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색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색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의 전통 색채의 형성

2. 한국 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3. 한국의 오방색
1) 오방색의 음양오행설
2) 오방색의 상징성
3) 오방색과 의식주

본문내용

가 충만하도록 하는 기원의 뜻을 담고 있으며, 신부의 얼굴에 바르는 연지곤지도 시집가는 여인을 투정하는 음귀에 대한 축출의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또 돌이나 명절에 오색천을 이어 만들어 어린 아이에게 입히는 색동저고리 역시 오행을 갖추어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② 식생활
식생활에서 간장항아리에 붉은 고추를 끼운 금줄을 두르는 것은 나쁜 기운의 근접을 막기 위한 것이며, 팥죽, 시루떡도 음의 기운을 물리치고자 하는 것이다. 또 잔치상에 오르는 국수는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국수위에 올린 오색고명은 오행에 순응하는 복을 비는 의미가 더해졌다. 대보름날에도 쌀, 보리, 조, 콩, 기장의 오곡으로 만든 오곡밥과 반찬 역시 다섯 가지 나물로 오행과 오색을 맞추고, 국도 다섯 가지 건더기를 넣어서 끓여 먹었다. 사대부가에서는 어(漁)와 육(肉), 편(片)과 적(炙), 소(蔬)와 채(菜) 등 음양과 오색의 배열을 일상화했으며, 맵고, 달고, 시고, 짜고, 쓴, 오미를 색상에서는 오색으로 조화시켰다.
③ 주생활
궁궐과 관아, 사찰 등의 건축물은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실내외의 목재 및 벽면에 단청을 했으며, 각 건물의 성격과 용도에 따라 단청의 문양과 색상에 차이를 두었다. 교육을 목적으로 지어진 향교, 서원 등의 유교적인 이념이 중요시 된 건물에는 바탕에 단순한 흑백의 선으로 테두리를 그어 장식하는 긋기 단청을 했으며, 이와 달리 사찰의 법당이나 주요 전각에는 비단에 수를 놓듯 온갖 색으로 현란하게 금단청을 했으므로 단청의 색과 문양이 건물의 성격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불교의 영향으로 남아있는 건축물은 매우 화려한데, 이는 오방색과 단청이 쓰였기 때문이며, 이러한 색은 중국에서 수입을 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궁궐이나 절에 많이 사용 되었다.
민가에는 궁궐, 사찰과는 달리 채색에 의한 장식이 엄격히 금지되었기 때문에 단청을 사용할 수가 없었고, 인위적 가공을 하지 않은 천연의 색상이 그대로 활용되었다.
양반가옥에 사용된 기와의 경우, 회색 빛을 띠지만 고려 청자에서처럼 유약을 사용한 적극적 색채 활용이라고 할 수 없으며, 회칠로 마감된 벽면도 색채를 활용할 목적이었다기보다는 흙가루의 떨어짐을 방지하고 미감을 높이기 위한 재료로 활용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목재, 석재, 초가의 지붕 재료로 쓰인 짚 등의 경우에도 모두가 천연색이며 비바람과 오랜 시간에 의한 변색이 오히려 자연스러운 미감을 높여주는 작용을 했다고 보여 진다.
<참고문헌>
* <전통색의 이해를 위한 색채교육 프로그램 연구-오방색을 중심으로> 황영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2007
* <한국 채색화의 연구-전통 색채를 중심으로> 이선춘.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조형미술학과. 2004
* <한국의 문화적 특성과 미의식을 배경으로 한 한국적 색채에 관한 연구> 박영원.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1997
* 남송미술관 남궁원 개인 블로그 http://blog.naver.com/husuabi47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0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