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 그리고 조계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눌 그리고 조계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지눌의 생애
2.지눌의 저서
3.당시의 시대상
4.교종과 선종의 비교
5.지눌의 사상과 업적
-조계종
-돈오점수
-정혜쌍수
6.조계종과 천태종의 비교
7.조계종의 쇠퇴
8.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성에 큰 바탕을 이루었다. 그러나 여전히 너무 경전에 집중했다는 비판이 있다.
조계종은 의천이 죽은 후 무신 정변으로 교종을 중심으로 한 불교 통합 운동이 힘을 잃어 가는 가운데 신앙결사인 수선사를 통해 등장했다. 조계종을 창시한 지눌은 불경의 가르침에 의한 공덕을 쌓아 왕실 및 문신 귀족과 결탁한 교종의 권위에 도전하며 무신의 옹호를 받고 독자적인 세계를 개척하였다.
조계종은 선종을 중심으로 하여 교종을 통합하였으며, 외형적인 통합이 아닌 철학적 부분의 통합이라 할 수 있었다. 중심 사상으로는 돈오점수와 정혜쌍수가 있었는데, 돈오 점수란 인간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문득 깨닫는 것이고, 돈오하였다 하더라도 오랜 악습을 제거하고 부처가 되기 위하여 그 뒤에도 깨달음을 꾸준히 실천하는 점짐적 수도를 점수라 한다. 정혜쌍수는 참선하여 경지에 오르는 선정과 미혹을 멀리하고 깨달음을 성취하는 힘인 지혜를 함께 수양한다는 것이다.
결사운동으로는 수선사 운동이 있다. 지눌에 의해 이루어진 혁신 불교적 신앙결사로 불교수행의 핵심을 이루는 정과 혜를 함께 닦자는 실천운동이었다. 세속적인 이익에만 급급하여 수도는 뒷전인 불교, 국가 권력에 종속된 불교, 그리고 귀족적 성격의 불교를 비판하고 번잡한 이론이나 격식화된 형식을 떨쳐 버리고 스스로 일하면서 수련하는 사람들이 누구나 자기 마음이 바로 부처임을 깨닫자는 것을 강령으로해서 신앙 단체를 결성해서 불교 혁신 운동 전개되었다.
주요 사찰로는 송광사가 있다.
그리고 조계종은 심성의 도야를 강조함으로써 장차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아마 이는 혁신적인 성격의 한국적 성리학과 조계종의 공통점에서 가능했을 것이다.
<조계종의 쇠퇴>
그러나 곧 들이 닥친 원간섭기로 들어서면서 이후의 불교 혁신 운동이 좌절되었다. 게다가 송광사가 배출해낸 18국사는 부자 시주들에게 보조를 받아 살림을 꾸려나가면서, 그들 시주의 명복과 현세의 복을 빌어준 흔적을 남겼는데, 이 후에 새로이 일어나는 유학자 관료계층에 의해 이런 시주에 대해 비난을 받게되었다. 또한 이성계의 역성혁명으로 새 왕조를 이룩한 뒤에는 불교 교리 자체에 대한 비판을 받으며 사회적 지위와 존경을 잃어 버리게 되었다.
<역사적 의의>
선교 일치의 철학 체계 확립하고 천태종이 외형적인 합일에 뿌리를 두었다면, 조계종은 그 근본인 학문의 원리에 합일을 두어 완전한 선교일치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는다.
또한 심성의 도야를 강조함으로써 장차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상적 터전을 마련했다. 이는 그의 제자인 혜심이 이후에 제시한 유불 일치설에서도 잘 알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종교와는 다르게 실천적인 경향이 돋보였다. 단순히 경전만을 읽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직관적인 생각이라던가 행동에 중요성을 두며 이 역시 이후에 성리학의 도입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전의 궁중불교나 관권불교와 달리 민간불교와 대중불교 건설운동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라는 조계종의 근본 사상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키워드

지눌,   조계종,   보조지눌,   선종,   교종,   법화종,   구산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1.25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