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차-증권투자에 대한 소개>>
<<2주차-증권시장의 이해>>
<<3주차-주식거래 시작하기>>
<<4주차-증권시장정보>>
<<5주차-종목선택하기>>
<<6주차-종목선택하기>>
<<7주차-매매시점의 결정>>
<<2주차-증권시장의 이해>>
<<3주차-주식거래 시작하기>>
<<4주차-증권시장정보>>
<<5주차-종목선택하기>>
<<6주차-종목선택하기>>
<<7주차-매매시점의 결정>>
본문내용
.
*배당락: 권리락과 같은 원리로 배당기준 일이 경과하여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 어지는 것을 말한다. 배당락이 되면 그 효과만큼 주가가 하락하게 되는데 이 가 격을 배당락 가격이라 한다.
7.증권시장지표
*증권시장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를 말함.
*일반적으로 증권투자의 성과
: 증권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증권시장지표 는 일반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 항이다.
*증권시장지표
-일반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항.
-현재의 경기상황을 나타냄
-미래경기에 대한 예측정보도 반영
-일반투자자뿐 아니라 경제정책을 수립에 도 중요한 지표.
*증권시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
: 주가지수, 거래금액, 거래량, 상승종목수, 하락종목수, 고객 예탁금, 주가수익비율.
이 중에서 주식의 가격변동을 지수로 나 타내는 주가지수가 가장 대표적인 증권 시장지표라고 할 수 있다.
8.주가지수의 특징
*주가지수의 쓰임새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①주가에는 개별기업의 경영성과 뿐만 아니 라 정치, 사회적인 요인까지 반영되기 때 문에 이로부터 산출되는 주가지수는 특정 시점의 경제 및 사회상황을 애표하는 특징 이 있다, 경기가 나쁠 때면 증시상황도 좋 지 않아 주가지수가 낮아지고 경기가 좋으 면 주가가 상승해서 주가지수도 높아진다.
②주가는 과거의 기업성과뿐만 아니라 미래 의 기업 활동까지 반영하기 때문에 주가지 수는 미래의 경제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선행기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주가가 경 기에 4~6개월 정도 앞선다는 이론에 따라 주가지수를 경기예측지표로 활용하고 있 다. 실제로 통계청에서 경기전반의 흐름을 알려주는 경기종합지수를 계산할 때 코스 피지수를 경기선행지수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
즉 주가지수(코스피지수)가 상승하면 앞으 로 4~6개월 후의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판단하며 주가지수가 하락하면 앞으로의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③과거주가지수의 변화양상은 미래주가변화 의 예측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투자결정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렇게 과거주가정보를 이용해서 투자를 결정하는 기법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한다.
④주가지수는 시장전체의 평균적인 주가변 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개별적인 투자성 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가령, 투자자 의 1년간 투자수익률이 20%이었고, 같은 기간 동안의 구가지수 상승률이 30%이었 다면, 이 투자자의 투자성과가 주가지수보 다 낮았다고 평가될 수 있다.
⑤주가지수는 개별주식의 위험도를 평가하 는 기준이 된다. 대체로 주가지수 변화보 다 큰 폭으로 가격이 변화하는 주식을 위 험이 크다고 한다.
⇒주가지수: 현재의 경제 사회 상황을 대표.
미래 경제상황을 예측, 투자결정에 이용,
투자성과의 평가기준, 개별주식의 위험도 평가기준.
9.주가지수의 산출
*주가지수란 어떤 시점을 기준시점으로 하 고 그 기준시점의 주식시장 전체의 가격수 준을 100으로 하고 비교시점의 가격수준 은 이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한
값이다.
*가령 2004년 100원이었던 주가가 2006년 200원이 되었다고 하면, 2004년 기준 2006년 주가지수는 200이 됩니다. 주가지 수는 단위를 포인트로 하므로 2006년 주 가지수는 200포인트라고 말한다.
*-주가지수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모 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
-상장 주식 중에서 몇 개의 주식을 표본으 로 선택→주식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종목 들을 표본으로 선택
-KOSPI 200: 상장주식 중 대표성이 있다 고 판단되는 200개 동목을 표본으로 산출
-다우존스산업평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30개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
*평균갑수하는 방법
-단순평균방식: 개별종목의 주가를 단순히 합하여 이를 종목 수로 나누어 구하는 방 법. 다우존스산업평균이 이로한 방법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이 방법을 흔히 다우식 이하고 한다.
