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원의 <천변풍경>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태원의 <천변풍경>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박태원의 생애와 작품세계
3. 천변풍경의 구성
4. 천변풍경의 형식적 특질
4.1. 카메라 아이(camera eye) 방식
4.2. 몽타주 기법의 수용과 행복의 의미
5. 천변풍경의 내용적 특질
5.1. 『천변풍경』에 나타난 공간적 의미
5.2. 타락한 도시 세태의 풍속화(風俗畵)
6. 작품에 대한 ‘카프’의 입장
7. 나오는 말

본문내용

. 천변풍경의 다양한 대화 소재들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는 삶의 조건이 각각 다른 인물들의 행동양식을 통해, 이들의 삶 조건을 규정하고 있는 근대 자본주의 속에서 빚어지는 윤리적 일탈과 소외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김홍식, 『박태원 연구』, 국학자료원 2000, p.217-218
소설가로서 박태원이 파악한 도시의 모습은 한마디로 천변을 흐르는 더러운 흙탕물과 같은 것이었고, 근대화의 과정에서 1930년대의 경성이 연출하는 풍경은 타락한 사회의 풍속화(風俗畵) 그 자체였다.
6. 작품에 대한 ‘카프’의 입장
『천변풍경』은 대도시 경성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회적 삶을 형상화시킨 것이 아니라, 그들의 일상적인 삶을 관찰하고 묘사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회적 삶이 시대적정치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것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데 비해서, 일상저인 삶은 단조로우며 순환의 구조를 갖는다. 작품에서 시대적인 사건을 반영하였다거나 당시의 사회적 쟁점을 작품 내에 수용한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것도 바로 이러한 데서 연유한다. 즉, 도시인의 일상적인 삶은 반복되며 정체된 형태를 띠고 있어 역사적 시간이 틈입할 수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박태원의 소설은 카프측의 논자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작가는 천변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을 묘사함으로써 삶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즉, 집단과 대중을 통하여 진리를 인식하였던 것이다. 흔히, 대중은 냉철한 세계관에 의해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욕구’로써 세계를 인식한다. 『천변풍경』에서 다소 세속적인 욕망을 지닌 집단적 인물들의 관심사가 바로 대중들의 요구에 해당한다. 이에 대하여 박태원은 도덕적인 판단은 하지 않고, 그러한 욕구 차제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1930년대 중반 군국주의와 전체주의 하에서 개인이 무의미해지는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평가될 수 있으며, 또한 순환성으로 특징지워지는 동양적 역사 인식의 특수성으로도 볼 수 있다. 동시에 작품에서 차용한 기법적인 독특함과 주제 의식은 역사와 계급 의식을 강조하는 프로문학의 논리와는 반대의 지점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강진호 外, 앞의 책, p.223~225.
7. 나오는 말
지금까지 1930년대 식민지 치하의 도시풍속과 사람들의 생태를 형식적 특질과 내용적 특질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소설은 이들 천변의 인물들의 삶을 ‘카메라의 눈’처럼 충실히 따라갈뿐, 그것들을 모아 하나의 통일된 주제를 일구어 내거나 섣불리 도덕적 판단을 내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천변은 근대와 전근대의 접경에서 빚어지는, 타락한 사회의 풍속화(風俗畵)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참고문헌》
강진호 外, 『박태원 소설 연구』, 깊은샘 1995
권영민 편, 『월북문인연구』, 문학사상사 1989
김윤식정호웅 공저, 『한국소설사』, 예하 1993
김재용 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4
김홍식, 『박태원 연구』, 국학자료원 2000
슈탄젤, 김정신 역, 『소설의 이론』, 문학과 비평사 1990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1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