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A+]디자인 경영(산업디자인)과 한국 기업의 대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학A+]디자인 경영(산업디자인)과 한국 기업의 대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론

2. 디자인 경쟁력
<국내외 디자인 성공 사례>
월풀
모토로라
인터퓨어
조양의료기
애니콜 SCH-X430

3. 좋은 디자인이란?

4. 좋은 디자인의 조건
독창적인 디자인을 가진 애플 社
마쯔다 (Mazda)의 감성디자인
마쓰시다 경사형 드럼 세탁기

5. 좋은 디자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본문내용

상에서도 안전성의 정체성을 유지한다. 소니는 작고 가벼우며 심플한 소니 스타일이라는 일관된 이미지를 모든 제품에 적용하고 있고, 루이비통은 소재의 무늬, 손잡이끈의 색깔, 외부 박음질 등에서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 그림은 볼보의 예다.
5. 좋은 디자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디자인에 대해서 고객의 입장에서 새롭게 이해해야 한다. 디자인은 단순한 겉모양 꾸미기가 아니라 고객의 시각에서 고객이 원하는 경험을 제품에 담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 웅진 코웨이는 정수기 비데를 파는 회사가 아니라 청결을 파는 회사로 정의하고 있다. 즉, 제품을 구매해서 폐기하기 까지 고객이 경험하게 될 모든 요소와 과정을 디자인의 대상으로 인식해야 한다. 스타일, 재질, 기구, UI, 포장, 매뉴얼 등이 모두 디자인 대상이며 시각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 등의 감각 요소도 디자인 대상이다.
디지털 사진은 고화질의 사진을 찍는 것이 아니라 좋은 추억을 만드는 것일 수도 있는 것처럼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고객에게 제공할 “경험”을 정의해야 한다. 이후 고객과 제품의 상호작용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통해 경험을 구체화 시키는 것이다. 디자인, 기능, 품질 등 총체적 요소가 경험을 결정하므로 동시공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마케팅, 디자인 개발 등 관련부서가 초기 단계부터 함께 참여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좋은 경험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잠재니즈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고객이 언어로서 표현하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서 고객 자신도 모르고 있는 숨겨진 니즈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설문조사와 같은 계량적 조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제한적이며 결과도 부정확하다. 심층면접, 행태관찰, 선도사용자 연구 등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고객의 잠재 니즈를 발굴해야 한다.
기업
사례
P&G
부모와 유아들이 직접 참가하여 기저귀를 가는 실험환경을 만들어, 부모들이 Toilet Training 기간의 단축을 원하고 있음을 발견. 주력 기저귀 제품인 Pampers의 미션을 “Helping mom with baby’s development”로 설정하고 배변 후 2분 동안 젖어 있는 느낌을 주어 유아들이 화장실에 가도록 만드는 기저기를 개발
IDEO
IDEO는 아이들의 블록놀이를 주의 깊게 관찰, 만든 후 파괴하기를 즐기는 남아들과 달리 여아들은 만드는 과정 자체를 즐긴다는 점을 발견. 이에 따라 기존에 없던 ‘여아용 조립식 장난감’이라는 신영역의 상품을 탄생시켜 발매 후 1억 달러 매출을 기록
도요타 렉서스
도요타는 80년 대 렉서스 개발 당시 개발팀들은 미국 라구나비치의 고급 주택가에 직접 체류시켜, 부유층의 라이프 스타일을 심층 시킴. 이를 통해 미국 부유층의 행태와 니즈를 파악하여, 미국 시장에 내놓은 최초의 고급 차종인 렉서스를 성공적으로 개발
이러한 잠재 니즈를 파악하는 작업은 단순히 현재 고객 니즈를 포착하는 것을 넘어서 인간 본질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미래 트랜드까지 예측해야 한다. 역동적인 소비 니즈 변화를 제대로 포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지역의 특색 및 문화 등에 대한 입체적 연구가 중요하다. 인텔의 ‘People & Practice Group’에서는 인류학, 심리학 전문가들이 문화와 생활 양식 연구를 토대로 미래 트랜드를 예측하고 있다. 디자이너의 전시회 참관 및 시장 조사 기회를 통해 디자인 감성 소비 트랜드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은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기업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모든 제품에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가이드 라인은 기업의 철학, 브랜드 이미지, 현재의 제품 디자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기업 내부적으로 디자인 조직과 관련 부서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통일된 디자인 컨셉을 모든 제품에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스타일, 컬러뿐만 아니라 User Interface도 일관성 있게 디자인 해야 한다. 제품 군이 다양한 경우 디자인 정체성 강화 및 시너지 창출을 위해 디자인 조직의 통합도 검토해야 한다. 전사적 관리를 통한 디자인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디자이너간 교류 및 협력 활성화로 디자인 역량의 제고도 가능하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경영진은 디자인을 핵심 경영 전략으로 인식하고 역할과 위상을 강화하는데 앞장 서야 한다. 디자인에 대한 CEO의 인식과 의지가 디자인의 성패를 가름하는 매우 큰 요소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제품 개발 시 많은 시간을 디자인 팀과 함께 하는 등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며 디자인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경영진의 요구에 따라 디자인이 변질되지 않도록 관련부서도 디자인의 수호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비용과다, 기술개발의 한계, 생산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초기 디자인이 변경되는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 기획부터 출시에 이르기까지 제품 개발 전 과정에서 디자인 부서가 참여하는 총체적 디자인을 추진해야 한다.
6. 결론
제품이 기획, 생산, 판매되는 모든 과정에서 디자인은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단순하게 제품의 겉 모습뿐만 아니라 제품의 모든 것은 디자인을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남과 독립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산업은 선진국과의 격차는 줄어들지 않고 개도국과의 격차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넷크래커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의 돌파구로서 디자인 경쟁력은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되는 부분일 것이다. 단순하게 기업 차원에서의 노력은 물론이고, 국가 차원에서도 우수한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과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표현 능력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소비자, 기술 등에 폭 넓은 지식을 가진 제너럴리스트이자 스페셜리스트로서 역량을 갖춘 디자이너가 중요하다. 이러한 기업, 소비자,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합쳐질 때, 대한민국의 산업 경쟁력은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해 질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7.17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