다우식 방법은 1주당 주가가 높은 주식의 가격변동이 지수변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 는 단점이 있다.
-가중평균방식: 개별종목의 시가총액을 가 중치로 해서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
시가총액이란 1주당 가격에 발행주식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시가총액식)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규모가 큰 주가의 변동이 지수에 큰 영행을 미침
10. 종합주가 지수
*종합주가지수에는 KOSPI 200, 코스닥지 수, 통합지수, 한경다우지수가 있다.
*종합주가지수: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까 지 다우식 주가지수를 이용하였으나 다우 식 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83년 1월 4일부터 시가총액식으로 변경 하였다.
종합주가지수는 기준시점인 1980년 1월 4 일의 주가수준을 100으로 놓고 산출된다.
따라서 어느 시점의 종합주가지수가 1000 이라고 하면 이는 1980년 1월 4일에 비해 서 평균 10배의 주가수준이라는 의미이다.
*KOSPI 200: 1996년 5월 우리나라에 주 가지수선물을 처음 도입하면서 선물거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주가지수를 만들었다.. 이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200개 주요종목을 표본으로 하고 있는데 이들 200개 종목의 시장가치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전체 시장가치의 큰 부분을 자 치한다. KOSPI 200은 이들 200개 종목의 1990년 1월 3일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놓고 산출되어 매일 매일 발표되고 있다. 1997년 7월에 도입된 주가지수옵션거래도 KOSPI 200을 가격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코스닥지수: 코스작시장의 종합주가지수로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종목의 시 가총액을 기준일인 1996년 7월 1일의 주 가를 100으로 하여 산출된 지수이다.
*통합지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대표종목들 100개로 구성된 지수로 KRX (코리아 익스체인지 100 이라고 발음함)
2001년 1월 2일을 기준일의 주가수준을 1000포인트로 하여 산출된다.
*기타 주가지수: 한경다우지수는 증권거래 소에서 1983년까지 산출하던 다우식 주가 지수를 한국경제신문이 이어 받아 산출하 고 있는 주가지수로서 표본은 우량주식 80개로 구성되어 있다.
종합주가지수가 상장주식 전체를 대상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좀더 세분화된 시장
*배당락: 권리락과 같은 원리로 배당기준 일이 경과하여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 어지는 것을 말한다. 배당락이 되면 그 효과만큼 주가가 하락하게 되는데 이 가 격을 배당락 가격이라 한다.
7.증권시장지표
*증권시장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를 말함.
*일반적으로 증권투자의 성과
: 증권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에 의해 결정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증권시장지표 는 일반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 항이다.
*증권시장지표
-일반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항.
-현재의 경기상황을 나타냄
-미래경기에 대한 예측정보도 반영
-일반투자자뿐 아니라 경제정책을 수립에 도 중요한 지표.
*증권시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
: 주가지수, 거래금액, 거래량, 상승종목수, 하락종목수, 고객 예탁금, 주가수익비율.
이 중에서 주식의 가격변동을 지수로 나 타내는 주가지수가 가장 대표적인 증권 시장지표라고 할 수 있다.
8.주가지수의 특징
*주가지수의 쓰임새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①주가에는 개별기업의 경영성과 뿐만 아니 라 정치, 사회적인 요인까지 반영되기 때 문에 이로부터 산출되는 주가지수는 특정 시점의 경제 및 사회상황을 애표하는 특징 이 있다, 경기가 나쁠 때면 증시상황도 좋 지 않아 주가지수가 낮아지고 경기가 좋으 면 주가가 상승해서 주가지수도 높아진다.
②주가는 과거의 기업성과뿐만 아니라 미래 의 기업 활동까지 반영하기 때문에 주가지 수는 미래의 경제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선행기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주가가 경 기에 4~6개월 정도 앞선다는 이론에 따라 주가지수를 경기예측지표로 활용하고 있 다. 실제로 통계청에서 경기전반의 흐름을 알려주는 경기종합지수를 계산할 때 코스 피지수를 경기선행지수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
즉 주가지수(코스피지수)가 상승하면 앞으 로 4~6개월 후의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판단하며 주가지수가 하락하면 앞으로의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③과거주가지수의 변화양상은 미래주가변화 의 예측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투자결정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렇게 과거주가정보를 이용해서 투자를 결정하는 기법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한다.
