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과 색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논

II. 예절의 철학적 배경
1〕음양 오행설
2〕음양에 대한 문헌상 역사
3〕음양과 생활문화
1) 태극
2) 요일 속의 음양사상
3) 혼례 속의 음양사상
4) 건축물의 음양사상
5) 자연물의 명칭
6) 놀이 속의 음양문화
7) 음식의 색
4〕오행과 생활문화
1) 오행의 상생과 상극원리
2) 십간과 십이지
3) 오행과 색
5〕한국적 음양오행의 유래
1) 음양사상에 대한 문헌적 기록
2) 백련사 연혁

III. 예절과 색 .
1〕예
2〕예절의 종류
1) 국가전예 : 오예
2) 사예 (가예)
3) 기타
3〕색
1) 오정색의 의미(오채색)
2) 어원과 의미
3) 천지의 색. 현훈
4〕예절과 색
1) 복식
2) 건축물
3) 고구여 고분벽화
4) 일월도
5) 대가 노부반차도
6) 불교의식
7) 통과의예

IV. 결논

본문내용

진 것이 아니 고, 自然과 合一속에서 생활 해 오면서 정신세계는 음양오행사상에 바탕 을 둔 관념적인 것이어서 색채사용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정신세계와 생활양식을 지배하던 儒敎는 인간의 감정을 억누르고 人格, 形式, 規範을 중시하며, 색을 천하고 품위없게 여기는 한편 계급에 따라 금기사항이 많고, 염색기법이 발달되지 못해서 흰옷을 많이 입었던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태양을 숭배하는 배달민족으로 백색 選好思想이 있어, 백색금 지에도 불구하고 자연 그대로를 나타내는 소색과 백색옷을 많이 입었다.
옷뿐 아니라 생활 주거 공간이나 음식의 색도 거의 흰색, 회색, 검은색 등의 무채색 들이며, 이것들은 회색조를 이루어, 자연의 靑,綠과 동화되어 조용하고 안정된 조화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권력있는 이들은 화려하게 집을 채색해 물의를 일으키기도 하고 아무리 없어도 '설빔'을 준비해서 멋을 내고 조상의 덕으로 흉허물을 쓸어 덮어 주길 기대하는 옷치레도 즐겨했다.
─────────────────────────────────────────────────────
75) 김의숙 전게서
76)주강현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례신문사
일상적으로 오정색과 간색은 그 쓰임이 엄격히 규제되어 권위의 상징으 로 쓰여져서 계급과 신분을 나타내거나 貴賤과 위엄을 나타내는 것이 관 습화 되었다.
때로는 색을 통해 악귀와 병마를 쫑는 벽사의 의미를 나타 내고 있어 어린이에게 색동을 입혔으며 혼례때는 귀천과 관계없이 신부에게 원삼이 나 활옷을 입도록 허용했다. 왕실과 나라의 儀式, 종교적 儀禮를 행하는 건물의 단청은 보통의 것과 구별하기 위해 莊嚴했으며, 시각적 효과를 얻 어 권위와 엄숙함, 부귀를 나타냈는데 자연계의 천연재료를 쓰므로 그 고 고함을 더했다.
단청과 함께 고분이나 궁궐 등에 오행적 요소를 갖는 그림을 그려 方 位, 벽사의 뜻을 표현했는데, 고구려 고분의 사신도와 경복궁 사방문의 사 신도가 대표적인 것으로 볼수 있다.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에 사용한 안료는 鏡面朱砂로서 신비력이 있다고 믿어 부적 그릴 떠 사용하는 것이어서 큰 벽사의 힘을 기대한 것이다.
특별한 음식에 고명을 얹어 장식하고 잔치때는 부정타지 말라고 赤色을 쓰거나 흰색으로 신성함과 순결함을 나타냈다. 威儀를 나타내기 위한 행 차에 오방색의 旗幟를 세워 군을 지휘했는데 통과의례에도 예외없이 오정 색을 쓴 것으로 보아 뿌리깊게 오행사상이 박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혼란을 가져오는 경우도 있게 되는데 古禮의 혼례의 납징때는 玄色비단 3필, 色비단 2필을 써서, 하늘과 땅을 숫자와 색으로 나타냈 으나, 지금은 양을 상징하는 붉은 비단(火)과 음을 상징하는 남색비단(水) 을 쓴다.
