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미술(전통미술)의 해학미와 소박미,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사군자 지도방법,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수묵화 지도방법과 한국화 지도방법,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 제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미술(전통미술)의 해학미와 소박미,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사군자 지도방법,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수묵화 지도방법과 한국화 지도방법,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미술(전통미술)의 해학미와 소박미
1. 해학미
1) 조각과 공예에서의 해학미
2) 회화에서의 해학미
2. 소박미
1) 조각과 공예품에서의 소박미
2) 회화에서의 소박미

Ⅲ.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사군자 지도방법
1. 난 그리기
2. 매화 그리기
3. 대나무 그리기
4. 국화 그리기

Ⅳ.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수묵화 지도방법
1. 흥미 유발 자료
1) 자유로운 선 긋기
2) 화지에 물 뿌리기
3) 자유롭게 먹을 떨어뜨리거나 점찍기
4) 채색하기
2. 기타 흥미 유발 자료
3. 선 긋기
4. 점 찍기
5. 점 찍기와 선 긋기

Ⅴ.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의 한국화 지도방법
1. 화훼화(花卉畵)·정물화(靜物畵)
2. 풍경화(風景畵)․인물화(人物畵)
3. 조형실험(造形實驗)

Ⅵ.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느낀 각자의 아름다움을 주관적으로 먹이나 채색으로 표현하며 전체의 조화와 여백의 미를 살린다. 선묘는 굵기와 농담의 변화를 주며 채색할 때는 각 물체의 질감을 생각하며 신선한 채색을 담채나 농채로 하도록 지도한다.
2. 풍경화(風景畵)인물화(人物畵)
풍경화는 동양회화에서 주류를 이루는 화목으로 산수화로 지칭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정선이 진경산수화로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풍경화는 자연 대상의 신비를 올바르게 관찰하고 파악하여 그곳에서 느낀 작가의 내면적인 정신의 감흥을 표출하는 것이다. 미술사의 흐름을 통해서 보면 수많은 화가들이 산수의 오묘함과 웅장함을 나타내는데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주제를 정한 후 풍경을 여러 방향에서 몇 가지 구도로서 스케치하여 그 중 변화 있고 안정감 있는 것을 선택하여 밑그림을 그린 후 제작한다. 스케치할 때 부분적으로 부적당한 것은 위치를 바꾸거나 생략하여 구도를 잡는다.
특히 원근감 표현에서 근경은 농묵, 중경은 중묵, 원경은 담묵으로 처리하며, 일반적으로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근·중·원경을 배치하는 구도로 먹과 채색의 농담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선묘와 묵법의 다양성, 여백의 최대한의 활용 등으로 제작한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안정감 있고 훌륭한 작품이 나올 때 까지 여러 가지 기법으로 제작한다.
풍경화에서는 산이나 바위, 나무의 윤곽과 형태를 표현할 때 다양한 묵선이나 묵점의 터치를 전통적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를 준법이라고 한다. 그에는 피마준(披麻), 부벽준(斧劈), 미점준(米點), 우점준(雨點), 해삭준(解索), 하엽준(荷葉), 절대준(折帶), 운두준(雲頭) 등 많은 종류가 있다.
강세황(1713 - 1791)의 「연강제색도」는 농담의 변화로서 서정적 분위기 묘사와 원근감을 잘 나타냈다.
인물은 살아 있는 생명체이므로 인체의 전체적인 동세와 얼굴의 표정, 비례, 균형 등을 무엇보다 잘 파악해 생동감 있게 표현한다. 따라서 모델의 관찰을 세심하게 해야 되며 어느 한 부분에 얽매이지 않도록 그리며 필력과 농담에 의한 자신감 있는 작품이 되도록 한다. 양감과 운동감은 수묵과 채색의 농담과 선의 강약으로 표현하고 동작이 정지된 상태라도 인체의 내면에 감추어진 성격과 인품 등의 내면성표출이 중요하다. 채색은 연하게 시작하여 부분에 따라 점차 짙게 하고 얼굴이나 몸의 표정은 최대한 살려주며 배경의 색은 인물의 전체적인 표현에 영향을 줌으로 신중하게 선택한다. 잔손질이 많으면 조잡하거나 더러워지며, 강조할 부분은 명확하게 부각시켜 완성시킨다. 이명욱(17 - 18세기)의 「어초문답도」는 생동적인 선묘와 동세, 표정묘사로 훌륭한 작품성을 보여준다.
3. 조형실험(造形實驗)
단순히 ‘그린다’는 고정적인 개념이나 관념에서 벗어나 재료와 표현기법의 다양성, 새로운 창조성의 실험적인 시도로서 구체적인 주제나 대상에 대한 느낌과 감정, 과거의 경험, 상상과 미래의 세계 등에 대한 이미지의 구성적인 표현으로 사실적인 것보다는 추상적이고 비구상적인 조형성의 창조를 중시한다.
재료는 먹과 화선지, 모필을 중심으로 사용하면서 천, 다양한 성질의 종이, 수채물감, 한국화 물감, 크레파스, 색연필 등도 함께 이용하여 번지기, 뿌리기, 문지르기, 찍기, 판화, 꼴라지, 마블링 등의 기법으로 표현한다. 아동들이 한국화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방법이기도 하며 예술 창작의 무한히 자유로운 경험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조형실험은 현대 한국화의 새로운 조형성 탐구의 한 양상이기도 하다(Cf. 金銀集, 1994 : 姜張遠, 1993 : 李寧秀, 1997 등).
Ⅵ. 한국전통미술지도(전통미술교육) 관련 제언
오늘날과 같은 국제화 시대에 물밀듯이 밀려오는 서구 문화의 유입은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들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특히 우리 교육은 이러한 서구 문화의 홍수 속에서 한때 많은 혼란을 겪는 듯 하였으나, 곧 나름대로의 자긍심을 회복하고 과거 선조들의 정통성을 이어받아 우리 민족 고유의 주체성을 확립해 나가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미술교육이 해결해 나가야할 과제는 자라나는 새싹들에게 우리의 전통 미술을 바르게 이해하고, 자긍심을 가지게 하며, 현재의 새로운 문화와 변화들을 전통 문화에 적절히 접목시켜 우리의 전통 문화를 창의적으로 계승,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우리의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아동들에게 다양한 전통의 미술 문화를 경험하게 하여 전통에 대한 새로운 가치와 심미적 심성을 계발시켜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전통회화의 지도는 전통적 재료로 보다 친근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줌으로써 아동이 재료와 기법이 갖는 특성들을 자연스럽게 접하여 전통회화가 지닌 조형적 가치를 스스로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전통회화의 조형적인 특징들은 서양화와는 다르다. 우리의 전통회화에서 물체의 형태는 외형의 묘사가 아닌 정신과 직관에 의해서 표현되어졌으며, 선은 대상을 표현하는 주된 표현요소로 자리를 굳혀 왔다. 또한 여백은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필연적인 요소로 발생되었으며, 여기에 소박한 자연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조형의식이 더해져 이웃 중국이나 일본과는 또 다른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보다 바람직한 한국화 교육을 위해서는 우리 전통회화의 이러한 조형적 특성들을 바르게 이해시키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활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우리 전통회화의 재료와 기법이 갖는 정신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일평 / 한국의 문화, 서울 : 을유문화사, 1974
미술교육학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교육과학사, 2000
안선희 / 초등학교에서 한지작업을 통한 전통미술 지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이승하 / 전통회화에 있어서 여백과 재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정혜경 / 초등학교 미술교육에 있어서 전통미술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킴바라세이고, 민병산역 / 동양의 마음과 그림, 서울 : 새문사, 1999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5.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