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정의와 특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필요성과 측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 결함원인,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 중재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정의와 특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필요성과 측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 결함원인,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 중재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정의

Ⅲ.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특징

Ⅳ.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필요성
1. 사회적 기술 결함(social skill deficits)은 또래와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부족한 아동이다
2. 수행 결함(performance deficits)은 효율적 상호작용을 위한 기술은 있지만 적절한 수준에서 필요한 기술을 수행하지 못하는 아동이다
3. 자아 통제 결함(self control deficits)은 충동적이거나 공격적인 사회적 행동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행동 통제가 부족한 아동을 말한다

Ⅴ.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측정

Ⅵ.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결함 원인
1. 지식의 부족
2. 연습과 피드백의 부족
3. 단서 및 기회의 부족
4. 강화의 부족
5. 방해하는 문제행동의 출현

Ⅶ.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의 중재 전략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학습한 기술을 아동들이 나타낼 수 있도록 촉구의 방법을 사용하고, 둘째는 놀이나 학습 활동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을 나타내는 아동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행동과 관련된 칭찬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교사의 단서나 촉구 및 피드백의 체계적인 사용은 장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비율이 증가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수 전략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아동들이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에 교사가 언어적 칭찬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비언어적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체계적인 용암법 절차는 아동이 교사의 칭찬에 의존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McEvoy et al., 1990).
교사 중재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는 다음의 두 연구가 대표적이다. 하나는, 사회적 기술 결함을 나타내는 아동에게 직접 강화와 촉구의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법들은 사회적 기술에 결함이 있는 아동이 사회적 교화(exchange)를 시도할 수 있도록 대상 아동을 중재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많은 연구에서 대상 아동으로부터 사회적 주도를 이끌어 내기 위해 강화와 촉구의 방법들이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Haring and Lovinger, 1989).
또 다른 유형의 교사 중재는 집단 애착 활동(group affection activities)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런 유형의 중재는 학급의 모든 아동들이 참여한다. 전형적인 게임, 노래부르기,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활용된다. 그런 활동 과정 가운데 몇 가지 유형의 신체적, 언어적 방법으로 애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인사를 하는 활동으로 껴안거나 악수하기, 뒤에서 가볍게 두드리는 등의 몇 가지 신체적 애정을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하는 동안의 행동 수정을 위해서 언어적, 신체적 애착의 방법이 사용된다. 이런 중재 전략의 초점은 특정 집단 활동에서 아동의 상호작용 및 집단 애정 활동이 증가되었고, 또 자유로운 놀이 활동에서도 역시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했음이 밝혀지고 있다(McEvoy et al., 1988; Twardosz et al., 1983).
Ⅷ. 결론 및 시사점
사회적 기술은 출생 시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기질과는 달리 살아가면서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또래와 성공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어린시절의 중요한 과제이며 아동의 사회성과 언어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고 했다. 또래와 적절히 교제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 사회적 행동은 일어나지만 동기 부족과 관련되거나 행동할 기회가 적어 일련의 사회적 행동 레퍼토리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수준으로 행동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자신을 조절하지 못하거나 정서적 반응으로 인해 특정한 기술 습득이 방해받는 경우 등이 사회적 기술을 배우지 못하는 요인이다.
참고문헌
김영환(1994) / 사회적 기술 훈련프로그램,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이민규(2002) /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유화(2000) / 역할놀이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용태 외(1997) / 시설수용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기술 훈련 효과, 특수교육학회지
최영하(1994) / 정신지체아의학습지도,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Robert P, 김정휘 역(1987) / Ingalls, Mental Retardation : The Changing Out look, 정신 지체아 교육의 원리와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6.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