본래 靑은 하늘의 색이며 오행의 木에 해당되어 하늘과 땅의 대칭으로 볼 때 양(陽)이기는 하나 양의 대표로는 火로서 正色은 赤色이다.
음(陰)의 대표는 水로서 黑色이 正色이나 실제로 물은 푸른 물로 표현되 어 黑보다는 靑이나 藍을 쓰게 된다.
실례로 신부가 청홍겹치마를 입을 떠 청색을 안에 입는 것은 청이 陰을 상징했기 때문이며,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가는 예물은 붉은 색이 밖 으로 보이게 하는 것은 陽色이기 때문이다.
太極에서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붉은 색이 윗쪽에 위치하며 陽을 나타내 고, 藍色이 밑에 있으면서 陰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듯 한국 전통의 색채표현은 아름다움을 표출하는 것과 더불어 모든 의식주 생활 속에 그 의미를 부여하고 새겨서 법도에 맞게 사용하므로 색 채로써 禮를 갖추는 근간으로 삼았다. 그 내용을 요약해보면
첫째, 오정색 靑, 赤, 黃, 白, 黑은 우주에 있는 木, 火, 土, 金, 水 의 氣를 色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동, 남, 중앙, 서, 북의 오방위를 나타내므로 오방색이라고 한다.
둘째, 색의 쓰임은 엄격히 규제해서 권위와 위엄을 나타내서 신분과 계 급, 귀천을 표시하고 적용했다.
셋째, 오정색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무병장수, 벽사, 무궁을 비는 주술 적 목적으로 썼으며 대표적인 것이 색동과 단청이다.
넷째, 고구려 고분벽화를 비롯한 민화는 독특한 회화성과 더불어 우리 민족의 정서와 美感을 표현했다.
다섯째, 백색은 음색이긴하나 백색선호사상 사용금지에도 불구하고 지 속적으로 썼다.
위에서 나열한 것과 같이 본 논문은 고유의 傳統色을 통해 예절과 상관 관계는 물론 생활풍습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민족정서가 함유된 고 유한 양식의 색채를 실생활에 나타내고 있어, 美의식을 이해하는 좋은 기 회가 되였다.
지금처럼 국제문화교류에 의해 서양문물이 넘쳐서 우리의 예절이나 정 서, 색감각마저 사라지고 서양쪽에 친근함을 갖는 획일화 국면을 맞아, 우 리 고유성을 상실할 위기를 초래했으나, 무분별한 수용을 배척하고 전통 사상과 예절을 효율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그 방법이 큰 과제로 남는다.
< 참 고 문 헌 >
1. 禮 주편 박성진 유학특수대학원 교재편찬위원회
2. 韓國民俗濟儀와 陰陽五行 김의숙 집문당
3. 儒敎思想과 儀禮服 이선재 아세아문화사
4. 복식 조효순 대원사
5. 우리나라 전례체계에 대한 연구 주편 박성진 예문관
6. 성학십도 이상진 외 자유문고
7. 우리문화의 이해 청년여성문화원
8. 우리 옛집이야기 박순영 외 열화당
9. 우리의 전통예절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0.韓國의 傳統色과 色彩心理 하용득 명지출판사
11.한국복식풍속사 조효순 일지사
12.단 청 대원사
13.韓國 傳統彩色畵 硏究 홍지윤 홍익대학교
14.시경 이가원 외 청아출판사
15.다담 석용운
16.家禮酌儀 정약용
17.우리문화의 수수께끼 주강현 한겨례신문사
18.韓國茶藝 석용운 도서출판 초의
19.삼국유사 이동환 역 도서출판 장락
20.한국가정생활사 김혜선, 박혜인 공저 한국방송대학출판부
21.실천예절개론 김득중 교문사
22.한국전통채색과 연구 홍지윤 홍익대학원석사학위논문
23.색동에 관한 연구 박상의 이대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4.이조후기 비빈들의 사절복식 및 의차 김용숙 아세아여성연구 제5집
25.단청 장기인, 한석성공저 보성각
26.고려도경 서 긍
27.우리의 혼인의식 한국경제신문사,청년여성교육원
  • 가격5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4.03.30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