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문의 영역 확대와 소설의 출현
1 역사, 견문, 심정 토로
2 가전체와 몽유록
3 골계전
4 소 설
연희의 양상과 연극의 저류
1. 국가 연희의 양상
2. 소학지희의 내용과 풍자
3. 탈춤의 저류를 찾아서
1 역사, 견문, 심정 토로
2 가전체와 몽유록
3 골계전
4 소 설
연희의 양상과 연극의 저류
1. 국가 연희의 양상
2. 소학지희의 내용과 풍자
3. 탈춤의 저류를 찾아서
본문내용
광대의 소학지희
지방 수령이 이조판서병조판서대사헌에게 개인적으로 보내는 뇌물만 소중히 알고, 임금에게 공식적으로 바치는 진상품은 하찮게 여기는 세태 풍자.
자기 주인의 억울한 처지를 하소연- 주인인 종실양반이 실직(實職)을 얻지 못해 겪는 딱한 사정을 대변→곧 실직을 얻게 됨.
⇒귀석의 작품은 소학지희가 상당한 규모를 갖춘 연극으로 발전했음을 입증해준다 하겠으나, 그 뒤에는 오히려 그런 사례가 보이지 않으며, 조선 후기로 넘어오면 소학지희는 축소되고 탈춤의 시대가 열린다.
3. 탈춤의 저류를 찾아서
※조선 전기에도 꼭두각시 놀음과 탈춤이 민속극으로 민간에 전승되었겠지만,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구체적으로 다루기 어렵다.
1. 탈춤은 그 당시에도 마을 굿의 일환으로 농촌에서 자라났을 것.
〈동국여지승람〉-“지방민이 언제나 5월 1일에서 5일까지 두 패로 나뉘어서 섬기는 신의 모습을 들고 마을을 돌아다니면, 사람들이 다투어 술과 음식을 장만해 고사를 올린다.”
〈동국세시기〉- “비단으로 신의 탈을 만들어 당집에 넣어두면, 섣달 스무날 이후에 신이 고을 사람에게 하강해서 그 탈을 쓰고 아내(衙內) 및 읍촌(邑村)으로 돌아다니며 논다”
→경북 하회 마을의 탈춤, 강릉 지방의 관노희, 북청 사자놀음
2. 조선 전기에는 탈춤의 모체인 마을굿이 적지 않은 시련을 겪음
유학에 의한 통치 질서를 수립하지는 국가적 시책에 하층민은 끈질기게 굿놀이를 전승하려 하였고, 탈춤은 사대부에 대한 반감을 한층 더 뚜렷이 함.
3. ‘사대부’, ‘팔대부’, ‘구대진사’등의 글씨가 쓰인 간을 머리에 얹은 양반 광대-탈춤이 연극일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요건이 됨.→굿의 절차와 구별되는 연극으로서의 탈춤
4. 배역이 어느 정도 분화되었는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다.
① 이제신 〈청강쇄어〉의 기록- 대대로 광대를 닮은 동료에게 ‘너의 할아버지는 중광대 너의 아버지는 초란광대 너는 박광대’ 라는 농담→광대는 배역을 뜻함.
② 유몽인 〈어유야담〉- 탈을 쓴 광대에 관한 말
→부부 두사람만 동행, 특수한 경우엔 탈춤을 둘이서 할 수도 있었음.
5. 조선 전기에 사원을 혁파하고 승려를 대폭 감축시켰던 일
→고명한 승려를 풍자하거나 노장을 비판하는 대목은 사원에서 축출된 승려가 강대에 가담해서가 아닐까 추축해 봄.
⇒여러모로 추정 해보지만, 조선 전기에는 하층민의 예술이나 문학이 문헌 증거가 미칠 수 없는 영역에서 저류로 존재 했을 따름.
지방 수령이 이조판서병조판서대사헌에게 개인적으로 보내는 뇌물만 소중히 알고, 임금에게 공식적으로 바치는 진상품은 하찮게 여기는 세태 풍자.
