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그의 시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Ⅱ. 정약용의 생애
1) 성장기
2) 강진 유배기
3) 말년기

Ⅲ. 다산 시문학의 특징
1. 다산의 시세계
1) 현실비판의식을 형상화 한 시
2) 애민의식이 형상화 된 시
2. 다산의 작가의식

Ⅳ. 결론

※다산 정약용의 연보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인식의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실학사상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실학사상으로부터 시작된 다산의 의식은 당시의 세도정치의 등장으로 정계에서 추방을 당해 유배지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내는 동안 농민들의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묵도하며, 현실에서 날카로운 비판을 통해 선진적이며 사실주의적 입장을 갖게 하였다.
다산의 이러한 사실주의적 입장은 그의 문학에서도 잘 나타난다. 다산은 문학을 객관현실의 반영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항상 백성의 생활을 그 토대로 하고 이를 진실하게 반영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와 같은 점을 자신의 창작활동에서도 훌륭하게 수행하였다.
다산은 심각하고 엄중한 현실을 직면하고 그 삶에 깊이 다가가 현실의 모순을 사실적으로 드러내어 간고하기 그지없는 농민들의 생활을 심혈을 기울여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데 힘썼다. 다산은 문학에서 중요한 것이 현실생활이며 생활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생활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면 할수록 문학의 내용은 보다 풍부하고 진실해진다는 그의 생각은 다산이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 “시집을 먼저 보려 서둘지 말고 상소문, 차자, 묘비문, 서한문들에서 그 안목을 먼저 넓히도록 할 것이다.”라고 전한 것에서 나타난다. 또한 다산은 “시라는 것은 사상의 표현이다.”, “진실을 찬미하고 허위를 풍자하며 선을 권하고 악을 징계하는 사상이 없으면 시가 아니다.” 라고 말하며 문학을 나라와 백성을 이끌어 가는 수단으로 인식했다. 황패강, 소재영, 진동혁외『한국문학작가론」.「정약론論」 김지용. 형설출판사
이처럼 다산은 어지러운 시대상을 사실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백성의 편에 서서 그들의 고난을 문학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이는 다산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백성의 삶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며 경험한 것에 그의 비판적인 현실인식을 덧붙여서 형성된 것으로, 다산의 작품세계의 기저를 이루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Ⅳ. 결론
정약용이 활동하던 시절, 그의 학문을 이해하거나 평가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그
직접 만나 토론을 벌였던 극소수의 학자들 사이에서만 그의 사상이 평가되었고, 그래서 매우 한정적인 평가만이 이루어졌다. 그의 이론이 매우 독창적이고 논쟁적으로 전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학문과 사상은 널리 논의되지도 않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도 못하였다. 금장태, 다산 정약용 유학과 서학의 창조적 종합자, 살림, 2005, 136p.
아마 그의 사상이 시대를 상당히 앞서 갔기 때문이라 보인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하면서 다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의 저술에 사람들의 시선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정약용은 자신을 버린 불의의 시대에는 자신의 실천적 학문을 수용하지 못했지만, 그 시대를 넘어 다음 시대에서나마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알아줄 사람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자신의〈자찬묘지명〉에 글을 남겼는데 이렇게 그의 학문과 사상이 오늘날에 이르러서 높이 평가받고 연구되고 있어 참 다행이라 여겨진다.
이 논문을 쓰면서 다산 정약용의 여러 방면의 높은 수준의 식견과 방대한양의 저술에도 관심이 갔지만 그보다도 한 나라의 관리로서 또 학자로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과 부패하지 않고 나라를 올바르게 이끌어나가려 했던 모습에 더욱 관심이 갔다. 무엇보다도 백성의 아픔을 이해하며 그들을 위로하는 작품 창작에 힘을 기울였던 다산 정약용에게 존경을 표하고자 하며 이 논문을 마치겠다.
※ 다산 정약용의 연보
1762년 6월 16일 경기도 광주군 초부면 마재에서 아버지 정재원과 어머니 해남 윤씨 사이에서 태어남.
1770년 어머니 윤씨와 사별.
1771년 시집<삼미집>을 펴냄.
1776년 홍화보의 딸과 혼인.
1777년 이익의 책을 보고 실학을 공부함.
1783년 2월 증광감시에 합격하고 4월 회시에 생원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감. 9월에 장남 학연이 태어남.
1784년 맏형 약현의 처남 이벽에게 천주교에 대해 처음 듣고 천주교 서적을 보게 됨.
1786년 둘째 아들 학유 태어남.
1789년 1월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오름. 겨울에 배다리 건설의 규제를 작성해 올림.
1790년 예문관 검열이 됨. 사헌부 대간이 법식을 어겼다고 탄핵하자 여러 차례 사직을 고수하여 해미에 유배. 11일 만에 풀려남.
1791년 5월에 사간원 정언, 10월에 사헌부 지평에 오름. 진산사건이 일어나자 이를 계기로 천주교를 배교함.
1792년 홍문관 수찬이 됨. 4월 아버지 정재원이 세상을 떠남. 시묘살이를 하면서 왕명으로 수원성 설계를 맡음.
1794년 7월 성균관 직강에 제수되었다가 10월에 다시 홍문관 수찬에 오름. 경기 지역 암행어사가 됨.
1795년 동부승지에 올랐으나 주문모 사건에 연루되어 금정 찰방으로 좌천.
1797년 다시 동부승지에 임명되었으나 천주교와 관계된 일을 고백하는 사직 상소를 올리고 물러남. 6월 황해도 곡산 부사가 되어 선정을 베풂.
1799년 병조 참지와 형조 참의에 오름. 대사간의 탄핵을 받자 <자명소>를 지어 바치고 사직함.
1800년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옴.
1801년 신유교옥이 일어남. 정약종 이승훈 홍교만 등이 사형당하고 정약용과 정약전은 장기와 신지도로 유배. 10월 황사영 백서사건으로 다시 국문을 받고 정약용은 강진으로, 정약전은 흑산도로 유배.
1803년 《주역》을 연구함.
1816년 6월 둘째 형 정약전이 유배히 흑산도에서 사망.
1818년 《목민심서》저술. 8월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 마재로 돌아옴.
1819년 《흠흠신서》저술.
1836년 회혼일인 2월 22일,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남. 우승미, 실학의 꽃 정약용, 이룸, 2007, 193~194p.
<참고 문헌>
한국사 천년을 만든 100인(1001~2000). 오늘의 책. 1998
홍이섭.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제5장<비판정신> 한국연구도서관. 1959
우승미, 실학의 꽃 정약용, 이룸, 2007.
금장태, 다산 정약용 유학과 서학의 창조적 종합자, 살림, 2005.
김상홍, 「다산의 정약용 문학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5
황패강, 소재영, 진동혁외『한국문학작가론」.「정약론論」 김지용. 형설출판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