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문학의 비평정신-신비평과 구조주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문학의 비평정신-신비평과 구조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미국문학의 비평정신과 미국성

II. 본론
1. 미국 정신의 두 가지 조류
2. 영국 경험론: I. A. 리차즈
3. 유럽 구조주의I: F. 드 소쉬르
4. 유럽 구조주의II: 러시아 형식주의

III. 결론: 미국적 자아분석과 분석학에 대한 요구

[참고 문헌]

본문내용

는 원인이다. 셋째, 구조주의 언어 분석틀은 세분화된 최소 단위의 무의미한 언어 요소들이 어떻게 의미 있는 요소들로 전환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하나의 의미의 조건에 대한 설명 명제만이 있을 뿐, 관계들의 차이를 의미화 하는 과정에서 의미의 결정론과 주체의 결정론이 설명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구조주의 언어학이 의미의 구조 분석까지 설명할 만큼 치밀하거나 정교하지는 못하였다. 정의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론이 부재하였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언어 기호적 자아 분석에는 기표와 기의 간의 (수리적) 관련 점은 없으며, 그러므로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는 의미도 없고 자의성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좀 더 정치(精緻)한 분석틀이 요구된다.
구조적 자아 분석은 상부와 하부 구조 분석에서 그 후자인 언어 분석에 그치며, 결정론적 해결(solution)을 제시하지 않고 궁극적 딜레마에 빠지거나 미궁 또는 미로에 빠진다. 결정론을 해결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면이 있고, 결정론을 상부 구조의 안정화에 중점을 두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자아 분석이 회의론적이거나 도피적이거나 분석적 생각이 흐른다는 사실에서 새로운 분석학(analytics)이 요구된다. 미국적 자아 규명의 모델링은 과정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미국적 자아의 분석(self-analysis)과 자아 형성(self-formation) 작업이 선행한다. 이어서 미국 비평의 분석학(analytics)이 이를 정의한다. 여기에는 인문주의적 분석학(humanitics)이 뒷받침 한다. 최종적으로 비평의 과학적 방법론이란 인문 과학의 논리학적 분석학을 정의하는 수준의 작업임을 분명히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미국 비평가들의 미국 정신 구현과 그 보존 작업은 외국 이론의 비판적인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우리에게 많은 점들을 시사해 준다. 일관되게 미국 정신을 구현하고 그 정신을 지키는 일에 비평적 실천을 아끼지 않는 성실성과 수다한 이론들을 소화해서 취사선택하는 비평적, 철학적 안목은 일면 새로운 틀과 표준과 기준으로 바라보고 주목할 만한 가치와 의미가 있으며 단일적확(單一的確)한 비평적 지식과 과학적 방법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ABSTRACT>
AMERICAN CRITICAL SPIRIT: NEW CRITICISM AND STRUCTURALISM
JONG-HYUK NAH
The American critical spirit shapes itself in accordance with The American self-formation and American spiritualization. It is defined as literary Americanness. Literary Americanness is again defined as individualism and self-reliance which have been strongly shaping themselve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21th century, and it forms the American identity. The American spirit is divided into Puritanism and pragmatism. Puritanical tragic world-view is of the divided worlds of intellect and emotion, while pragmatic optimistic world-view is the ideas of the self-reliance and self-made.
The twentieth-century American critical spirit is characterized by behaviorism and empiricism. New criticism represents empiricism and behaviorism represents social sciences and interdisciplinary scientific studies like Cultural Studies. Empirical cognition theory required scientifically fixed analytics. And it made the constructive task of American spiritualization to comply with linguistics and structuralism. Linguistic model is an important basis of empirical science and is believed to deal with the problem of human selfhood. In actuality, it is in accord with the scientific analytics of psychological behaviorism. Nevertheless, conceptual studies coexists within linguistic paradigm (Saussure) and Gestalt studies coexists within psychological paradigm (Richards).
[참고 문헌]
로만 야콥슨. 「언어학과 시학」.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이정문 외 편.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77.
로만 야콥슨, 유리 티냐노프. 「언어와 문학연구의 문제점」.
『현대시의 이론』. 로만 야콥슨 외. 박인기 편역. 서울:
   지식산업사, 1989.  
I. A. 리처즈. 『문학비평의 원리』. 이선주 옮김. 서울: 동인,
   2005.
F. 드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최승언 옮김. 서울: 민음사,
   1990.
Berman, Art. From New Criticism to Deconstruction: The     Reception of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Urbana: U of Illinois P, 1988.
Jackson, Leonard. The Poverty of Structuralism. London:    Longman, 1991.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3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