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동시조음][모음조화][모음체계]모음의 분류기준, 모음의 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 모음조화의 특성, 모음조화의 배경, 모음조화의 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모음조화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음][동시조음][모음조화][모음체계]모음의 분류기준, 모음의 동시조음, 모음조화의 개념, 모음조화의 특성, 모음조화의 배경, 모음조화의 약화원인,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모음조화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모음의 분류기준
1. 입술의 모양
1) 원순모음(둥근 홀소리, round vowel)
2) 비원순모음(평순모음, unrounded vowel)
2. 혀의 높낮이
1) 고모음(높은 홀소리, high vowel)
2) 중모음(가운데 홀소리, mid vowel)
3) 저모음(낮은 홀소리, low vowel)
4) 폐모음(닫은 홀소리, closed vowel)
5) 반폐모음(반닫은 홀소리 half-closed vowel)
6) 반개모음(반연 홀소리, half-open vowel)
7) 개모음(열린 홀소리, open vowel)
3. 혀의 전후 위치
1) 전설모음(앞홀소리, front vowel)
2) 중설모음(central)
3) 후설모음(뒤홀소리, back vowel)

Ⅲ. 모음의 동시조음
1. 비음화(콧소리되기, nasalization)
2. 권설음화(혀말이소리되기, retroflection)
3. 후두음화(켕김소리되기, pharyngalization)

Ⅳ. 모음조화의 개념
1. 현대 국어에서는 의성어, 의태어에서 가장 잘 준수된다
2. ‘-아-/-어-’,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었-’ 등에서 대체로 잘 지켜진다

Ⅴ. 모음조화의 특성

Ⅵ. 모음조화의 배경
1. 모음조화는 국어 음운사 연구에 종사하는 이들이 가장 오랫동안 그리고 빈번히 다루어온 주제의 하나다
1) 국어의 모음조화가 지니고 있는 일반언어학적인 면에서의 특수성
2) 국어 모음사 기술과 국어 모음조화에 대한 이해가 아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
2. 규칙의 실현 환경‧제약 조건‧변화 과정 등 모음조화의 기본적인 성격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더 이상 더할 것이 없을 정도로 소상히 밝혀졌다
1) 검토 자료의 편중성
2) 검토 대상 범주의 편중성