자기 주인의 억울한 처지를 하소연- 주인인 종실양반이 실직(實職)을 얻지 못해 겪는 딱한 사정을 대변→곧 실직을 얻게 됨.
⇒귀석의 작품은 소학지희가 상당한 규모를 갖춘 연극으로 발전했음을 입증해준다 하겠으나, 그 뒤에는 오히려 그런 사례가 보이지 않으며, 조선 후기로 넘어오면 소학지희는 축소되고 탈춤의 시대가 열린다.
3. 탈춤의 저류를 찾아서
※조선 전기에도 꼭두각시 놀음과 탈춤이 민속극으로 민간에 전승되었겠지만,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구체적으로 다루기 어렵다.
1. 탈춤은 그 당시에도 마을 굿의 일환으로 농촌에서 자라났을 것.
〈동국여지승람〉-“지방민이 언제나 5월 1일에서 5일까지 두 패로 나뉘어서 섬기는 신의 모습을 들고 마을을 돌아다니면, 사람들이 다투어 술과 음식을 장만해 고사를 올린다.”
〈동국세시기〉- “비단으로 신의 탈을 만들어 당집에 넣어두면, 섣달 스무날 이후에 신이 고을 사람에게 하강해서 그 탈을 쓰고 아내(衙內) 및 읍촌(邑村)으로 돌아다니며 논다”
→경북 하회 마을의 탈춤, 강릉 지방의 관노희, 북청 사자놀음
2. 조선 전기에는 탈춤의 모체인 마을굿이 적지 않은 시련을 겪음
유학에 의한 통치 질서를 수립하지는 국가적 시책에 하층민은 끈질기게 굿놀이를 전승하려 하였고, 탈춤은 사대부에 대한 반감을 한층 더 뚜렷이 함.
3. ‘사대부’, ‘팔대부’, ‘구대진사’등의 글씨가 쓰인 간을 머리에 얹은 양반 광대-탈춤이 연극일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요건이 됨.→굿의 절차와 구별되는 연극으로서의 탈춤
4. 배역이 어느 정도 분화되었는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다.
① 이제신 〈청강쇄어〉의 기록- 대대로 광대를 닮은 동료에게 ‘너의 할아버지는 중광대 너의 아버지는 초란광대 너는 박광대’ 라는 농담→광대는 배역을 뜻함.
② 유몽인 〈어유야담〉- 탈을 쓴 광대에 관한 말
→부부 두사람만 동행, 특수한 경우엔 탈춤을 둘이서 할 수도 있었음.
5. 조선 전기에 사원을 혁파하고 승려를 대폭 감축시켰던 일
→고명한 승려를 풍자하거나 노장을 비판하는 대목은 사원에서 축출된 승려가 강대에 가담해서가 아닐까 추축해 봄.
⇒여러모로 추정 해보지만, 조선 전기에는 하층민의 예술이나 문학이 문헌 증거가 미칠 수 없는 영역에서 저류로 존재 했을 따름.
추천자료
우리나라 산업화시대의 문학
혈의 누를 읽고
■ 감자 - 김동인(독후감)
[현대문학사] 1970년대의 문학
한국사회의 맞벌이부부
조명희 작가의 낙동강 분석
[박씨전][박씨전 분석][박씨전 독후감][독서감상문][독후감][서평][여성][영웅성][독후감][서...
호텔 아웃소싱을 통한 발전방안
신문화사 경향에서 접근한 옹고집전
컴퓨터그래픽(CG)의 활용분야, 미술과 컴퓨터그래픽(CG)활용수업 특성과 장점, 미술과 컴퓨터...
[한국문학입문] 이옥의 생애와 문학(보고서)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공 -조세희
심청가 기존 연구 및 재해석
12세기 지식인상 ; 피에르 아벨라르 [Pierre Abelard, 1079 ~ 114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