슐라이어마허의 언어해석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언어와 사유의 해석학적 순환론
1. 문법적 이해
2. 심리적 이해
3. 말
4. 이해의 기술
5. 해석학적 순환론

Ⅲ 해석의 주체와 대상으로서의 언어

Ⅳ 나가는 말

본문내용

계를 비판하여 삶의 해석학을 정립한다. 이를 위하여 그는 이해의 기술로서의 해석학을 역사와 삶을 이해하는 해석의 기술로 도입하였고 해석해야 할 텍스트를 역사의 지평으로 확장시킨다. 슐라이어마허에 따르면 해석은 문자로 표현되어 "지속적으로 고정된 삶의 외적 표현에 관한 기술적인 이해"
) Wilhelm Dilthey, 같은 책 319쪽.
이다. 텍스트를 통하여 드러나는 삶을 기술적으로 이해하는 기술은 "저서 속에 포함된 바 인간 현존재의 나머지 부분들에 대한 해석"
) 같은 책, 같은 곳.
을 시도하는 기술이다. 딜타이는 이 역사 속에서 인간이 표현한 삶의 나머지 부분 즉 즉 문학적 편린들을 구체적으로 체험한 역사 내지는 삶의 내용으로 수용하여 해석의 영역을 삶과 역사로 전치(轉置)시킨다.
하이데거 이후 해석학은 또 하나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근본 존재방식을 이해에다 설정하고 이해자체를 해명하려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 때 이해는 텍스트 해석을 위한 매개 개념이거나 혹은 해석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 존재자체의 존재방식으로서 전환된다. 동시에 하이데거는 슐라이어마허가 제시한 해석학적 순환론을 존재이해의 결정적인 방법으로 수용한다. 그에게 있어서 순환론은 논리학에서 말하는 순환논증의 오류가 아니라 오히려 이해되지 못한 존재의 나머지 부분들을 순환의 관계 속에서 이해의 폭을 넓혀가는, 존재해석과 이해의 방법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그의 해석학은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가 제시한 이해의 방법으로서의 해석학을 극복하며 이해를 존재의 존재방식으로 변형시켜 현상학적 해석학 내지는 해석학적 존재론을 정립한다.
가다머는 슐라이어마허의 언어적 관점을 수용하여 언어를 통하여 형성되는 역사적 지평의 이해를 시도하면서 철학적 해석학을 정립한다. 동시에 이러한 입장을 언어와 역사와의 관계 개념으로 연결시키고 역사진행의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확장되는 언어와 세계이해의 가능성을 개방하여 철학적 해석학의 틀을 정립한다.
이에 반하여 하버마스는 해석학을 이론의 차원을 넘어서 실천의 차원으로 전이시킨다. 그리하여 그는 왜곡된 의식구조와 사회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왜곡된 언어구조를 비판적 관점에서 바로 세우며 해방된 의식과 사회를 지향하는 비판적 해석학을 제시한다. 왜곡된 언어를 수정하여 왜곡된 의식을 수정하며 올바른 언어구조의 정립을 통하여 억압된 사회구조를 바로잡으려는 그의 작업은 정확한 해석과 이해를 통하여 왜곡된 의식과 사회를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비판적 해석학을 낳게 된다. 이를 위하여 하버마스는 해석의 대상을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전이시키며 해석되어야 할 텍스트를 사회로 확장하여 해석의 영역을 사회구조 전체로 확장시킨다. 이러한 해석학의 최후 목적은 단순한 텍스트 해석이 아니라 해석을 통한 "해석의 공동체"와 "상호 의사소통의 공동체"를 구축하여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딜타이의 해석학을 계승한 딜타이 학파는 텍스트의 영역을 삶과 역사로 확장할 뿐만 아니라 인간을 총체적인 삶의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해석하려는 새로운 논리학을 정초하려고 시도한다. 딜타이의 입장은 미쉬(G. Misch)와 립스(H. Lipps), 그리고 볼노(O.F. Bollnow)로 이어지면서 삶의 연관성에 착안하여 인간학적 논리학을 정립하여 인간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해명하려는 해석학적 논리학을 구축하게 된다. 그 이후 해석학은 더 이상 저서로서의 텍스트만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총체적인 삶과 삶이 표현된 역사를 읽는 기술로서 전환된다.
현대에서 가장 요청되는 또 하나의 해석의 형태는 실존 해석이다. 해석의 궁극적 목표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라면 실존철학에서 말하는 주체적인 자아와 실존의 근거인 세계에 대한 해석은 나의 의미와 세계의 의미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철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구성한다. 실존 해석 역시 해석이라는 의미에서 실존이라는 텍스트를 갖는다. 실존은 주체적인 경험과 결단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실존은 그때마다 주체적으로 자신을 정립하는 순간적인 결단이기 때문에 경험의 내용을 이해하며 이해된 사실들을 통하여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기대하기에는 많은 난점이 따른다. 해석의 새로운 가능성이 앞으로 경험하게 될 사실에 대한 선이해를 구성하여 경험된 내용의 해석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확장하고 확보하는 것이라면 주체적인 자아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기술은 이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속에서도 여전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우리는 다시 슐라이어마허의 언어해석학에서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강돈구, "보편적 해석학의 기초로서 언어와 사유" 『철학』 제 24집, (한국철학회, 1985).
김용일, "슐라이어마허에 있어서 언어와 사유", 『철학연구』 제 54집, (대한철학회, 1995).
최성환, "해석과 체계", 『해석학의 체계와 전망』, 한국 해석학회 편, (철학과 현실사, 1999).
최신환,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과 변증법", 『해석학과 현대철학』, 백승균 외 지음, (철학과 현실사, 1996).
알뷘 디머 (백승균 역), 『철학적 해석학』 (경문사, 1982).
Oskar Batschmann, Einfuhrung in die kunstgeschichtliche Hermeneutik, Darmstadt 1992.
Rene Descartes, Abhandlung uber die Methode des richtigen Vernunftgebrauchs, ubers. von Kuno Fischer, Stuttgart 1984.
Wilhelm Dilthey, Die geistige Welt, Gesammelte Schriften, Bd. Ⅴ, Stuttgart 1982.
Gunter Figal, Der Sinn des Verstehens, Stuttgart 1996.
Manfred Frank, Das Sagbare und das Unsagbare, Frankfurt am Main 1993.
Roswitha Heinze-Prause (und Mitarbeiter), Kulturwissenschaftliche Hermeneutik, Darmstadt 1996.
  • 가격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5.0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