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전통악기) 사부와 혁부, 국악기(전통악기) 금부와 토부, 국악기(전통악기) 죽부, 국악기(전통악기) 포부, 국악기(전통악기) 목부, 국악기(전통악기) 석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전통악기) 사부와 혁부, 국악기(전통악기) 금부와 토부, 국악기(전통악기) 죽부, 국악기(전통악기) 포부, 국악기(전통악기) 목부, 국악기(전통악기) 석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1. 금부(金部)
2. 석부(石部)
3. 사부(絲部)
4. 죽부(竹部)
5. 포부(匏部)
6. 토부(土部)
7. 혁부(革部)
8. 목부(木部)

Ⅱ. 국악기(전통악기)의 사부
1. 거문고
2. 가야금
3. 해금
4. 아쟁

Ⅲ. 국악기(전통악기)의 혁부
1. 갈고
2. 장고
3. 좌고
4. 용고
5. 중고
6. 교방고
7. 건고
8. 응고
9. 삭고
10. 뇌도
11. 뇌고

Ⅳ. 국악기(전통악기)의 금부
1. 편종
2. 양금
3. 징
4. 자바라
5. 꽹과리

Ⅴ. 국악기(전통악기)의 토부
1. 훈
2. 부

Ⅵ. 국악기(전통악기)의 죽부
1. 대금
2. 피리

Ⅶ. 국악기(전통악기)의 포부

Ⅷ. 국악기(전통악기)의 목부
1. 태평소
2. 박

Ⅸ. 국악기(전통악기)의 석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 이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5. 꽹과리
꽹과리는 쇠, 매구, 깽매기, 깽쇠, 소금(小金)이라고도 불리는데 징보다 훨씬 작은 모양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타악기의 하나이다. 즉 꽹과리의 모양은 징의 작은 형태라고 보면 된다.
이 꽹과리는 왼손에 들고 오른손으로 치게 되며 이 때 단단한 나무로 깎아서 만든 채를 가지고 쳐서 소리 낸다.
꽹과리는 장구와 함께 가장 중요한 장단 연주악기의 하나로서 특히 <풍물놀이>와 <사물놀이> 에서는 매우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그래서 꽹과리주자를 일러 ‘상쇠’라고 부르며 음악 및 춤사위, 진법 등 모든 면에서 우두머리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향에 쓰는 소금은 끈에 용두를 새긴 채색한 손잡이가 있고, 붉은 칠을 한 망치로 치나, 농악에 쓰는 꽹과리는 징과 같이 홍사(紅絲) 끈으로 손잡이를 만든다. 종묘제례악에서는 정대업(定大業) 매박(每拍) 처음에 치고 특히 분웅에서는 매박 처음에 진고 와 대금(大金)을 친 다음 소금을 계속해서 3번 친다. 에서는 상쇠는 땡땡한 음색에 높은 소리가 나는 것을 쓰고 <풍물놀이>에 쓰는 꽹과리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상쇠가 연주하는 수꽹과리로서 소리가 강하고 높으며, 또 하나는 부쇠(부지휘자격)는 암꽹과리로 이보다 부드러운 음색에 소리가 낮은 것을 즐겨 쓴다. 음향상으로 뚜렷한 대비가 되는 암수꽹과리의 음악적 대화는 매우 빨리 휘몰아 가는 풍물장단에서 이루어지는데 <풍물놀이>에서는 이를 ‘짝드름’, 도는 ‘짝쇠’라고 부르며 이 짝쇠가락을 통하여 <풍물놀이>나 <사물놀이>의 음악적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리게 된다. 즉 이 음악의 완결을 이루는 핵심적인 역할을 꽹과리가 해내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암수꽹과리의 짝쇠가락 연주를 가리켜 ‘<사물놀이>음악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Ⅴ. 국악기(전통악기)의 토부
1. 훈
훈은 훈이라고도 쓴다. 점토를 구어서 만들기도 하고 백면화를 점토와 섞어서 만들기도 한다. 훈의 취구는 위에 있으며 지공은 앞에 3개 뒤에 2개가 있다. 훈은 정확한 음정을 내기 어렵고 음색이 비교적 어두운 편이며 낮고 부드러운 소리가 난다. 고려 때부터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문묘 제례악에 쓰인다.
2. 부