④주가지수는 시장전체의 평균적인 주가변 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개별적인 투자성 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가령, 투자자 의 1년간 투자수익률이 20%이었고, 같은 기간 동안의 구가지수 상승률이 30%이었 다면, 이 투자자의 투자성과가 주가지수보 다 낮았다고 평가될 수 있다.
⑤주가지수는 개별주식의 위험도를 평가하 는 기준이 된다. 대체로 주가지수 변화보 다 큰 폭으로 가격이 변화하는 주식을 위 험이 크다고 한다.
⇒주가지수: 현재의 경제 사회 상황을 대표.
미래 경제상황을 예측, 투자결정에 이용,
투자성과의 평가기준, 개별주식의 위험도 평가기준.
9.주가지수의 산출
*주가지수란 어떤 시점을 기준시점으로 하 고 그 기준시점의 주식시장 전체의 가격수 준을 100으로 하고 비교시점의 가격수준 은 이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한
값이다.
*가령 2004년 100원이었던 주가가 2006년 200원이 되었다고 하면, 2004년 기준 2006년 주가지수는 200이 됩니다. 주가지 수는 단위를 포인트로 하므로 2006년 주 가지수는 200포인트라고 말한다.
*-주가지수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모 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
-상장 주식 중에서 몇 개의 주식을 표본으 로 선택→주식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종목 들을 표본으로 선택
-KOSPI 200: 상장주식 중 대표성이 있다 고 판단되는 200개 동목을 표본으로 산출
-다우존스산업평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30개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
*평균갑수하는 방법
-단순평균방식: 개별종목의 주가를 단순히 합하여 이를 종목 수로 나누어 구하는 방 법. 다우존스산업평균이 이로한 방법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이 방법을 흔히 다우식 이하고 한다.
다우식 방법은 1주당 주가가 높은 주식의 가격변동이 지수변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 는 단점이 있다.
-가중평균방식: 개별종목의 시가총액을 가 중치로 해서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
시가총액이란 1주당 가격에 발행주식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시가총액식)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규모가 큰 주가의 변동이 지수에 큰 영행을 미침
10. 종합주가 지수
*종합주가지수에는 KOSPI 200, 코스닥지 수, 통합지수, 한경다우지수가 있다.
*종합주가지수: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까 지 다우식 주가지수를 이용하였으나 다우 식 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83년 1월 4일부터 시가총액식으로 변경 하였다.
종합주가지수는 기준시점인 1980년 1월 4 일의 주가수준을 100으로 놓고 산출된다.
따라서 어느 시점의 종합주가지수가 1000 이라고 하면 이는 1980년 1월 4일에 비해 서 평균 10배의 주가수준이라는 의미이다.
*KOSPI 200: 1996년 5월 우리나라에 주 가지수선물을 처음 도입하면서 선물거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주가지수를 만들었다.. 이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200개 주요종목을 표본으로 하고 있는데 이들 200개 종목의 시장가치는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전체 시장가치의 큰 부분을 자 치한다. KOSPI 200은 이들 200개 종목의 1990년 1월 3일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놓고 산출되어 매일 매일 발표되고 있다. 1997년 7월에 도입된 주가지수옵션거래도 KOSPI 200을 가격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코스닥지수: 코스작시장의 종합주가지수로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종목의 시 가총액을 기준일인 1996년 7월 1일의 주 가를 100으로 하여 산출된 지수이다.
*통합지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대표종목들 100개로 구성된 지수로 KRX (코리아 익스체인지 100 이라고 발음함)
2001년 1월 2일을 기준일의 주가수준을 1000포인트로 하여 산출된다.
*기타 주가지수: 한경다우지수는 증권거래 소에서 1983년까지 산출하던 다우식 주가 지수를 한국경제신문이 이어 받아 산출하 고 있는 주가지수로서 표본은 우량주식 80개로 구성되어 있다.
종합주가지수가 상장주식 전체를 대상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좀더 세분화된 시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