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개념과 필요성,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연구사례,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운영지침과 편성운영,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지도방향,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 평가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개념과 필요성,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연구사례,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운영지침과 편성운영,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지도방향,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 평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개념

Ⅲ.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필요성

Ⅳ.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연구사례
1.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과정 편성 운영 모형 개발
2. 일반계 고등학교 수준별 교육 과정 편성 운영 모형 개발․적용
3. 심화 보충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 적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

Ⅴ.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운영지침

Ⅵ.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편성운영
1. 특별보충과정 편성
2. 특별보충과정 교재 개발
1) 기본 방침
2) 교재 개발 절차
3. 특별보충과정 운영

Ⅶ.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지도방향
1. 학습 기능을 보충한다
2. 정의적 특성을 육성한다
3. 개별화 지도를 강화한다
4. 학습 과제를 학습 위계에 따라 구성한다
5. 모든 학습 지도에서 숙달 학습을 해야 한다

Ⅷ.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평가
1. 긍정적인 면
2. 부정적인 면

Ⅸ.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관련 제언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습 부진아에 맞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재생시키고, 주의 집중을 유지시키면서 시각적 영상, 청각적 영상, 접촉 영상을 심어주고 반복 연습, 실험ㆍ실습을 강조하며 모든 학습에서 성공적인 성취를 하도록 이끌며 모든 단계의 학습에서 형성평가를 통해 피드백(feed back)을 하는 한편 숙달 학습이 확인될 때 다음 학습 과제로 가도록 해야 한다.
Ⅷ.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평가
특별보충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1. 긍정적인 면
어려웠던 것이 이해하기가 쉬웠다. 수학을 푸는데 어려운 점이 없어졌다. 많이 이해하게 되었다. 내 수준에 맞게 공부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게임으로 수업내용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
2. 부정적인 면
자존심이 상한다. 못하는 아이들과 하기 싫다. 늦게까지 한다. 차별하는 것이 싫다. 친구들이 열등반이라고 놀린다. 부모님 얼굴 보기가 부끄럽다.
Ⅸ.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관련 제언
특별보충과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유의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학력 책임 지도제와 연계하여 과목, 대상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둘째, 전체 지도와 개별 지도 시간의 적절한 안배를 통하여 지도의 효과를 높인다.
셋째, 학생들의 심리적 위축을 고려하여 특별보충과정 반의 명칭 사용에 유의한다.
넷째,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하여 외부 강사 또는 자원 봉사자를 보조 교사로 적극 활용한다.
다섯째, 중상위의 일부 학생을 특별보충과정에 편성하여 도우미로 활용함으로써 집단 편성의 탄력성을 부여한다.
여섯째,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가미한 프로그램 운영 및 지도 교사와의 래포 형성 등을 통해 출석률을 제고한다.
일곱째, 특별보충과정 운영 후 도달 정도를 확인하고 설문지 등을 통하여 효과 및 개선점 등을 파악하여 다음 운영에 반영되도록 한다.
Ⅹ. 결론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및 교육의 수월성 추구라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능력과 적성에 맞춘 다양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학생의 학습 능력과 필요에 대응하는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또 학생들의 학습능력에 따른 심화 또는 보충학습의 자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충학습의 자료는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파악하고 있는 담당교사가 교과협의회를 통해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연구, 1998
교육인적자원부, 수준별 수업 이렇게 해 봅시다, 2004
교육부, 초등 학교육과정,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7
교육인적자원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교육인적자원부, 2001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1999
김재춘, 수준별 교육 과정의 이해,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한국교육개발원,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199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준별 교육과정 현장 적용 방안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1998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