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와 현대의 시대적 특징 차이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근대와 현대의 시기구분
2. 봉건사회의 해체와 자본주의의 맹아(萌芽)
3. 개항기의 제 운동 (개화, 위정척사, 농민운동)
4. 일제의 식민통치정책
5. 민족해방운동의 흐름과 성격

본문내용

단속, 통제
- 극심한 언론 통제하에서 조선·동아일보 발간 허가
- 민족분열정책: 허무주의, 패배론 강요⇒ 민족개조론 주장
ㄴ. 식량수탈- 산미증식 계획⇒ 농산물 수탈
ㄷ. 일본의 자본 진출- 조선= 원료생산지, 시장, 값싼 노동력
- 회사령 철폐: 일본의 독점자본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ㄹ. 지방자치제 도입: 친일인사를 식민지 지배에 이용
(3) 병참기지화/민족말살정책 (파쇼통치: 1930년대)
ㄱ. 병참기지화정책
- 1931년 만주침략을 계기로 조선을 침략전의 전초기지화
- 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중공업화
- 정신대/ 징병 등 인력 수탈
ㄴ. 민족말살정책
- 창씨개명 - 사상범 통제 - 민족교육 통제 - 한글 신문·잡지 폐간
- 군사/경찰력 증강 - 식민사관 교육 - 국어/국사 교육 금지
- 국민생활 통제: 천황배례, 신사참배, 일어 사용 등
- 민족분할통치정책: 비합법적 운동 철저 통제, 민족개량주의 단체 활동은 허용
5. 민족해방운동의 흐름과 성격
*1910년대
1. 국내- 도시 중산층, 유림, 학생, 개화지식층이 중심
(1) 독립의군부: 1912년, 유생과 의병 출신 결합, 외교적이고 비폭력적인 항의 방법
(2) 대한광복회: 광복단+조선국권회복단, 공화주의 이념 표방, 친일부호 처단, 1918년 발각 후 만주에서 의열투쟁 전개
(3) 조선국권회복단중앙총부: 단군신봉, "대규모의 독립운동 전개"
(4) 조선국민회 등
1910년대의 활동은 비밀결사라는 특징 때문에 대중적 전개를 하지 못하였고, 대한광복회처럼 공화주의를 표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한말의 의병운동과 문화계몽의 큰 흐름속에서 전개
2. 국외- 신민회 좌파를 중심으로 전개, 독립운동 기지 건설, 한인의 이익 도모와 생활안정
대표적 기지: 서전서숙, 명동학교, 대전학교, 신흥학교
(1) 간 도-+-- 삼원보: 이회영, 이시영 설립,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설립)
+-- 일산부 한흥동: 이상설, 이승희가 설립, 독립운동기지 건설
(2) 연해주: 이상설, 이범윤 등이 대한광복군정부(1914) 수립
⇒무장 항일투쟁의 터전 마련, 임시정부 탄생의 토대 제공
(3) 중국 상해-+-- 동제사: 신규식이 조직, 임정활동에 큰 도움
+-- 대동단결선언: 황제의 주권 포기, 국민주권설과 공화주의 표방, 임정수립 촉구
(4) 미 국- 국민회, 흥사단
* 3·1 운동: 모든 국민이 참여한 민족운동이며, 전통사회의 전근대적 요소를 일소하였으며, 형식적이긴 하지만 일제의 식민통치 방법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여러갈래로 진행되던 독립운동을 하나로 결집시켰다.
* 1920년대 이후의 독립운동
1. 국내
1925년이후 국내의 민족해방운동은 사회주의 운동권이 주도하였으며, 우익은 자치와 타협을 주장하는 두 부류로 나뉘어 활동하였으나, 그다지 큰 성과는 없었고, 타협을 주장한 측은 점차 친일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1927년 신간회가 결성되었는 데, 이 단체는 3·1운동이후 민족독립운동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노선으로 갈라진 이래 처음으로 시도된 민족협동 전선운동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한만 하다. 1920년대 중, 후반에 우파들은 운동층에서 이탈하고 사회주의 노선은 사상범으로 몰려 대규모로 검거되는 등 수난을 겪지만 노동농민운동 등 사회주의 노선은 국내에서의 투쟁을 계속 전개해 나갔다. 이 이후의 독립운동사는 사회주의의 투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28년 코민테른에 속한 조선공산당이 창설되었으나 파벌과 엘리트, 인텔리 중심이어서 코민테른 으로부터 해산 및 재건 명령을 받게된다. 1930년대 중·후반 이후로 그들은 코민테른 7차대회에서 천명된 우익과 연합 차원에서 조선광복회등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2. 국 외
◎ 우 파
1919년 우파 성격의 임시정부가 설립되어 40년에는 광복군이라는 무장단체를 결성하는 등 국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지만 1920년대 초반부터 그 이후로 이념적인 문제와 노선문제, 그리고 지역적인 문제로 민족해방운동을 주도하지 못한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 윤봉길의 거사로 임정의 위상이 상승되고, 그에 따라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자 임정은 중경으로 이동하게 된다. 임정은 1945년 해방까지 김구의 주도로 계속 존속하게 된다.
◎ 좌 파
좌파의 민족해방운동의 주도로 중국에서 활동한 김운봉을 중심으로 한 민족혁명단(舊 의혈단)과 만주지역을 무대로 항일빨치산을 이끌었던 김일성, 그리고 연안파가 중심이 되어 친중 성격을 띤 화북조선독립동맹이 활발한 활동을 45년 해방까지 이끌어나갔다.

키워드

근대,   현대,   시대
  • 가격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2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