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마(schema, 도식) 정의, 구성, 기능, 스키마(schema, 도식) 재구성과 장점, 스키마(schema, 도식) 확장과 영향, 스키마(schema, 도식)와 독해관, 스키마(schema, 도식)와 독해이론, 스키마(도식) 활용 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마(schema, 도식) 정의, 구성, 기능, 스키마(schema, 도식) 재구성과 장점, 스키마(schema, 도식) 확장과 영향, 스키마(schema, 도식)와 독해관, 스키마(schema, 도식)와 독해이론, 스키마(도식) 활용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스키마(schema, 도식)의 정의

Ⅲ. 스키마(schema, 도식)의 구성

Ⅳ. 스키마(schema, 도식)의 기능

Ⅴ. 스키마(schema, 도식)의 재구성

Ⅵ. 스키마(schema, 도식)의 장점

Ⅶ. 스키마(schema, 도식)의 확장

Ⅷ. 스키마(schema, 도식)의 영향
1. 귀인 이론
2. Schema가 귀인에 미치는 영향
3. 자기 충족적 예언

Ⅸ. 스키마(schema, 도식)와 독해관

Ⅹ. 스키마(schema, 도식)와 독해이론

Ⅺ. 스키마(schema, 도식)의 활용 방법
1. 통찰<학습>
2. 기능적 고착
3. 체계 통찰
4. 확산적 사고
5. 수렴적 사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정에 중요하다고 본 Goodman(1967)의 견해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그는 독해를 자료수집에서 시작하여 예측하고 검증하여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스키마 이론(schema theory)에 의하면 독해 시 독자는 직선상으로 가시화되어있는 문자를 순서대로 처리해나가는 것이 아니라 읽고 있는 내용을 이미 알고 있는 배경지식에 통합하고 이에 비추어 해석하고 이해한다. 텍스트는 그 자체로는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고 독자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배경지식이 의미를 형성하도록 단서를 제공하고 방향을 지시한다는 것이다. 이 때 사전에 획득된 배경지식의 단위들을 스키마(schema)라고 하고, 이 배경지식의 구조나 집합체를 스키마타(schemata)라고 부른다(Adams & Collins, 1979: 1-22 ; Barlett, 1932: 201 ; Rumelhart, 1980: 34). Gagne는 스키마를 ‘일반적 개념을 중심으로 다른 개념을 주변적으로 연결하는 명제들의 집합체인 유기적 구조(an organized body of knowledge, conceived theoretically as a set of interconnected propositions centering a general concept, and linked peripherally with other concepts)’라고 정의한다. 텍스트 상의 새로운 정보가 독자의 스키마와 일치하면 이해는 쉽고 빠르게 진행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이해를 실패하거나 새로운 사실에 알맞게 스키마가 수정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독자의 스키마는 내용스키마(content schema)와 형식스키마(formal schema)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Carrell(1983)은 내용스키마를 ‘텍스트가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of the content area of a text)그리고, 형식스키마를 ‘형식적, 수사학적, 유기적 구조가 다른 텍스트들에 대한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of the formal, rhetor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of different types of texts)이라고 정의한다. 즉, 내용스키마는 텍스트의 내용과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세상지식으로 지식, 종교관습, 사물에 대한 내재화된 지식을 포함하며 텍스트의 해석, 독해, 정보의 회상을 도와준다. 형식스키마는 텍스트의 형식이나 구조에 대한 지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방법, 필자가 사용하는 담화구조나 수사적 구조 등에 관한 지식을 포함하여 이해를 촉진시켜준다.
L₂독해 분야에서 학습자보다는 언어에 초점을 맞추어 오던 입장에서 1970년대 후반 스키마 이론의 등장으로 독해는 텍스트와 독자의 스키마사이의 상호적인 과정(interactive process)으로 재해석되고 독자는 보다 능동적인 수행자로 인식된다.
Carrell & Eisterhold(1987)에 의하면 스키마 이론은 독해과정 이론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스키마 이론에 의하면 해석의 과정에서 모든 입력 자료는 기존의 스키마에 대해 틀을 가지게 되며 이 기존 스키마는 모든 면에서 새로운 정보와 모순 되지 않아야 한다. 동시에 이 과정은 상향식과 하향식의 두 기본적 정보처리과정 모드로 귀결된다.
스키마에 필요한 자료는 상향식 과정으로 채워지며, 하향식 과정은 자료가 청자의 기대와 일치되면 이 자료가 스키마에 동화되는 것을 도와준다. 상향식 과정은 청자/독자가 텍스트에 대한 자신의 가설과 맞지 않거나 새로운 정보에 민감해지도록 하고, 하향식 과정은 청자/독자가 애매성을 해결하거나 자료 해석에 있어서 선택을 돕는다.
하향식 모드에서 해석을 도와줄 스키마가 없다면 추가된 문장에 반응을 하지 못할 것이다. 즉, 상향식 과정을 통한 정보처리와 하향식 과정을 통한 개념예측이 모순 되지 않을 때 만족스런 텍스트 해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향식의 예측과 하향식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이를 조절하고 수정하여 재해석을 한다. 그러므로 텍스트에서 이해되는 많은 부분은 실제로 텍스트 내에 있다기보다는 독자의 스키마, 즉 배경지식에 있고, 이는 텍스트 해석 시 활성화된 특정한 스키마의 역할이다(Carrell & Eisterhold, 1987). 따라서 위의 텍스트를 해석하는 과정은 독해 시 독자의 스키마가 존재하고, 독해과정에서 텍스트와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
. 스키마(schema, 도식)의 활용 방법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했을 때, Schema가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방법.
(1) 문제에 체계적으로 접근
(2) 문제에 통찰력을 가지고 접근<통찰 학습> - 레코드판에 흠집이 났을 때 스카치테이프를 붙이는 것과 같은 것.
1. 통찰<학습>
통찰은 인류의 진보를 도움. 그러나 사람들이 많은 스키마에 얽매이게 되면 일반적인 상황만을 생각하여 통찰학습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2. 기능적 고착
우리의 기능이 한가지에만 집중, 고착되었을 때 문제의 일반적인 면에 집착하여 기능적으로 고착된 것이다.
3. 체계 통찰
창조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믿으나, 체계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통찰<창조> 역시 뛰어나다.
4. 확산적 사고
창의력의 특징. 다양한 생각을 한다.
5. 수렴적 사고
여러 가지 사고로부터 정답 하나만 받아들이고 믿는 사고형태.
사고를 잘 하기 위해서는 수렴적 사고가 잘 이루어져야한다.
수렴적 사고를 다른 분야로 확산했을 때에 창조적 사고가 나온다.
참고문헌
○ 김인영·윤지웅(2006), 소설 구조와 스키마이론, 영상영어교육학회
○ 김현정(1995), 읽기 교육에서 스키마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 교원 대학교
○ 박수자(1997), 독해전략의 유형과 지도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 연구회
○ 이삼형(1995), 스키마이론과 읽기지도, 한국언어문화학회
○ 장혜경(1997), 읽기 전략 지도를 위한 교과서 분석, 어문학교육 제19집, 한국어문교육학회
○ 황순자(1993), 읽기 메타인지와 독해결과 구조화 수준의 발달 및 관계분석, 충남대박사학위 논문

키워드

스키마,   schema,   도식,   읽기,   독해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