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학]모더니즘의 개념과 형성배경 그리고 모더니즘이 미친 영향과 특징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모더니즘

2. 모더니즘 형성 배경
1) 1930년대의 사회적 상황
2) 리얼리즘 문학의 침체와 새로운 문학정신.

3. 모더니즘이 미친 영향
1) 모더니즘 문학적 영향
2) 한계
3) 의의
①새로운 문학 형식의 발견
②문학에 대한 관념과 작품의 리얼리티 문제의 재정의

4. 모더니즘의 특징
① 오감도
② 감각의 서열
③ 구인회
④ 눈감은 눈

5. 참고자료

본문내용

잘 보여준다. 이 강연회의 성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한 문학 강연회라는 점이다. 정지용, 김기림, 박팔양, 이상, 이태준, 박태원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희곡이나 영화는 제외되고 있다.
둘째, 동인들의 지속적이고 중심적인 주제가 시의 근대성, 시의 형태, 소설의 기교, 언어와 문장 등에 대한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김기림 (「시의 근대성」,「시의 음향미」), 이상 (「시의 형태」), 이태준 (「창작의 이론과 실제」,「소설과 문장」), 박태원 (「언어와 문장」,「소설의 기교」) 등의 논제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이들이 <구인회>의 실질적인 대표자로 나서고 있다는 점에서 구인회의 문학이론이 곧 모더니즘과 관련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회원들이 공격한 바 있는 이광수, 김동인 등의 기성 민족주의 작가들이 2차 문학 강연에 나서고 있는데 이것은 <구인회>가 이들과 단순히 적대적인 관계에 있었다기보다는 이들의 문학(민족주의 문학)의 새로운 계승자임을 지적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3) 시와 소설
『시와 소설』이 발간되었을 때의 회원은 창간호에 적힌 순서대로 적자면 박팔양, 김상용, 정지용, 이태준, 김기림, 박태원, 이상, 김유정, 김환태이다. 실린 작품은 제목과는 다르게 시 일곱 편, 소설 두 편, 수필 네 편이다.
동인지였던 『시와 소설』에서 서문 격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 회원들의 단문이 실려 있는데 중요한 점은 그 내용을 통하여 각 회원들이 동인지를 통하여 표출하고자 했었던 자신의 문학관이나 그 시기에 개인 자신에게 절실했었던 문제들을 거론함으로써, 〈구인회〉의 성격과 의미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회원들의 서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소설은 인간사전이라 느껴졌다 - 상허
어느 시대에도 그 현대인은 절망한다. 절망이 기교를 낳고 기교 때문에 또 절망 절망한다 - 이상
언어미술이 존속하는 이상 그 민족은 열렬하리라 - 지용
예술이 예술된 본령은 묘사될 대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를 종합하고 재건설하는 자아의 내부성에 있다 - 환태
『시와 소설』의 서문은 문장과 언어에 대한 집착, 기교의 유희, 작가의 개성과 자율성, 내용보다는 형식 즉 제작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표현론적 문학관을 표명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그를 분수령으로 그들의 미적 태도가 와해되는 모습을 김기림의 '전체시론'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요컨대 〈구인회〉의 지향점과 이완점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구인회〉의 성격인 동시에 그들의 양면성인 것이다.
이처럼 <구인회>작가들은 대부분 193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문학적 핵심사항들이었던 기교편중에 대한 반성을 함과 동시에 그들의 지향점이었던 근대성에 대하여 회의를 하기 시작한다. 선망의 대상이었던 근대를 받아들임에 언어와 기교 그리고 표현과 기법으로 대응했었던 그들은 선망 뒤에 숨어 있었던 제국주의의 희생양인 그들과 그들의 국가에 대한 운명을 생각하고 그들이 왔던 길을 비로소 뒤돌아보게 된다. 그리하여 근대의 열망에 대한 자책과 성찰은 근대 부정으로 나타나고, 그것이 상고주의, 전통적 세계로의 회귀, 정관적 세계로의 몰입 등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동인지『시와 소설』에도 나타나서 <구인회>문학의 성격을 단적으로 드러내 주는 것이다.
『시와 소설』은 창간호로 끝나버린 단명성을 지녔지만. 〈구인회〉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그들만의 기관지 겸 동인지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④눈감은 눈
「오감도」의 의미와 아나그램 기법
처음으로 이 시가 발표되었을 때의 제목은 「조감도(鳥瞰圖)」였다. 그런데 후에 다시 발표될 때 ‘까마귀 오’를 쓴 「오감도(烏瞰圖)」로 제목이 바뀌어서 발표가 된 것이다. 이 시의 제목은 이 시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이 시의 제목이 앞의 변화를 띄게 된 원인에 대해 생각해보면 ‘아나그램 기법’을 이용한 것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아나그램 기법이란 다른 단어나 구의 문자 순서를 바꾸어서 만들어진 단어나 구를 의미한다. 건축과 수학 등에도 조예가 깊었던 이상은 한문의 모양을 변형시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 시의 제목이 글자의 의미를 떠나 기표를 왜곡시킨 형태로 붙여졌다고 주장한다. 즉, 상형문자인 鳥에서 새의 모습 중 눈에 해당하는 획을 빼냄으로서 烏 가 나왔다는 것이다. 이상이 처음으로 까마귀 ‘오’를 쓰기 위해 이 한자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시각을 상실한다는 의미로 가운데 부분의 획순을 뺐는데 그 한자가 우연히 까마귀 ‘오’였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왜 이 시가 불안과 공포의 세계를 상징하는 지 짐작해 볼 수 있다. 이 시의 시적 화자는 시각을 잃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시각을 잃었기 때문에 자신의 내면세계에 가장 잘 집중할 수 있지만 앞을 전혀 볼 수 없는 불안한 상태이다. 따라서 시적 화자의 두려움은 극에 달해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것들을 전제로 이상은 이 시를 써내려간 것이다.
‘오감’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하나를 잃었을 때의 불안과 공포를 이 시는 잘 표현해 주고 있는 것이다.
5. 참고자료
* 금동철,「1930년대 한국모더니즘시의 수사학적 연구」, 2000
* 김기림, 오전의 시론, 김기림 전집 2, 심설당, 1988
* 김은전, 「구인회와 신감각파」,『선청어문』24집 1996
* 김효정,「모더니즘 이론과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한국전통문화연구』. 1995
* 상허문학회, 『근대문학과 구인회』, 깊은샘, 1996
* 서준섭,「한국모더니즘문학 연구」, 일지사, 1988.
* 서준섭,「한국문학에서의 모더니즘」, 1989.
* 이명희,「『시와 소설』과 ‘구인회’의 의미」,『근대문학과 구인회』, 상허문학회 지음, 1996
* 이숭원, 김광균 시의 모더니즘의 위상, 20세기 한국 시인론, 국학자료원, 1997
* 조동민, 김광균 시의 모더니티, 김용직 외 공저, 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 조해옥,『이상 시의 근대성 연구』, 소명출판, 2001
* 진순애,「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론 연구」,『한국시학연구』, 1998.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2.03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