부는 점토로 화로 같이 만들어 구은 것이다. 이 갈래로 쪼개진 대나무채로 부의 위쪽 가장자리를 쳐서 소리 낸다. 소리가 두꺼우면 높고 얇으면 낮아지며 잘 구워야 놓는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중국 고대 악기의 하나이지만 우리나라에 박연이 당시이 사용되던 부가 좋지 않아 마포 징가에서 완전한 부 10개를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전한다. 부는 문묘 제례악에서 쓰이는데 부를 치는 방법은 한음이 규칙적으로 4박씩 계속 되는 경우 1박에서는 쉬고 제 2박에서는 한번 제 3박에서는 두 번 4박에서는 굴러서 친다.
Ⅵ. 국악기(전통악기)의 죽부
1. 대금
가로로 부는 대금은 삼죽(대금·중금·소금)중 가장 큰 악기이고 가얏고와 함께 역사가 오래된 악기이다. 김을 불어넣는 강도에 따라 저취·평취·역취로 나뉘며, 예로부터 관현 합주를 할 때 모든 악기의 높이를 정하는 표준악기 구실을 해왔다. 재료로는 해가 오래 묵은 황죽을 써 왔는데 요즘은 살이 두텁고 단단한 쌍죽골을 제일로 친다.
울리는 소리가 장중하면서도 맑기 때문이다. 한편 대금으로 연주하는 정악은 속되지 아니한 고상하고 순정한 풍류를 일컫는다 하여 `아정한 음악\'이라고도 한다.
2. 피리
세로로 부는 피리는 원래 서역의 악기였다. 현재 우리나라에 전하는 피리 가운데는 당피리·향피리·세피리 및 태평소가 있는데 음색은 피리류의 양악기인 오보에(Oboe)가 그렇듯이 어두운 편이나 시적인 느낌이다. 관현합주에서 주선율 구실을 하는 향피리는 대(大)피리라고도 하는데 마디가 촘촘하지 않은 식대를 사용한다. 이에 비해 크기가 조금 작은 세피리는 제도와 음역은 향피리와 같고 주로 반주용으로 쓰인다. 종묘 제례악에서 사용되는 태평소는 호적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 악기는 회족이 즐겨 쓰던 악기였는데 고려 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으며 주로 군중에서 사용되었다. 현재에는 불교음악, 농악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Ⅶ. 국악기(전통악기)의 포부
<생황>
이 종류의 악기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에 모두 있었다. 생황은 둥근 통 둘레로 돌아가며 구멍을 뚫고, 거기에 죽관을 돌려 꽂는다. 죽관 아래 끝에 구멍을 뚫고, 거기에 백동이나 유철로 된 쇠청을 붙여 숨을 내쉬고 들이마실 때에 일어나는 기류로 진동케 하여 소리가 난다. 전통 악기 중에 여러 음을 한꺼번에 내어 화음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Ⅷ. 국악기(전통악기)의 목부
1. 태평소
목관악기의 하나로 끝에는 동으로 만든 나팔모양의 동팔랑을 잇대었다. 호적(胡笛), 호적(號笛), 쇄납, 소이나, 쇄나, 철적 , 날라리 등의 딴이름이 있다. 이 악기는 원래 회족(回族)이 쓰던 악기로 고려 말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군중(軍中)의 대취타, 종묘 제향악인 정대업 중 소무, 분웅, 영관 등에 쓰였으며 지금은 대표적인 향토악기로서 농악, 불교음악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2. 박
음악이나 무용이 시작되거나 끝날 때 또는 변화가 생길 때에 지휘·인도하는 악기이다. 6개의 단단한 판목을 한쪽만 끈으로 꿰어 묶었는데, 길이가 약 43cm, 너비는 663cm가량이다. 나무 외에 고래 뼈나 또는 사슴뿔로 만든 소형의 박도 있다.
Ⅸ. 국악기(전통악기)의 석부
<편경>
아악기의 하나로, 두 층의 걸이가 있는 틀에 한 층마다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여덟 개씩의 경쇠를 매어 달고 치는 타악기이다. 16개의 ㄱ자로 된 옥돌 8개씩 2단으로 구분하여 틀에 매단다. 윗 단은 왼쪽에서부터, 아랫단은 오른쪽에서부터 차례로 반음씩 높아진다.
참고문헌
반혜성 지음 / 전통음악이론, 두남 출판사, 1999
서한범 /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1992
손태룡 / 한국의 전통악기, 경산 :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3
이성재 / 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1994
이성철 / 국악 개론, 풍남, 1995
전인평 / 국악감상 - 한국 음악의 멋, 중앙대학교출판부, 1993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