Ⅶ. 모음조화의 약화원인

Ⅷ.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되어 온 것으로, /ㆍ/의 음가 추정 및 소실 시기, 소실의 방향, 소실의 원인, 모음 조화와의 관계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ㆍ/ 소실의 근본적인 원인을 국어사의 어느 시기에 있었던 모음의 대대적인 ‘추이’로 상정한다면, 우선 이러한 모음 추이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고대 국어의 모음 체계로서 /*/를 포함한 8모음 체계를 설정한다면, 고대 국어의 모음 체계는 ‘前舌 : 後舌’의 대립을 바탕으로 하는 구개적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점차 중세 국어의 시기로 접어들면서 양성의 //가 음성의 /i/ 쪽으로 접근해 가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15세기의 모음 체계는 양성의 //와 음성의 /i/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한다. 즉 15세기는 양성의 //가 음성의 /i/ 쪽으로 견인되어 가고 있는 도중이었는데, 이와 동시에 /e/는 자신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었던 //와의 안전 간격을 유지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中舌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고자 한다. 따라서 구개적 조화 체계가 무너지고 /ㅓ/의 中舌化가 진행되면서, 국어의 모음 조화는 매우 서서히 약화되었던 것이다.
Ⅷ.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현대국어의 모음조화는 음성상징어나 \'-아/-어\'계 어미에서만 그 명맥을 근근이 유지하고 있다. \'촐랑촐랑\', \'출렁출렁\'과 같은 음성상징어들은 모음에 따라 그 음감이 달라진다. 양성모음은 작고, 밝고, 가벼운 느낌을 주지만, 반대로 음성모음은 크고,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준다. 이처럼 음성상징어는 그 기반을 조화 체계에 두고 있으므로 그것이 무너지면 자신의 존립이 위태로워진다. 음성상징어에서 모음조화를 볼 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표준어의 기반이 되는 서울 및 그 인근 지역에서는 \'-아/-어\'계 어미의 교체에서 모음조화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서울 토박이말에서는 어간 모음이 \'ㅐ, ㅏ\'일 때에 \'-어\'가 연결됨이 일반적이다. 오직 \'오-\', \'좋-\', \'곱-\' 따위와 같이 어간 모음이 \'ㅗ\'일 때에만 \'-아\'가 연결될 뿐이어서 모음조화의 말기적 현상을 보여준다. 이를 보면, 단음절 어간으로서 모음이 \'ㅏ, ㅗ, ㅐ\'일 때 \'-아\'로 적도록 정해 놓고 있는 현행 한글맞춤법의 규정은 언어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보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 지역의 함경평안방언과 강원도의 일부 방언은 아래 (4)와 같이 대체로 \'\'의 변화와 \'ㅗ>ㅜ\' 변화가 완료된 근대국어 후기 단계의 모음조화를 보여주고 있다.
(1)밧고다>바꾸다, (신을) 바꾸+아 → [바꽈]
갖추다, (짐을) 갖추+아라 → [가촤라]
고르다, (땅을) 고르+아서 → [골라서]
단음절 어간 모음이 \'ㅐ, ㅏ, ㅗ\'일 때에는 물론 \'-아\'가 연결되며, 위의 (1)처럼 2음절 어간의 첫 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도 \'-아\'가 연결된다. \'ㅣ\'는 음성모음으로 기능한다. 이 때 역사적으로 \'>ㅡ\', \'ㅗ>ㅜ\' 변화를 겪은 비어두 음절 위치의 \'ㅡ\'와 \'ㅜ\'는 모음조화에 대하여 중립적이다. 이를테면 부분중립 모음이 되는 셈이다.
맞춤법에서, 종전에 \'가까와\'로 적도록 한 것을 남한이 \'가까워\'로 적도록 바꾼 반면, 북한이 그대로 \'가까와\'로 적도록 하고 있는 것은 남북한의 언어 현실을 고려할 때 타당한 면이 있다.
남한 방언에서의 모음조화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그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곳이 충남과 경북 동해안 지역이다. 충남방언에서는 \'오-\', \'좋-\', \'놓-\'와 같이 어간 모음이 \'ㅗ\'이면서 받침이 없거나 \'\'으로 끝나는 용언을 제외하고는 아래 (2)에서 보듯 \'-어\'가 연결되며, 반대로 경북 동해안 방언에서는 (3)처럼 어간 모음이 무엇이든 \'-아\'가 연결된다.
(2) (자리가) 쫍(좁)어서, (고기를) 잡어서, (열매가) 맺어서
(3) (소리를) 들아도, (돈을) 꼬:도(꾸-아도), (술을) 바아도(붓-아도)
이처럼 현대국어는 방언에 따라 모음조화 양상이 천차만별이지만, 이는 근대국어 단계에서 볼 수 있었던 형태소 경계에서의 모음조화 규칙이 점점 쇠잔해 가는 모습(지역에 따라 그 흔적을 좀더 많이 지니고 있다거나 또는 적게 지니고 있다는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에 다름 아니다. (2)의 충남방언과 (3)의 경북 동해안 방언은 그 극단을 보여준다. 이들 방언에서는 \'-어\' 또는 \'-아\' 중의 어느 하나로 단일화되었거나 단일화되어 가고 있다. 물론 이러한 해석을 내리기 위해서는 각 지역 방언의 역사를 좀더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기는 하다. 요컨대, 현대국어에서 볼 수 있는 모음조화의 잔재는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앞 시기의 유흔(遺痕)일 뿐이다. 오직 중세국어에서 왕성한 힘을 가졌던 모음조화라는 음운규칙이 그 종말을 고하는 말기적 현상만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Ⅸ. 결론 및 제언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형태소 내부와 경계에서 비교적 정연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근대국어를 거쳐 현대국어에 이르는 동안 모음체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고, 또 이러저러한 음운변화의 결과로 모음조화는 쇠잔의 길을 걷게 되었다. 현대국어에서는 음성상징어와 \'-아/-어\'계 어미의 교체에서 모음조화의 흔적을 엿볼 수 있을 따름이다. 현대의 몇 방언에서는 \'-아/-어\'계 어미마저도 \'-어\' 또는 \'-아\'로 단일화되었다. 모음조화와 모음체계가 표리 관계에서 출발은 하였지만, 모음조화라는 음운 현상은 모음체계의 변화 그리고 음운변화의 결과로 소멸의 운명을 맞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김방한 / 국어 모음 체계의 변동에 관한 고찰 : 중세 국어 모음 체계의 재구를 위한 방법론적 시도, 동아 문화 2, 1964
김무림 / 중기 국어 모음 체계 일고, 어문논집 28, 1989
김차균 / 훈민정음 해례의 모음 체계, 선오당 김형기 선생 팔질기념 국어학 논총, 서울 : 태학사, 1985/1988
이숭녕 / 모음조화연구, 진단학보 16, 1949
정연찬 / 15세기 국어의 모음 체계와 그것에 딸린 몇 가지 문제, 국어학 18, 1989
최명욱 / 경북방언의 모음 조화,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2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