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식세포이론, 미생물의 산소별 특징, 미생물의 독소,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미생물과 원생동물, 미생물과 질병유발, 미생물과 메주, 미생물과 우주연구, 미생물의 실험 사례, 미생물의 활용 사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의 식세포이론, 미생물의 산소별 특징, 미생물의 독소,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미생물과 원생동물, 미생물과 질병유발, 미생물과 메주, 미생물과 우주연구, 미생물의 실험 사례, 미생물의 활용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미생물의 식세포이론

Ⅲ. 미생물의 산소별 특징
1. 미생물배양과 산소의 영향
1) 호기성 미생물
2) 혐기성 미생물
2. 유독한 형태의 산소
1) 산소
2) 독성산소를 분해하는 효소
3. 혐기성 미생물
1) 혐기적 환경
2) 절대혐기성 생물

Ⅳ. 미생물의 독소
1. 세균독소
2. 진균독
3. 독소의 표적기관

Ⅴ.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1. 내열성 포자 형성균에 의한 변패
1) Flat sour변패
2) TA 변패
3) 황화물 변패
2. 중온성 포자 형성균에 의한 변패
1) 중온균 Clostridium에 의한 변패
2) 중온성 Bacillus에 의한 변패
3. 일반 비포자 형성균에 의한 변패
4. 효모에 의한 변패
5. 곰팡이에 의한 변패

Ⅵ. 미생물과 원생동물
1. 원생동물의 성장방법
2. 원생동물의 증식

Ⅶ. 미생물과 질병유발

Ⅷ. 미생물과 메주

Ⅸ. 미생물과 우주연구

Ⅹ. 미생물의 실험 사례

Ⅺ. 미생물의 활용 사례

Ⅻ.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적단백질의 전사가 유도된다. 따라서 P. pastoris를 이용하는 생물공정에서는 포도당이나 glycerol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균체를 고농도로 배양하고 메탄올을 주입하여 목적단백질의 생산을 유도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메탄올을 탄소원이나 전사유도제로 사용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특히 목적단백질이 식품과 관련이 있는 경우는 이용의 제한이 따르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구조적 promoter인 GAP promoter나, methylamine을 유도제로 사용하는 FLD1 promoter를 이용하여 목적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사례도 보고 되고 있다.
H. polymorpha는 P. pastoris와 마찬가지로 glycerol과 같은 배지성분을 이용하여 짧은 발효시간에 고농도의 균체와 단백질 발현수준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단백질 이외의 숙주세포 유래의 단백질은 거의 배지 중으로 분비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순도의 제품단백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재조합 S. cerevisiae 시스템에서 번역 후 수식과정 중 빈번하게 발생하는 hyperglycosylation 또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조합 H. polymorpha를 이용하는 생물공정은 주로 methanol oxidase(MOX) promoter나 formate dehydrogenase(FMD) promoter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promoter는 P. pastoris와는 달리 메탄올을 주입하지 않고도 상당한 정도의 목적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H. polymorpha는 메탄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의 발현이 P. pastoris의 induction/repression이 아닌 repression/derepression 메커니즘을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H. polymorpha는 목적단백질의 발현을 위하여 메탄올 뿐만 아니라 glycerol과 같은 보다 안전한 기질을 사용할 수 있고 P. pastoris처럼 메탄올 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공정상의 이점이 있다. P. pastoris의 경우는 목적단백질 유전자가 homologous recombination에 의하여 염색체의 HIS4 부위에 주로 도입되지만 H. polymorpha는 nonhomologous recombination을 통해서 100 copy 이상의 목적단백질 유전자를 도입할 수 있어서 목적단백질의 발현효율이 숙주세포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copy number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는 P. pastoris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 결론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에 흰쥐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미생물실험의 일환으로 된장의 암 예방에 대한 약리성 효과를 실험하였다. 메주덩이를 먹인 쥐가 안 먹인 쥐보다 오히려 암 발생률이 적다는 결과였다. 일본에서 암 예방 식품을 조사한 것 중 된장이 으뜸으로 , 매일 된장국을 한 그릇씩 먹는 사람은 안 먹는 사람에 비해 위암 발생 비율이 30% 저하되었다. 그러나 된장을 먹어도 사람의 체질에 따라 그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위암은 남성17%, 여성은 19%정도 낮아진다.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물공학부연구팀은 한국의 전통 장류에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억제시키는 요인이 있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전통 장류에는 암을 억제시키는 요인이 들어 있는데, 된장은 70%, 고추장50%, 간장은30%순으로 , 식품 속에 들어 있을 여러 가지 발암물질의 돌연변이력을 떨어뜨려 암을 예방한다는 것이다
부산대 박건영 교수팀은 , 된장은 항암 효과는 물론 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키는 효과도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가정에서 담근 재래식 된장과 공장에서 만들어 시판하는 된장, 일본의 된장을 각각 항암 실험을 해본 결과 우리의 재래식 된장이 가장 발암 억제 효과가 크고 일본의 된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항암 효과의 차이는 된장을 만드는 원료와 제조공정의 차이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재래식 된장은 100% 콩으로만 만들지만 공장제품은 콩 이외에 쌀이나 보리 등의 곡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 발효에 이용되는 미생물도 재래식 된장은 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라는 세균을 이용하거나 공장 제품들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라는 곰팡이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장류 성분 중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된장이 발효되면서 떨어져 나온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리놀산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박건영 교수의 연구 보고에 의하면, 메주를 띄우는 과정에서 푸른곰팡이에 의해 아플라 톡신이라는 발암 성분이 생성되기도 하지만 장이 발효되면서 대부분이 파괴된다고 한다. 장을 담그려면 우선 메주를 물에 담가 솔로 씻는데 이때 겉면에 묻어 있던 아플라톡신이 대부분 씻겨 나가고, 남아 있던 아플라톡신은 소금물에 담가 3개월간 숙성시키는 동안에 87-100%가 파괴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더 진전된 연구 결과로는 , 아플라톡신을 비롯해 5가지 발암 물질을 배양기에 넣고 된장 추출물을 투입했더니 놀랍게도 발암 성분의 배양액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아플라 톡신은 된장 추출물50%를 투입하자 모두 없어졌고 ,위암의 주범으로 알려진 MNNG와 니이트로소아민, 탄 음식에서 생기는 벤조아필렌도 된장 추출물을 넣자 대부분 파괴되었다.
또한 된장 간장과 고추장의 경우도 시판 제품보다 가정에서 직접 담근 재래식 고추장과 전통적으로 발효한 양조간장이 항암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된장을 상식하면 암세포에 대항하는 능력이 길러지고 , 암세포가 성장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듯 미생물은 우리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성태·윤재영(2002) / 식품미생물학, 형성출판사
김경민 / 일반미생물학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박무(1995) / 응용미생물학
이원재 외 / 미생물의 세계, 월드사이언스
lansuing, 김영민·김경민·노영태 외 역(2005) / 미생물학 입문, 라이프사이언스
W. G. 홉킨스 /권덕기 외 4명 역(2001) / 식물생리학, 을유문화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2.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