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념과 필요성,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전제조건과 영역,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와 학부모,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선방안,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념과 필요성,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전제조건과 영역,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와 학부모,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선방안,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념

Ⅲ.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필요성

Ⅳ.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전제조건

Ⅴ.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영역

Ⅵ.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와 학부모

Ⅶ.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선 방안
1. 근무성적평정 기준의 구체화·객관화
2. “학습지도” 영역 평정 강화
3. 현행 “자기실적평가서”를 “교육활동기술서”로 개편
4. 동료교사에 의한 다면평가제의 도입
1) 다면평가의 의의
2) 다면평가의 시행 범위
3) 다면평가의 시행 영역
4) 다면평가 방법
5. 교사의 수업 및 학생지도에 대한 자율적 평가 권장

Ⅷ. 향후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전망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별도로, 수업 및 생활지도 활동 등의 교육활동에 대하여 학생과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교사 각자가 자율적으로 평가를 받아 자기 개발의 자료로 삼도록 한다.
국가 및 시·도 교육청에서는 수업 및 생활지도 영역 등에 대해 교사가 자율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반응을 참고만 할 수 있도록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한다.
Ⅷ. 향후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전망
한국의 교육학 영역 중에 가장 현장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 수업 현장 연구와 개선 방안에 대한 부분이다. 그만큼 수업 개선을 위한 평가는 축척된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학교 현장에서는 연구학교와 시범학교 제도가 오히려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에 기여하기 보다는 승진과 연관된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왔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우선적으로 교육부와 교육과정 평가원, 교육개발원 등에서 해야 할 일은 교사가 자신의 교육활동을 되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기제를 계발하고 보급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팀티칭과 수업 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학생들에게 교과 활동과 담임활동에 대한 평가를 자발적으로 받고 있는 교사들을 고무해주는 일이다.
이제 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책무성 제고는 본격적인 논의의 시점에 들어서게 되었다. 또한 이 과제는 교육행정당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마련되고 추진될 경우에 실효성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 우리의 경험뿐 만아니라 외국의 경우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근무평정제도의 폐지와 현행 점수제에 의한 승진제도의 개선,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권한과 평가권의 법적 보장, 수업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모델의 계발과 보급이 지금 교육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다.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않은 채 추진하게 될 경우에 학교 현장은 또다시 소모적인 갈등에 휩싸이게 될 것이다.
교육부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비판을 겸허히 수렴하여 현재 제시된 교원평가 방안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현재 교육부가 해야 할 일은 교원의 전문성 강화와 책무성 제고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방안이 무엇인가에 대해 교원단체와 학부모단체 등과 실질적인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야 한다. 진정한 교육발전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논의의 출발점은 다시 교육현실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교원평가에 대한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방안은 그 과정에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Ⅸ. 결론
교육의 질은 교원의 질을 넘어설 수 없다. 아무리 훌륭한 시설이 갖추어진 학교라도 교원의 질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교육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교원이 지닌 능력과 역할에 따라 교육의 성패가 갈린다고 할 수 있다. 교원의 질이 학교교육 질 개선의 가장 중요한 변인의 하나이므로 교육의 질을 높이려면 우수한 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학생들의 학원 수강과 이에 따른 사교육비가 크게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적교육적 문제가 되고 있다. 학생들은 방과 후에 과외공부를 하거나 학원 수강을 하고, 정작 학교 수업 시간에는 학습을 등한히 하여 학교 수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공교육의 붕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집착하는 근본 이유는 “공교육의 교육력 약화”에 따른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학교교육의 질 저하는 공교육에 대한 국가정책의 실패 탓도 있지만, 교원의 질 저하와 정보화시대에 걸맞지 않는 학교의 낡은 교육 기자재 및 시설 부족 등과 같이 학교 현장에서 그 이유들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들 중에서 교원의 교육력 제고를 위한 노력 부족과 변화를 싫어하는 교원의 안일한 태도 등과 같은 교원의 질 저하가 가장 설득력 있게 들린다.
이와 같은 맥락에 따라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사교육 확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들이 자극을 받고 긴장하여 수업방법 개선과 전문성 신장을 위해 스스로 노력할 수 있도록 교원평가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교원평가제에 대해서는 기존의 교원 근무성적평정제도를 보완하자는 주장과 전혀 새로운 교원평가제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원의 승진제도를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교원 평가제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교육공무원 근무성적평가제도가 있는데, 공식적인 명칭은 “근무성적평정”제도이다. 우리나라의 근무성적 평가는 『교육공무원승진규정』 제3장 제17조(평정표)의 근무성적평정표(별지 제3호 서식, 별지 제4호 서식)와 그에 관한 평정방법 및 절차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다.
교원 근무성적 평가의 기능 및 목적은 교원의 승진 및 전보, 훈련, 해고 등과 같은 인사행정상의 결정을 위한 가치판단적인 것에 있다는 관점과 교원 개인의 근무성적 변화를 초래하기 위한 발달적인 것에 있다는 관점이 있다. 1980년 후반 이후에는 교원 개인의 전문적인 발달과 교육조직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발달적인 기능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즉, 교원의 근무성적평가는 인사행정에서의 결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교원의 개인적 및 전문적 성장을 촉진시키며, 나아가 교수활동의 개선과 교육조직의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원의 근무성적평가는 인사행정의 필수적인 한 과정으로서, 교육행정기관이 수립한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특히 교원으로 하여금 교직에서의 전문적인 성장과 근무성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참고문헌
ⅰ. 박상완(2004), 교사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개발 제31권 제3호
ⅱ. 신상명 외(2004), 교원평가의 쟁점과 발전방향
ⅲ. 신상명(2000), 교원평가 이론모형의 확장 논의, 교육학연구, 한국교육학회
ⅳ. 이재숙(2003), 교사평가 제도의 발전 방향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ⅴ. 이병대(2001), 근무성적평정의 다면평가제 도입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ⅵ. 이종찬(1996), 인사고과에서 동료평가의 인식도 및 수용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청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