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스트레스가 변비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라서 보건교사는 고등학생들의 주요 건강문제인 변비의 개선을 위하여 변비 관련요인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과 스트레스의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습득하고 변비를 예방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고등학교 1, 2, 3학년 남여 학생의 변비실태와 변비와 관련된 요인으로써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로 D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열 남녀공학고등학교 1개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1일부터 12월 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비 사정도구로 Lee(2001), Byeon & Lee(2003)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다시 수정보완한 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측정도구로는 Park(1998), Byeon & Lee(2003)의 도구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를 기준을 전산 처리하였다. 대상자으 일반적 특성과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비는 2-test,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ANOVA와 t-test, 변비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340명의 남여 고등학생 중 정상군은 73.5%(250명), 변비군은 26.5%(90명)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변비군 중 여학생은 61.1%, 남학생은 38.9%로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변비군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년에 따라서는 2학년(47.8%)이 1학년(25.6%), 3학년(26.7%)보다 변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변비 관련 요인으로 생활습관은 활동정도가 경할 때, 수면시간이 적을 때, 수분섭취량이 적을 때 변비군이 높게 나타났다. 배변습관에서는 배변을 참는 경우가 많을 때 변비군이 높게 나타나 생활습관과 식생활, 배설습관이 변비관련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 대상자의 전체 평균 스트레스는 3.17점으로 나타났고, 가정, 학업, 친구, 기타에 대한 영역별 스트레스 중에는 학업 스트레스가 3.42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1학년은 3.22점, 2학년은 3.14점, 3학년은 3.17점으로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정상군과 변비군의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정상군은 3.11점, 변비군은 3.34점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변비군은 정상군보다 학업, 친구, 가정, 기타의 모든 영역별 스트레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 스트레스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스트레스가 높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변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2학년이 1학년, 3학년 보다 변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변비 관련요인으로서 생활습관, 식생활, 배변습관, 스트레스가 작용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 중 전체 스트레스와 영역별 스트레스 중 학업 스트레스의 비교에서 변비군과 정상군의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건교사는 고등학생들의 주요 건강문제인 변비의 개선을 위하여 변비 관련요인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과 스트레스의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습득하고 변비를 예방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변비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증상을 알아보고, 변비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변비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함이 요구된다.
둘째, 변비 관련요인 중 스트레스의 관련성이 높으므로 건강문제를 야기하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계속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Byeon, Y. S., & Lee, J. I. (2003). Stress and Constipat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0(1), 22-29.
Kim, K. H. (2004).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of stress of the high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ung ji University, Seoul, Korea.
Koh, K. B. (2002). Stress & Psychosomatic medicine. Seoul: ilchokak.
Fauci, A. S., et al. (1998).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14th ed.). McGrow-Hill Companies, Inc.
Lee, J. J. (2001).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loosing the constipation by supplementation of aloe juice and yogurt i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ark, G. L. (1988).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complaint of the menstruation of the girls high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