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복지의 역사적 배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사회복지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도
1) 인도의 불교사회복지 실천
2. 중국
1) 양나라 무제의 불교사회복지
2) 동진시대와 남북조 시대의 불교사회복지
3) 수대와 당대 불교사회복지
4) 송대 이후의 불교사회복지
3. 일본
1) 일본 불교사회복지의 실천
2) 일본 불교사회복지 발달의 배경
4. 한국
1) 삼국시대의 불교사회복지
2) 고려시대의 불교사회복지
3) 조선시대의 불교사회복지
4) 일제시대의 불교사회복지
5) 현재의 불교사회복지

Ⅲ. 결론

본문내용

교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하여 불교는 그 동안의 산중불교로부터 벗어나 시정에 포교당이 갖는 역할을 점차 중시하게 되었다. 특히 포교당은 민생의 실정과 어려움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불교의 사회사업 참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일제시대 불교복지사업이 서서히 전개되어 나갔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910년에서 1930년 사이에 불교신도나 사원의 불교복지사례를 정리해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시 기
주 체
지 역
주 요 활 동
1917년
박승봉 거사
순천
노동회관 건립, 기증, 걸인구제
1919년
용추사, 강대연상
서울
경성감옥의 수인에 대한 교도
1920년 ~1923년
이해광 선사
서울
불교 중앙포교소 내에 제중원 개설
1925년
용흥사
담양
빈민자녀들에 대한 교육
1925년
용인 포교당
용인
유치원 설립 무자산 자녀교육을 위한 용인여자야학회설립
1925년
봉은사, 나청호상
서울
홍수로 인한 수재민 700여명 구제 생필품 보시
1926년
공주 포교당
공주
시달 강습원 설립 빈민학생 150명 교육
1927년
건봉사
회령
포교소 내에 자시원 설치,
의류 식료품 제공
1928년
조선 불교 소회
서울
자선동화, 동요, 무용, 가극대회개최 수입금을 시베리아 동포에게 전달
1928년
심운사
강경
빈민, 병자, 걸인 급식
1930년
이정관심보살
서울
경성 양로원 설립
위의 표를 볼 때 당시의 불교복지사업은 주로 빈민구제나 교육을 중심으로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제치하의 당시 사회상황과 무관하지 않으며 핍박받는 국가에 대한 불교의 책임의식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일제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구제활동의 방식에 있어서 일본불교의 영향이 컸다는 지적도 있지만 당시 불교계로서는 매우 의욕적으로 복지사업을 행하였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이후 우리나라 불교복지는 일제 말기의 극심한 탄압과 한국전쟁 등으로 이어지는 수난에 의해 오랫동안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5) 현대의 불교 사회복지
근대에 이어 현대의 불교계는 국제적인 원조나 자선단체들에 의한 사회사업을 앞세운 서구 종교에 대응할 만한 체계를 갖추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유입되기 시작한 서구의 사회사업이론이나 실천방법론은 전통적인 불교의 사회복지활동과 비교해 볼 때 커다란 차이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서구의 종교단체들은 구호물품의 배급이나 현대적인 교육 및 사회복지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해온 반면 불교의 사회복지활동은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815 해방과 625로 인한 민족의 분단기를 지나 사회복지사업이 제도적으로 정착될 때까지 불교의 사회복지활동은 답보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불교계의 복지에 대한 인식의 부재로 인한 재정과 시설 및 전문 인력의 부족현상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70년대 이후부터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타종교 특히 서구의 종교단체들은 대학에 사회복지학과 등을 설립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였으며 법인에 의한 전문적인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했다.
반면 불교계의 사회복지활동은 개인적 차원에서 비인가 시설을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전문적인 시설이나 인력을 갖추지 못하고 국가의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운영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채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단지 수용시설을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1980년대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게 되면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고 민간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민간단체 가운데 종교계의 사회복지법인에 위탁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불교계도 뒤늦게 위탁운영에 참여하게 되고, 현대적인 의미의 사회복지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근 현대에 이르러 백여 년 동안 불교계의 내외적 여건이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하는 데 제한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불리한 여건에서도 불교계는 사회복지활동을 드러나지 않게 꾸준히 전개해온 저력을 지니고 있다. 전국의 사찰이나 스님과 불자들에 의한 개별적인 자비의 실천행과 복지활동의 기록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국가에 의한 사회보장제도가 구비되고 민간복지단체들이 조직적이고 다양하며 전문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종교심에 바탕을 둔 순수하고 자발적인 동기에 의한 개별적인 사회복지활동의 노력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국가나 민간단체들에 의한 사회복지활동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비판적인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회복지사업의 기원은 종교적 자선사업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도 근세이전의 경우 사회복지활동은 불교의 오랜 전통과 함께 이어져 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불교계의 사회복지활동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 활동이 부진하므로 학문적인 연구도 또한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흔히 불교를 포함한 종교학은 인문과학에 속하고 사회복지학은 사회과학의 범주에 든다고 한다. 그러므로 불교 사회복지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이 되려면 독자적인 통찰력으로 체계 있는 연구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불교사회복지실천론. 권경임. 2004. 학지사
불교사회복지론. 김용택. 1996. 아시아미디어리서치
불교사회복지. 임송산. 1995. 홍익제
불교사회복지학. 이혜숙. 1992. 불교시대사
출요경 권 19 생화품 (대정장)
증일아함경 권14, 고당품 (대정장)
법구비유경 권4, 도리품 (대정장)
장아함경 권2, 유행경 (대정장)
별역잡아함경 권5 (대정장)
잡아함경 권4, 제96경 (대정장)
불교사회경제학. 대야신삼 저, 박경준 역, 서울: 불교시대사
중국불교와 불교문화.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종교연구소 불교연구실. 1993. 우리출판사
현대 불교사회복지론. 권경임. 2000. 나남출판사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0FG9d
불교사회복지실천론. 권경임 저. 2004.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