대 동국통감 편찬목적 및 배경

2.3. 편찬 과정

2.4. 서술체제와 내용

2.5. 사론의 내용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적(道學主義)적 역사 인식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통사로서 나타난 것이었으며, 이후 사림의 집권을 공고히하여 후세의 본보기로 삼을 수 있는 사서로 만들었던 것이다.
3. 결론
『동국통감』은 사림이 소위 훈구파와 정치적 갈등을 일으키면서 점차 세력을 확장해가던 성종 중반에 편찬되었고, 사론 385편이 수록되면서 성종조 역사 인식을 긍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신사론(신편)은 구사론과 겹치지 않은 내용에 첨가하고 삼국에 대한 사론을 고루 첨가함으로서 균형이 이루어진 사서였다.
『동국통감』에서 흥미로운 점은, 신사론이 성리학의 의리명분론에 입각하여 군신의 명분과 대의관념(大義觀念)을 적극적으로 표출한다는 점이다. 정통명분을 어긴 자는 폄삭의 대상이요, 절의를 지킨 자는 충신으로 포장된다. 『동국통감』의 사론에서는 이 점을 가장 강조하고 있고, 이것이 이전 사서 및 훈구 세력이 저술한 구사론과의 큰 차이점이다.
성종조 사림은 고려 말 대표적인 절의자 정몽주와 길재에 연원을 두고, 의리명분론을 실천한 단종복위 운동자들을 이념적 지주로 삼아, 세조조 패도정치로 퇴보된 주자학의 확산을 시도한다. 따라서 명분과 절의를 고양(高揚)하는 신사론은 훈구의 약점을 공략하는 사림의 이념적 토대요, 성리학의 토대로 건설된 국가의 자부심의 표현이기도 하다.
4. 참고 문헌
조동걸 외 2명 엮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창작과비평, 1994)
유영옥, 「『동국통감』 사론 분석」(부산경남사학회, 2003)
방태변, 『『고려사(高麗史)』의 연구』(삼영사, 1982)
이지홍, 「세조와 『삼국사절요』」(연세대학교, 2007)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16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