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신정변에 관한 역사적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두

Ⅱ. 본론
1. 개화당의 대두와 정국의 갈등
2. 정변의 준비와 경과
3. 한성조약 체결
4. 갑신 정변 연구의 평가 쟁점
【일본에서의 평가】
5. 과제모색
Ⅲ. 결론

본문내용

그 시기는 천명에 따르고 인사에 준하여 그 절차와 단계가 있는 것이다. 혹은 종교 혹은 학설, 혹은 선전으로 일반의 지식과 사상을 고취하여 혁명의 기운을 진작 시킨 후에 정치 방면에서 강력한 수단을 실행하면, 찬성하는 사람은 많고 반대하는 사람은 적어서, 그 혁신정책이 장애없이 성공하는 것이다.” 실제로 개화사상은 개화파 인사의 저작과 해외견문 보고,『한성순보』 및 외국으로부터의 서적을 통하여 보급되었지만, 그것은 주로 양반내부의 일부 소장관리, 유생 및 일부군관, 중인층에 국한된 것이며, 특히 농촌에 있는 반봉건세력의 풍부한 저수지에는 전혀 開化思想이 보급되지 않았다. 더욱 단적으로 말한다면 개화사상의 침투는 지식이 있는 양반과 중인층 내부의 개명화된 반대파에 국한되었다. 여기에는 조선의 문자 사용의 이중적 성격이라는 역사적 조건, 즉 양반은 한문, 서민(부녀자)은 國文이라는 단절이 이러한 사상침투의 크나큰 장애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甲申政變 후의 개화운동중에 국한혼합문체가 순수한 국문의 사용과 연구로 진전되고 있던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셋째로, 첫째와 둘째가 정변의 주체 세력의 냐약성을 규정하는 요인으로 본다면, 다음에 드는 외적 조건의 불리와 그것에 대한 그릇된 평가이다. 이것은 청,일 양군이 서울에 주둔하고 있는 조건하에서, 갑신정변이 수행된 것과 관련되고 있다. 청불전쟁에서 청국이 패배하였지만, 당시 서울에는 원세개가 이끄는 강력한 1500명의 군대가 있었고, 조선군에도 전영, 후영, 좌영, 우영의 4영중에 후자의 2영은 조련을 받은 군대였다.
이에 대해 개화파는 그 자위의 준비가 갖춰지기까지 단기적,과도적인 조치이긴 하지만 하지만 150명의 일본군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다. 여기에 일본군에 대한 과대평가, 청군에 대한 과소평가가 있다. 더구나 일본군은 무력충돌의 결정적 단계에서 약속을 저버리고 철수해 버렸다. 게다가 개화사상의 본질과 의도를 모르는 광범한 층의 눈에는 개화파가 일본세력과 결탁한 것으로 비쳤으며 그리하여 그 반격을 받은 것이다. 불행히도 “아시아의 프랑스”를 지향한 갑신정변은 실패하였지만 개화사상 그 자체 및 개화파에 의한 부분적 개혁의 성과는 정변후의 시기에 있어서도 일련의 부르조아 민주주의 운동 중에 계승되어 1894년의 갑오개혁, 그 후에 계속된 독립협회 및 만국공동회에서는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유길준,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정변후의 역사과정에는 많은 변화, 변동이 있고 미국에 망명한 서재필은 한국인의 입장을 떠나서 미국시민으로 되고, 박영효는 1910년이후 귀화로서 일본귀족이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만약 그것을 갑신정변에까지 확대시켜 정변 그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면 그것은 물론 역사연구에 있어서 올바른 방법 및 입장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갑신정변연구』 한국정치외교학회 編 &《평민사》
『한국근대사』 강재언 &《한울》
『한국근대사연구』강재언 & 《한울》
『한국근대사강의』한국근대사연구회 &《한울》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4.2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