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특징,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특징,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행동조건,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영향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특징,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특징,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행동조건,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영향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특징

Ⅱ.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의 언어지도
1. 청능훈련
2. 독화훈련
3. 수화 및 지화지도

Ⅲ.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특징

Ⅳ.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행동조건

Ⅴ. 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 의사소통의 영향요인
1. 언어능력
2. 의사소통 양식
3. 의사소통 환경
4. 의사소통 전략 사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ation profile for the hearing impaired; CPHI, 1986, 1987)에 나타나는 청각장애인의 행동, 환경, 정서적인 의사소통 등의 변인에 대한 연구에서 의사소통 환경을 의사소통의 필요성, 환경적인 요인, 타인의 태도와 행동으로 규정짓고 있다. 그들은 이러한 의사소통 환경이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전략과 의사소통 수행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내었다.
Tye-Murray 등(1995)은 화자의 친숙도에 따라 청각장애아가 대화에서의 의사소통 깨어짐에 반응하는 태도를 연구하였다. 그들은 청각장애아가 친숙한 화자와의 대화 상황에서 보다 비친숙한 화자에게 말을 할 때 더 의도적인 의사소통적 행동을 하려하고, 의사소통을 조정하려 한다고 밝혔다. 또한 화자의 친숙도는 아동의 반응과 문장, 어음인지에 영향을 미친다(Nygaard & Pisoni, 1998). Tye-Murray 등(1992)은 피험자가 비친숙한 화자와의 대화 참여 보다는 친숙한 화자와의 대화 참여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런 점에서 미루어 볼 때, 의사소통 훈련의 한 부분으로 화자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ye-Murray 등(1992)은 화자가 입을 가리거나, 말하는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말을 하는 동안 적절한 눈 높이 유지가 되지 않은 경우, 또 배경 소음이 너무 큰 경우에 청각장애인이 화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고 밝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Grant 등(1998)은 언어인지에서 시각적인 위치 단서, 청각적 유성성(有聲性)과 방법적인 단서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청각과 시각이 결합된 상황에서 청자들이 화자의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의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요인들이 적절하게 뒷받침되어져야 한다.
4. 의사소통 전략 사용
청각장애 아동은 구어를 수용하는 청각기관의 손상 때문에, 의사소통 과정에서 화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해하지 못해, 의사소통 깨어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은 정상청력을 가진 화자와 의사소통을 할 때, 자신의 의사소통 양식을 수정해 의사소통에 참여하고자 한다(Spencer 등, 1994). 이러한 의사소통 깨어짐을 회복하기 위한 청각장애인의 노력 여부에 따라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결정되어진다.
Demorest & Erdman(1986)은 효율적인 의사소통 전략 사용은 개인적인 의사소통을 증진하고, 청력 손실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청각장애를 가진 아동은 청각적인 상황(hearing status)에 맞추기 위해서 그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수정하여 나타내는 노력을 한다(Spencer 등, 1994). Brett & Mark(1994)는 청각장애 화자의 간단한 반복 요청인 “뭐라고요?”라는 말은 “나는 청각장애입니다. 뭐라고 말씀하셨습니까?”라는 언급으로써 의사소통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고 나타났다. 즉 청각장애인의 이러한 요구에 따라 화자는 보통 강도를 높이거나 그들의 메시지 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부가적인 방법들을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청각장애를 가진 청자의 반복요청은 화자의 메시지를 이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지적되고 있다.
덧붙여 아동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화자의 정보를 이해하지 못해 의사소통 회복 전략을 사용했을 때 화자의 반응은 아동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정보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즉 청각장애 아동이 의사소통 회복 전략을 사용해 화자가 자신이 말한 정보를 재언급해야 할 때, 이전 문장을 단순히 반복해 주는 것 보다는 동의어를 사용해 문장을 쉽게 제시하거나, 문장을 바꿔 말해 주는 것이 아동의 구어인지를 촉진할 수 있다(Gagne & Willie, 1989).
참고문헌
◈ 권요한, 청각장애아의 언어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금옥학술 문화재단 논문집2집, 1984
◈ 김승국 외, 청각장애 아동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998
◈ 석동일, 청각장애아 직업지도의 이론과 실제, 특수학교 직업지도의 이론과 실제, 교육부, 1993
◈ 이규식·석동일·국미경·강창욱, 청각장애아 언어지도와 치료방법,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8
◈ 우장석, 우리나라 청각장애 학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분석, 전주대 교육논총 9권, 1994
◈ 원영조 외, 청각장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2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